감은사(感恩寺)의 유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감은사(感恩寺)의 유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감은사 절터와 금당양식

Ⅲ. 감은사지 삼층석탑

Ⅳ. 감은사 사리장엄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감은사 사리장엄
동,서 양쪽 모두 발견되었지만 서쪽에서 발견된 사리장엄은 청동으로 이루어 지고 부식정도가 심해 원형을 보존하기 힘들어 동탑에서 발견된 사리장엄을 위주로 조사하였다. 감은사지 동 삼층석탑 사리장엄은 96년에 최초 발견, 3년6개월의 복원 작업을 거쳐 현재 보물 제 1359호로 지정되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관리하고 있다. 사리장엄은 사리를 직접 안치한 내함인 전각형 사리기와 이를 덮고 있는 방추형 뚜껑을 가진 외함, 그리고 수정제 사리병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사리장엄의 구조
▶ 외함 (뚜껑, 사벽면, 바닥)
뚜껑-4개의 삼각형이 중앙부에 모아진 사면체의 방추형을 조립한 듯한 삼각지붕 형태. 상면 꼭지점을 이루는 부분은 두껑을 여닫을 때 사용할만한 연주형의 둥근 고리 손잡이를 달아 장식.
사벽면-동측면:지국천왕, 서측면:광목천왕, 남측면:증장천왕, 북측면:다문천왕
바닥-가장 간단히 제작한 사리함의 부재 구조물의 뼈대를 이루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되는 재료
<감은사 사리장엄 외함>
<감은사 사리장엄 내함>
▶ 내함
내함은 수미산 고대 인도의 우주관에서 세계의 중심에 있다는 상상의 산
의 구조를 하고 있는데, 곧 사리를 모시는 성스러운 자리로서 사방정토로써 장엄하고자 사자, 사천왕, 보살, 승상 등과 같은 조형을 만들고 그 밖에 연화와 용, 화염, 비천 등의 여러 장식 요소를 기단부와 천개부에 장식한 것으로 보인다.
3. 사리장엄의 특징 (0.3㎜의 예술)
▶ 풍탁
쌀알과 비슷한 크기에 무게는 0.04㎎ 으로 발견당시 본체에서 분리되어 천 개부에 붙어 있었을 것으로 추정
2백배율 정말 촬영 당시 풍탁의 표면에 지름 0.3㎜로 육안으로는 식별조차 할 수 없는 크기의 장식을 위해 땜질을 한 금알갱이 발견 현대 땜기술을 동원을 해도 정교한 작업이 필요한 난해한 작업
▶ 수정 사리병
사리병의 높이는 3.65㎝(손가락 두 마디 크기), X선 분석 결과 병 내부의 공간은 지름 2~6㎜ 가량인 것으로 드러남
사리병을 덮고 있는 금제 뚜껑을 1백 배율로 촬영한 결과 풍탁과 마친가지로 0.3㎜의 금알갱이가 촘촘히 박혀있었고, 모두 땜질을 해 이어 붙혀 있었다.
4. 사리장엄의 의미
▶ 감은사 사리함의 양식
중국의 돈황 석굴 유적지
돈황석굴 천장과 감은사 사리함 천개 부분은 모두 불꽃 문양으로 장식되어 있다. 또한 석굴 천장 주변 장식은 수많은 보살상들로 빼곡히 채워져 있는데 감은사 사리함 천개 부분의 보살상 장식과 흡사하다.
석굴 외부에 그린 비천상의 벽화와 감은사 사리함의 비천상이 생김새는 물론이고 자세까지 흡사하다.
돈황 석굴 제 220굴에 그려져 있는 벽화의 수많은 인물 사이에 기다란 머리깃털 장식을 한 인물이 있는데 신라의 사신이라고 알려져 있다.
위의 내용으로 보아 통일신라 초기인 1천3백년 전, 신라는 이역 만리 돈황과 활발한 교류를 했고, 감은사 사리함은 돈황 석굴의 벽화 내용을 재해석하여 공예적으로 승화한 것이라고 추측해 볼 수 있다.
양지 스님
감은사 사리장엄을 만든 이에 대해서는 어디에도 자료가 나와 있지 않지만 같은 시대의 다른 작품들과 비교분석을 해보면 사천왕사의 채유 소조상을 만든 양지라고 추정하고 있다.
양지의 작품들은 앞 시대에 존재하지 않는 이국적이고 역동적인 조각품이 등장했다. 그의 작품은 고대 인도 서북지역, 특히 파키스탄 지역의 간다라 미술품과 재료나 양식 등이 흡사하다.
이러한 점으로 보아 양지가 인도에서 수행한 경험이 있거나, 양지 자신이 서역인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정확한 사실은 알 수 없지만 초기 통일신라시대부터 서역과 활발한 교역이 이루어 졌으며, 서역인들의 출입과 귀화가 쉽게 이루어졌을 것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 생각해보기
감은사의 쌍탑식 가람배치?
그 동안 감은사의 쌍탑식 가람배치와 관련하여 막연한 추측이 있어 왔다. 그러나 동·서탑 사리기의 차이를 통해서 가람 배치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데, 즉 동·서탑에서 발견된 사리기의 형태는 전체적인 구성은 같으나 그 제작기법과 세부형태가 서로 다르다. 즉 사리병좌의 장식조형물이 서탑은 주악천인인데 비하여 동탑은 사천왕상과 동자, 승상 등이 장식되어 있다. 『유행경(遊行經)』에는 부처가 열반한 이후 쿠시나가라 성의 말라족과 동자들이 향화와 주악으로 공양하며 다비후 탑을 세운 다음에도 향화와 주악공양을 했다는 구절이 있다. 강순성,「감은사탑내 사리기 주악·무동상론」
서탑 사리병 주변을 장식하고 있는 주악천인과 동자상은 부처에 대한 공양을 표현한 것이며 여기에 모셔진 사리는 부처님 사리로 해석된다.
< 감은사지 동탑 금동사리외함 >
< 금은사지 서탑 청동사리외함 >
반면에 사천왕은 호국신앙의 상징으로 숭배되던 불교의 호법신중이다. 문무왕은 삼국통일의 위업을 달성하고 죽어서까지 국가의 안위를 지키겠다는 호국정신이 투철한 왕으로 동탑사리기는 서역식 장례 결과 나온 문무왕의 사리를 호국신앙의 상징인 사천왕이 수호하는 것을 형상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앞서의 추론에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논거를 보탤 수 있다. 첫째, 동탑이 지형적으로도 서탑보다 문무왕의 수중능침과 가까워 『유마경』도상에서 말하는 동서구조와 부합된다. 둘째, 천개장식이 서탑의 것은 봉황인데 비하여 동탑의 것은 용으로 서로 다른데 이는 용이 되어 왜병을 물리치겠다는 염원을 상징화하여 동탑 사리기에서 용을 장식문양으로 채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참고문헌>
국립문화재연구소『감은사지 동 삼층석탑 사리장엄』, 2000
국립문화재연구소『감은사지 서 삼층석탑』, 2005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感恩寺 發掘調査報告書』,1997
국립중앙박물관,『感恩寺地 發掘調査報告書』,1993
송영만, 『역사스페셜 7(원작 : KBS 역사스페셜)』, 효형출판, 2004
KBS 역사스페셜 제119편 ‘0.3밀리미터의 예술, 감은사 사리함’
김봉렬,『불교 건축』, 솔, 2004
강우방,『불교 조각』, 솔, 2003
강우방,『한국불교의 사리장엄』, 열화당, 1993
문화재청 http://www.cha.go.kr/
국립중앙박물관 http://www.new-museum.go.kr/
서울문화재 http://sca.visitseoul.net/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5.08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87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