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미문화속에서 찾을수 있는 자연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미국의 자연적 특징과 미국 문학 속의 자연관>

II. New Eden 시기의 자연관

III. -James Fenimore Cooper-

IV. & -Emerson & Thoreau-

V. -Mark Twain-

VI. -Stephen Crane-

VII. 결론

본문내용

standing with its back
to the plight if the ants. It represented in a degree, to the correspondent, the serenity of nature amid the struggles of the individual-nature in the wind, and nature in the vision of men. She did not seem cruel to him then, nor beneficent, nor treacherous, nor wise. But she was indifferent, flatly indifferent.
이처럼 인간의 눈에 비친 자연은 원래의 순전히 객체로서의 자연 그 자체가 아닌 인간의 시각에 의해서 보다 주관적으로 윤색되고 해석이 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자연은 처음부터 인간에게 대해서, 또한 모든 자연물에 대해서 철저히 무관심 한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결론에 도달한 4명의 승무원은 인간의 스스로의 의지와 행동에 의존하여 자신의 주변을 둘러싼 자연을 벗어나고자 한다. 따라서 그들은 더 이상의 구조의 손길이나 운을 기대하지 않고 죽음을 무릅쓰는 모험으로 파도를 타고 해안에 상륙하기 위하여 구명정에서 바다로 뛰어든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이들은 또한 자연의 인간에 대한 무관심과 더불어 인간의 의지에 대한 자연의 무시까지도 느끼게 된다. 다 함께 살기 위해서 헤엄을 쳐 해안으로 갔지만 이 목숨을 건 모험에서 4명의 사나이들 중 급유원(the oiler)은 죽고 나머지 3명이 간신히 해안에 상륙하여 그제서야 다가온 해안 사람들의 따뜻한 환대를 받는다. 이들 4명중 살아남은 사람과 죽은 사람 사이에는 어떤 특정한 법칙이나 원칙이 존재하지 않는다. 열심히 헤엄을 쳤다고 해서 살아남는 것도 아니고, 특별한 기술이나 능력이 있다고 해서 살아남은 것도 아니다. 다만 이것도 거대한 자연의 법칙에 의하여 그렇게 인간의 운명이 결정되어졌을 뿐이다.
이들은 바다에서 파도와 싸울 때는 "None of them knew the color of the sky."라고 했을 정도로 절박한 심정이었지만, 비록 동료 중에 한 사람이 죽기는 했으나 해안에 상륙하여 해안 사람들의 따뜻한 환대에 마음이 안정되고 난 후에는 이제껏 고난을 겪었던 바다에 대한 태도가 달라진다.
When in came night, the white waves paced to and fro in the moonlight, and the wind brought the sound of the great sea's voice to the men on the shore, and they felt that they could then be interpreters.
그들은 자신들을 괴롭혔던 바다에서 빠져나와 해안에 있는 사람들에 속하게 되었고, 그들의 지각이나 인식은 그들이 구명정 안에서 표류하던 사람들이었을 때와는 달라졌다. 이처럼 인간이 무엇인가를 인식하는 눈은 항상 상황에 따라 변하고, 이에 따라 인간의 눈에 비친 자연의 모습도 계속해서 변하게 된다. 즉 이제까지 그 자체의 본질에 변함이 없었던 자연을 인간이 자신의 의식에 따라 다르게 해석해 왔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자연은 다만 인간과 인간의 운명에 대해서 무관심한 자연일 뿐이었던 것이다.
VII. 결론
위에서 다룬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서 나타나는 자연관은 미국인들의 자연에 대한 주요 관점을 대부분 나타내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자연관들이 시대별로 하나의 패러다임처럼 미국인의 자연관을 지배한 것이 아니라 같은 시기에 자연에 대한 상반된 두 태도가 함께 공존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초기 개척시대에 종교적 관점과 물질적 정복 대상으로서의 자연이 공존하고, 19세기 에머슨의 자연과 쏘로우의 자연이 공존할 수 있었다는 점을 통해 미국인들이 사상에 대해 열린 태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다양한 자연관과 더불어 미국 문학과 사상의 또 다른 매력 중 하나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문학 작품은 주로 19세기 작품들을 위주로 다루었지만 자연을 취급하고 자연에 대한 관점을 나타내는 미국 소설의 큰 흐름은 20세기에 들어와서도 여러 작가들에게서 나타난다. 시인 Robinson Jeffers의 시를 비롯하여, Crane과 거의 비슷한 시기의 자연주이 작가였던 Frank Norris의 The Octopus, The Pit 등의 소설에서 자연이 인간에게 무관심하거나 적대적라는 자연관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와 같은 관점은 John Steinbeck의 The Grapes of Wrath에서도 반영되어있다고 볼 수 있다.
미국의 문학에 있어서 자연에 대한 논의는 작품의 배경이나 경관이 논의\와 관련해서 오랫동안 전통적 비평의 중요한 제대가 되었으나 50년대 New Criticism에서부터 80년대 중반까지 형식주의적 비평이 주류를 이루었던 시기에 문학작품의 내적 구조나 언어 분석에 치중하는 과정에서 자연은 비평의 주된 관심의 대상에서 멀어졌다. 그러나 80년대 중반 이후 포스트모던적인 여러 가지 다양한 해석과 비평의 한 가지 전략으로서 전통적 미국 문학의 보편적 주제였던 자연과 인관의 관계에 대한 문제를 생태론적 또는 환경론적 입장에서 새롭게 바라보려는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과 관련해서 자연의 나라이면서 동시에 세계에서 가장 선진적으로 산업화되어있는 미국에서 자연과 인간의 관계가 중요한 문제로 다루어졌던 위의 문학작품들에 반영된 자연관은 오늘날의 인류가 자연과의 조화로운 관계로 회복하고자 하는 노력에 여러 가능성을 제시해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Internet site-
/
http://cooper.thefreelibrary.com/The-Prairie
-참고문헌-
shorter eighth edition
<미국문학사> 송관식, 김유조 공저
Peter B. High
  • 가격1,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05.14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08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