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통계][건설업][통계][하도급][노동자건강][취업자][부도율]건설업통계의 개념, 건설업의 규모 통계, 건설업의 하도급 통계, 건설업의 노동자건강 통계, 건설업의 취업자 통계, 건설업의 부도율 통계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설업통계][건설업][통계][하도급][노동자건강][취업자][부도율]건설업통계의 개념, 건설업의 규모 통계, 건설업의 하도급 통계, 건설업의 노동자건강 통계, 건설업의 취업자 통계, 건설업의 부도율 통계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건설업통계의 개념

Ⅲ. 건설업의 규모 통계
1. 건설업 총공사액
1) 등록업종별 공사액
2) 발주자별 공사액
3) 공종별 공사액
4) 지역별 국내공사액
2. 건설업 사업체수
3. 사업체당 평균공사액
1) 1사업체당 공사액 추이
2) 1사업체당 평균공사액(업종별)
3) 1사업체당 평균공사액(자본금 규모별)

Ⅳ. 건설업의 하도급 통계
1. 일반건설업체의 하도급 비율 43% 수준
2. 토목공사의 하도급 비율 다소 낮은 수준
3. 계약규모 30~50억원 공사에서 하도급비율이 최고
4. 자본금 100~1,000억원 규모의 중견업체 하도급 비율이 최고
5. 민간 발주공사의 하도급비율이 정부 발주공사보다 높아
6. 공사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하도급 비율도 증가
7. 하도급 계약방법으로 일반경쟁이 가장 많이 이용
8. 철근콘크리트, 토공, 설비 업종의 하도급 시장점유율이 압도적

Ⅴ. 건설업의 노동자건강 통계
1. 건설일용노동자의 일반적 현황에 따른 건강상의 문제
1) 건설일용노동자의 고령화
2) 장시간 노동
2. 일반 질병의 유병 상태와 의료보장의 문제
1) 낮은 일반 질환 유병률 - 조기 퇴직의 가능성
2) 불완전한 의료보장
3. 직업성 질환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
1) 다양한 유해요인의 노출과 관련 증상의 발생
2) 직종에 따라 높은 근골격계 증상 유병률
4. 높은 직무 스트레스
5. 미약한 안전보건관리

Ⅵ. 건설업의 취업자와 부도율 통계
1. 건설 취업자 동향
2. 건설업체 및 부도율 동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 증상의 경우 일관되게 손진동공구의 사용, 시멘트, 암면의 노출과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나(노출군에서 발생 위험이 1.70배~2.50배) 반복적 피부 노출에 의해 증상이 발생된다.
청력 증상의 경우 위험요인으로 알려진 소음과 진동만이 관련성이 있게 나타나(노출군에서 발생 위험이 1.90배~3.81배) 건설현장의 소음 및 진동수준의 건강장애를 유발할 정도이다.
수지 진동증상 역시 진동공구의 사용과 시멘트 노출만이 유의한 관련성을 보여(노출군에서 발생 위험이 1.94배~3.55배) 손 진동공구의 사용이 수지 진동증상을 발생시킨다.
유해요인노출에 따라 직종을 분류하여 평가 시 관련증상에 따라 고위험 직종의 증상 발생 위험이 저위험 직종에 비해 2.15배~4.14배 높게 나타나 직종 중심으로 유해요인 관리가 필요하다.
2) 직종에 따라 높은 근골격계 증상 유병률
지난 1년 동안 건설 작업 관련하여 근골격계 증상을 경험한 경우는 61.7%이었으며, 이중 조적공, 도장공, 석공의 경우 85%로 조사되어 근결격계 증상호소가 특히 높다. 미국 산업안전보건원(NIOSH)의 근골격계 질환 관리를 위한 감시기준을 적용하여 보았을 때 조사대상자의 47.5%가 한 부위 이상의 증상을 호소, 증상 유병률을 부위별로 보면 허리 23.8%, 손·손목 18.1%, 어깨 17.1%, 무릎, 팔·팔꿈치, 목, 발·발목 순이었다. 증상 유병자와 근골격계 유해요인과의 관련성 분석 결과 중량물 운반은 목 부위를 제외한 전 관절부위에서 증상과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나(노출군에서 증상 발생 위험이 1.44배~2.71배), 근골격계 증상 발생에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파악된다. 시멘트의 노출은 손·손목, 팔·팔꿈치, 어깨, 발·발목 증상과 관련이 있었으며, 손진동공구의 사용은 손·손목 증상에 관련성을 보인다. 진동의 노출은 목과 무릎 증상에 관련성을 보인다. 직종에 따라 근골격계 증상 고위험 직종은 저위험직종에 비해 근골격계 증상 발생 위험이 3.76배~8.79배로 나타났다.
4. 높은 직무 스트레스
직무재량도와 직무요구도 점수를 두 축으로 하여 다양한 직종과 스트레스 수준을 비교하였을 때 직무재량도와 직무요구도 모두 낮은 전형적인 수동적 집단에 속한다. 그 외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지지 역시 낮았으며, 직업 불안정성은 높은 것으로 조사된다. 본 조사의 건설일용노동자는 직무요구도와 직무재량도가 모두 낮은 수동적 집단이며, 사회적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고 직업 불안정성이 높아 스트레스가 높은 군으로 평가된다.
5. 미약한 안전보건관리
조사 대상자중 35.4%가 산재를 당한 적이 있으며, 재해 횟수가 평균 1.9회로 반복적으로 재해를 당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산재를 당한 경우 45%만이 산재보험으로 요양을 받았으며, 아예 보상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18%로 조사됐다. 산재처리시의 어려움은 산재처리 절차를 몰라 힘들었던 경우가 33%, 사업주의 날인 거부 등 비협조가 25%로 과반수 이상이 산재를 당한 경우 제대로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보호장비 지급율을 볼 때 가장 기본적 보호장비인 안전화의 지급율이 58%이었으며, 일부 직종의 경우 30%내외의 지급율을 보여 기본 장비조차 지급되지 않는다.
건설산업에서 안전과 건강을 위해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제도적 문제에 대한 물음에 장시간 노동, 저임금, 불법하도급, 고용불안 순으로 응답, 안전관련 문제에 대해서는 작업환경개선 33%, 의식개선 26%, 안전시설 설치 순이며, 보건관련문제는 정기적인 건강진단실시 32%, 화장실 등 기초위생시설 개선 18%, 식당 개선 16% 순이었다.
Ⅵ. 건설업의 취업자와 부도율 통계
1. 건설 취업자 동향
(단위 : 만명)
구 분
’88
’90
’94
’95
’97
‘00
‘03
‘06
2009
건설업취업자
83
133
178
189
197
200
158
147
158
전체 취업자수
1,370
1,808
1,984
2,038
2,081
2,110
1,999
2,028
2,106
- 비 중(%)
6
7.3
8.9
9.3
9.5
9.5
7.9
7.2
7.5
2. 건설업체 및 부도율 동향
구분
년도
일반 건설업
전문 건설업
합계
업체
부도
부도율(%)
업체
부도
부도율(%)
업체
부도
부도율(%)
88년도
468
4
0.85
4,430
39
0.88
4,898
43
0.88
89년도
930
1
0.11
5,481
44
0.80
6,411
45
0.70
90년도
918
3
0.33
5,842
33
0.56
6,760
36
0.53
91년도
912
9
0.99
6,511
87
1.34
7,423
96
1.29
92년도
1,700
23
1.35
12,433
213
1.71
14,133
236
1.67
93년도
1,653
49
2.96
12,195
305
2.50
13,848
354
2.56
94년도
2,651
50
1.89
17,763
440
2.48
20,414
490
2.40
95년도
2,958
145
4.90
19,621
767
3.91
22,579
912
4.04
97년도
3,543
196
5.53
21,842
607
2.78
25,385
803
3.16
00년도
3,900
291
7.46
23,925
1,061
4.43
27,825
1,352
4.86
03년도
4,208
524
12.45
25,793
1,579
6.12
30,001
2,103
7.01
06년도
5,155
112
2.17
29,704
354
1.19
34,859
466
1.34
09년도
7,978
132
1.65
31,823
449
1.41
39,801
581
1.46
참고문헌
권오경, 한국건설산업 대해부, 한미파슨스, 2005
남시현 외 2인, 특수건강진단에 대한 근로자의 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예방의학회지, 1995
박재수, 표본조사법, 박영사, 1989
통계청, 기준 건설업 통계조사 잠정결과, 1994
통계청, 건설업통계조사보고서, 1997
홍성만·윤용구·권대철·박범, 건설재해예방기술지도 결과자료 분석을 통한 중·소 건설 현장의 잠재사고 유발 요인 개선 방안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2004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10.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43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