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영웅소설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성영웅소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론
1. 기존연구검토
2. 연구의 범위

Ⅱ. 작품분석
1. 줄거리 단락 구분
2.‘영웅의 일생’구조를 통한 분석

Ⅲ. 여성영웅소설에 나타난 여성의식의 유형

Ⅳ. 여성영웅의 장애 요인
1. 남장의 의미
2. 결혼의 의미

Ⅴ. 여성영웅소설의 한계와 그 원인

Ⅵ. 결론

본문내용

공간인 집을 떠나 남성의 영역에서 남장하여 활약하다가 다시 집으로 되돌아오면 남성들이 원하고 바라는 한국의 전통적인 여성으로 되돌아온다는 서술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런 구조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무의식적으로 남성 중심적 세계관을 인정하려는 것으로써 진정한 여성상의 구현이 아니라, 불완전한 여성상을 제시함으로써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여성영웅소설의 한계는 곧 문제의식과 독창성을 결여한 작가의 한계에서 발생했다고 보여진다.
여성영웅소설의 특징인 남장화소와 남녀의 이합구조라는 애정 소설적 면모는 전대에 유행했던 소설 속에 나타난 삽화를 자신의 작품에 그대로 수용한 것으로 이는 여성영웅소설을 창작했던 작가의 독창성이 부족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그들은 기본적인 틀에 있어서는 전대의 작품을 답습하는 한편 독자의 흥미, 특히 여성 독자의 흥미를 유지하기 위해서 여성의 영웅적 면모를 강화하고 때로는 「홍계월전」의 계월처럼 남성을 지배하는 진보적이고도 극단적인 인물을 주인공으로 내세우기도 하였다. 그러나, 여성영웅소설의 작가들은 자신들이 창작한 흥미 요소조차도 끝까지 이어나가지 못하고 여성영웅들의 삶을 남장상태와 남장해제상태로 나누어 이원적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이 역시 독자와 당시 사회를 의식한 창작 행위라 할 수 있다. 여성 독자의 경우, 여성영웅소설의 주인공의 삶을 보며 통쾌함과 행복함을 느끼겠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일시적일 수밖에 없다. 또한 남성 독자 역시 여성영웅소설의 파격적인 내용이 기존 질서에 위배되고, 사회를 와해시킬 위험 요소가 있다고 인식 할 수 도 있었을 것이다. 당시에는 가정을 벗어나 천자를 속인 여성의 행동은 아무리 나라를 위기에서 구한 영웅일지라도 정당화되지는 못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하여 여성 영웅이 가정으로 돌아가 당시의 사회가 원하던 여성상으로 살게 하였다. 이는 여성영웅소설의 작가가 작품을 창작하면서 상당 부분 독자를 의식했음을 반영한 것이다.
이러한 여성영웅소설 작가들이 가진 한계성은 여성영웅이라는 개념을 혼동하는 데서 뚜렷이 드러난다. 여성영웅소설에서 영웅이란 나라를 구하고 백성의 존경을 받는 존재로 일반 영웅소설과 동일한 개념이고, 그러므로 여성영웅도 사회적으로 영웅의 대접을 받음이 당연한 것이다. 그러나, 여성영웅소설의 작가는‘여성’과 ‘영웅’의 개념을 분리하지 못한 채 여성은 집에서 가사를 담당하고 남편을 내조하는 존재라는 당대 상황을 그대로 반영하고만 다. 이를 통해 우리는 뚜렷한 자기 소신을 가지고 작품을 창작하지 못한 작가 의식의 한계가 여성영웅소설의 한계를 가져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Ⅵ. 결론
본고에서는 「장국진전」,「김희경전」,「이봉빈전」,「홍계월전」의 분석을 통해 여성영웅소설의 전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영웅소설은 여성주인공의 영웅적 활약에 초점을 맞춘 일련의 작품군을 지칭하는 말로 영웅소설의 서사모형인 ‘영웅의 일생’ 구조에 따라 내용이 전개되고 있다.
둘째, 조선시대는 남녀유별(男女有別), 남존여비(男尊女卑)의 사상으로 인해 남녀의 일이 엄격히 구분되어 있을 뿐 아니라, 남성의 일은 여성이 할 수 없도록 제한한 시대였다. 여성영웅소설에서 남장모티프는 남성영웅소설과 구별지어주는 역할뿐만 아니라, 여주인공에게 영웅성을 발휘할 수 있게 해 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남성에게 억압받으며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여성상을 거부하고 자신의 의지를 실현시키는 적극적인 여성상을 제시한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당시의 남성중심의 성(性)차별화에 대해서는 정정당당하게 맞서지 못했다는 것이 아쉽다.
셋째, 여성영웅소설은 표면적으로는‘영웅의 일생’구조를 취해 주인공의 영웅담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일시적인 신분상승의 의지의 소산이자 남성중심의 세계관을 극복하지 못하는 불완전한 여성상의 제시라는 한계점을 가진다.
넷째, 이같은 여성영웅소설의 한계는 자신의 창작 의지는 없이 현실에 영합하고자 했던 작가 의식의 한계에서 비롯된 것이다.
참고문헌
대중문학연구회 편, 「대중문학이란 무엇인가?」, 평민사, 1995.
동국대학교 한국학 연구소,『활자본 고전소설전집』2, 7, 아세아문화사, 1976.
인천대학 민족문화연구소 자료총서 간행위원회편, 『고소설전집』16, 은하출판사, 1983.
한국고전소설연구회, 『한국고전소설론』, 아세아문화사, 1993.
한국여성연구소, 『우리 여성의 역사』, 청년사, 1999.
강봉근, 「여성영웅소설의 출현동인 일고찰」, 『국어국문학연구』26, 1986.
김기동, 『한국고전문학』100, 서문당, 1984.
김미란, 『고대소설과 변신』, 정음문화사, 1984.
민찬, 「여성영웅소설의 출현과 후대적 변모」,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86.
박경원, 「홍계월전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91.
박상란, 「여성영웅소설의 갈래와 구조적 특징」,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91.
박종기, 『5백년 고려사』, 푸른역사, 1999.
서대석, 「영웅소설의 전개와 변모」, 『고소설사의 제문제』, 집문당, 1993.
『군담소설의 구조와 배경』,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2
서진영, 『여자는 왜?』, 동녘, 1991
이기백, 『한국사신론』, 일조각, 1991
이민수譯, 『삼국유사』, 을유문화사, 1998.
이인경, 「여성영웅소설의 유형성에 관한 반성적 고찰」,『한국서사문학사의 연구』, 중앙문화사, 1995.
「홍계월전 연구-갈등양상을 중심으로」, 『관악어문연구』17, 1992.
이헌홍, 『고전소설강론』, 세종출판사, 1999.
임병희, 「여성영웅소설의 유형과 변모양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1989
장덕순外 , 『구비문학개설』, 일조각, 1997.
전용문, 「여성영웅소설의 계통적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988.
정병헌 이유경, 『한국의 여성영웅소설』, 태학사, 2000.
정준식, 「변장화소의 서사적 수용과 의미」, 부산대 대학원 석사논문, 1992.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 지식산업사, 1990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981.
조혜정, 『한국의 여성과 남성』, 문학과 지성사, 1988.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05.16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13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