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문학사A+] 페미니즘문학 사회적 배경과 공지영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이문열 선택 작품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현대문학사A+] 페미니즘문학 사회적 배경과 공지영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이문열 선택 작품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페미니즘이 유입된 사회적 배경

2. 본론
- 페미니즘(feminism)이란 무엇인가.
- 공지영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 이문열 <선택>

3. 결론
페미니스트 윤리학의 과제와 전망

본문내용

에서 교활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① 여성성 그리고 모성
이문열이 <선택>에서 일관되게 그리고 있는 여성은 어머니로서의 여성이다. 그는 ‘어머니란 인간을 생산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어머니란 이름을 떠나 성취될 여성의 위대함은 존재하지 않는다'며 어머니로서의 여성을 여성의 유일한 운명이며 존재 이유로 들고 있다. 어머니가 되고 안 되고 하는 것은 오직 인간의 선택이며, 여성이 어머니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인간의 인권을 무시하는 남성중심의 사고로 볼 수밖에 없다.
-이어지는 세상이 없다면 우리는 무엇을 남기든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아니 그 이상 아내로서 이 세상을 유지하고 어머니로서 보다 나은 다음 세상을 준비하는 것보다 더 크고 아름다운 일이 어디 있겠는가?
-어머니는 여인이 가질 수 있는 가장 크고 아름다운 이름이다. 여인의 가장 중요한 생산은 자녀이며 가장 위대한 성취는 그 양육이다.
-하지만 이 시대의 여인들이 어머니되기를 기피하는 것은 우리는 누리기 위해서 태어났으며 이 세상은 몇 가지 문제점만 해결하면 살만하다는 것이 요즘 젊은이들의 세태와 인상에 대한 일반적인 믿음인 것 같기 때문이다.
-회임과 분만을 자랑과 기쁨으로 받아들이기 위해 내가 먼저 주목한 것은 우리가 몸두고 사는 세상의 본질이다.
-그런 뜻에서 아이를 낳고 기른다는 것은 세상의 바탕을 이룩하는 일이 되고 그 한 가지 만으로도 출산의 가치를 부인하는 천만 가지 교묘한 논리를 대적할 수 있다. 세상을 있게 하는 일, 지금 여기 있는 모든 것에 이름을 매기고, 뜻을 두고, 값을 셈하는 존재로 만드는 일, 그보다 더 크고 아름다운 일이 어디 있겠는가?
-하나의 세상인 생명을 나는 몸 안에 품고 낳으려 한다. 그 일에 수고롭고 뼈나 살이 떨어지건 어찌 마다할 수 있으랴
이문열은 장씨 부인이 ‘성취가 있었던 학문과 재예를 스스로 버리고 부녀의 길을 선택했다’고 쓰면서, 위와 같이 말한다. 어머니가 되는 일, 자녀의 생산 즉 출산과 양육에 가치를 부여하며 그것을 여성에게 최고의 가치로 몰아 부쳐 전문적인 일을 하면서 자아실현의 길을 걷고 있는 많은 여성을 모욕하고 있다.
② 정조의무와 순절예찬
이문열은 <선택>에서 여성을 종류별로 구분하는 잣대는 정조의무인 것 같다. 그는 시종 페미니스트들이‘여성 해방과 성적 방종을 혼동하고 있다.’고 질타하며 요즘 여자들의‘미화된 간음보다 전시대 남성들의 뻔뻔스런 반칙이 더 정직해 보인다.’고 말한다. 여성해방과 성적 방종은 동의어가 아니다. 작가는 그것을 동의어로 이해하고 있다. 그 악의적인 오해는 바로 <선택>같은 작품에 의해 유포되고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정조 의무에 대한 그의 강조는‘그릇된 이념화의 희생이라도 옳다고 믿는 것을 위해 목숨을 던지는 일은 아름답다’는 순절예찬으로 이어진다. 작가의 순절 예찬은 페미니스트들의 분노를 사기에 충분하다고 하겠다.
그는 페미니스트들이 ‘소수의 서러움에서 벗어나고자 있지도 않은 이상의 남성상을 만들어 놓고 이 세상의 남자들을 난도질’하고 있다고 말하며 그런 남성은 ‘아첨으로밖에는 여성의 호감을 살 길이 없는 못난이나 그런 여성이 있어야만 한몫 보는 바람둥이뿐’이라고 주장한다.
*이문열의 <선택>이 페미니스트들로부터 비난 받는 10가지 이유.
첫째, <선택>은 작가가 자신의 완고한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를 강변하려다 사건을 소홀히 다룸 으로써, 인물과 사건이 기본적 요소인 소설의 골격을 제대로 갖추지 못해, 소설로 서의 구성이 완벽하지 못하다.
둘째, <선택>은 여성을 가부장 제도의 숙명론으로 몰고가 모성이나 출산 등 여성의 고유한 가치를 절대화함으로써, 여성의 인권인 자기 권리의 <선택>을 봉쇄하였다. 자궁을 활용하지 않는 독신자, 불임 여자 등의 홀로서기를 부정하였다.
셋째, 남편이 죽은 뒤 아내가 따라 죽는 순절 예찬으로 생명경시의 풍조를 조장하고, 여성의 생명을 남성에 종속된 것쯤으로 보는 오류를 범했다.
넷째, 가정이 참된 자아실현의 장소가 되지 않는데도 자아실현의 장소로 적합하다고 강변함으로 써, 여성의 자아찾기를 통해 건강한 가정을 복원하려는 의도에서, 여성을 가정의 굴레에서 벗어나라고 하는 페미니스트의 인간해방의 참뜻을 왜곡하였다.
다섯째, 300년 전의 현모양처를 등장시켜, 오늘날의 여성을 훈계하려 한 점에서 소설로서의 역할 과 기능에 충실하지 못했고, 진리와 가치의 역사성을 부정하였다.
여섯째, 그는 페미니즘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페미니즘의 겉만 가지고 페미니즘의 본질을 잘못 난자하여, 페미니즘에 큰 상처를 주었다.
일곱째, 분명히 반페미니즘적 시각을 가지고 가부장제의 논리를 옹호하고 있으면서 자신은 결코 반여성주의자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비겁함이 더욱 페미니스트의 분노를 사고 있다. .
여덟째, 현존 하고 있는 우리 사회의 성에 관한 이중적 잣대, 남녀불평등을 간과하고 있다.
아홉째, 인구의 절반인 여성의 권익을 옹호하고 있는 요즘 유행하는 페미니즘을 자기의 반박 논리로 접근하여 문제를 일으킨 것은 책의 판매부수를 늘이고자하는 고도의 상술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든다.
열째, 생물학적 숙명론으로 여성의 구속적 삶을 운명으로 받아들이라고 요구하는 작가의 가부장 적 보수성이 너무 견고하다.
<결론>
페미니스트 윤리학의 과제와 전망
페미니스트 윤리학 내에서 여러 가지 해석과 입장이 존재한다. 그러나 최소한 페미니스트 윤리학이 여성의 이해만을 일차적으로 강조하거나 남성적 가치 대신에 여성적 가치를 대치시키고 여러 이슈 가운데 성별과 관계된 문제에만 관심을 두는 방향으로 나가서는 안된다.
그러한 분리적이고 이분법적인 사고는 또 하나의 새로운 지배 논리를 되풀이하거나 반페미니스트적 결과를 야기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는 차별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와 그것을 다룰 수 있는 새로운 전략을 필요로 한다. 차별의 극복은 평등뿐만 아니라 차이에 대한 올바른 평가를 수반한다. 그리고 육아, 가족, 재생산, 노동과 같은 특수한 문제들뿐만 아니라, 여자를 위한 평등을 뒷받침하는 사회 정치적 구조들, 정치와 사회적 삶에의 민주적 참여와 같은 일반적인 문제들에 대해 주목해야 한다.
  • 가격1,6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07.15
  • 저작시기201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39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