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대 총체예술의 이해 중간고사 2021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주대 총체예술의 이해 중간고사 2021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1 주차 총체예술의 개념

<총체예술의 개념과 시원>

<이 시대 총체예술은 왜 요구 되는가?>

<총체예술의 이상론>

<총체예술의 시원>

<종합예술과 총체예술의 논의에 대한 정의>

<종합예술과 총체예술 간의 논쟁은 넌센스다>

2주차 바그너의 종합예술론

<바그너의 종합예술>

<바그너의 예술적 삶>

<바그너의 종합적 예술관>

<바그너의 역사극>

3주차 총체예술의 기호론과 행위예술

<총체예술의 기호론>

<행위예술이란>

4주차 공연예술의 계보와 행위예술의 수용의 문제

<공연예술(행위예술)의 계보>

5주차 총체예술로서 영화와 총체연극의 세계적 경향

<총체예술의 종착지-영화>

<총체연극의 세계적 경향>

<새로운 연극의 줄기들>

6주차 연극예술과 영화예술의 구조분석과 그 차이성

<연극과 영화, 그 간격_영화 예술의 독자성>

7주차 영화극 그리고 새로운 연극의 영화매체

<영화극>

<연극과 영화, 그 간격>

<새로운 연극과 영화 매체1>

<새로운 연극과 영화 매체 2>

본문내용

사회개혁주의]
-샌프란시스코 마임극단
-존재론적 광란극
-스콰트 씨어터
-빵과 인형극
-그로토브스키 극단
-안네 할프린 워크샵
-오픈 씨어터
-구조적인 연극
-리빙씨어터
→유럽공연예술의 제의주의와 사회개혁주의 뿌리내림(1964년 세계순회공연)
→정치연극의 번성을 남미에 전파(1970년 이후 남미공연)
-1972년 태양극단의 무슈킨[1973]: 좌파 운동에 실패한 프랑스 국민에게 어필
-1976년 스텔러[벚꽃동산]: 관객의 참여를 이끌고 무대와 객석 공간의 구분을 없앰
-이태리의 다리오 포: 이태리의 사회, 정치적 테마를 관중과 토론 형식으로 공연
-런던의 실헌 연극체: 제의 주의, 사회개혁주의 형식의 공연▶리빙씨어터의 영향
ㆍ남미 연극계
<칼리의 실험극단>-브엔나벤투라
-연극을 통해 사회적 정치적 문제를 지식인들이 깨닫도록 자극을 주어야 함
-대중적 연극은 그 나라의 어풍에 맞게 발전
-서구적 관념의 자연주의 연극관 철회(발견한 공연공간 이미지)
ㆍ남미 연극계의 특징
-토속적 문화 발굴+새로운 공연양식
-브레히트의 영향(교육극)→리빙씨어터(집단 창작적인 공동작업)
-과격한 혁명적 분위기 연출(뉴욕 남미 연극체)
미국 연극계
-스커아트 씨어터 연극의 변혁 추구→쇼윈도연극
-쉐크너: 환격연극/ 포먼: 존재론적 광란 연극/ 윌슨: 풍경연극
(풍경연극 이미지)
-1984년 LA 올림픽위원회의 예술축제(창의적 연출가의 데뷔 공연)
: 토탈씨어터의 현황을 알 수 있는 축제
6주차 연극예술과 영화예술의 구조분석과 그 차이성
<연극과 영화, 그 간격_영화 예술의 독자성>
1)영화예술의 독자성
ㆍ카뉴도의 영화예술의 특성
건축과 음악=
시간예술+공간예술
회화와 조각=
에프스타인[에트나 산상의 영화]
-영화의 새로운 가능성
ㆍ듈락의 주장
BAD: 극적 스토리의 전개→영상의 자연스런 전개상에 인위적으로 개입시키는 주제어의 도해→ 극적ㆍ소설적 상황을 다채롭게 하는 편리한 수단
GOOD: -영상의 운동을 완벽하고 순수한 형태로 재발견
-영화와 음악의 공동점 모색:리듬의 재발견
-리듬을 통한 영화적 감동 창조
-영화의 움직임에 대한 듈락의 정의: 영화가 발산하는 우리의 인상은 순수한 시각에서만 감동을 찾을 수 있다.(시각주의자 델륙의 사상과 연관)
<연극과 영화, 그 간격_영화와 연극>
2)영화와 연극
ㆍ파노프스키
[영화라는 매체와 스타일]
-희곡을 시나리오화한 영화가 영화예술로서 성공할 수 없음은 연극의 정적인 공간과 영화의 동적인 공간의 표현 차이에서 기인한다.
-사실적 외형적 리얼리티를 포착하므로서 영화의 형식 강조
ㆍ뮨스터베르그
-영화극인 무성영화의 연구로 영화예술과 연극예술의 차이점을 규명
-외형적인 리얼리티의 재현은 연극적인 작업에 해당
<영화와 연극, 그 구조 분석>
ㆍ구조주의: 영화와 연극, 그 구조분석
구조: 각 구성요소의 창조적 동적 구조를 분석, 이론화하겠다는 의미의 구조주의
ㆍ프라그학파
-구조주의를 처음 소개
-예술연구 방법(기호체계의 합리화)
→구조적 기호학의 조직화
구조적 기호학: ‘기호적 사실로서의 예술’에서 소개된 기호예술학에서 출발
-예술의 구조주의 성립:시나 문학에서 집중 토론된 기호학의 제문제를 연극, 음악 등 타예술 분야에도 확장
7주차 영화극 그리고 새로운 연극의 영화매체
<영화극>
ㆍ관객의 정신적 작용: 영화극에서 사건은 리얼한 공간에서 이루어지지만 관객의 보는 입장에서는 삼차원적인 공간이 아닌 이차원적 공간의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다.
영화극의 장점:
① 집중의 방식: 클로즈 업 기법
② 현재 사건과 과거 사건의 대비
③ 미래의 세계 창조, 꿈과 환상의 리얼리티
④ 감정과 정서를 느낄 수 있음
영화극과 무대극의 기능상 차이성-영화극이 무대극에 비해 외적 세계에 관심이 크기 때문이다.
ㆍ무대극: 배우들이 극의 주인공에 맞는 생활상을 보여주는 것
ㆍ영화극: 무언의 쇼-무언적 연기에 있어서 제스처의 강렬함과 리듬성은 말하는 내용에 의해 사상과 감정을 말과 행동을 동반해서 표현하고 있는 무대극에 비해 더욱 뚜렷하게 전달함(상황과 정서를 관객에게 전시)
<연극과 영화, 그 간격>
영화극에서의 배우: 영화극에 대한 심리적 고찰- 영화극에서 배우의 존재는 평면의 그림 속에 존대
-배우는 평면의 공간 속에서가 아니라 깊이 있는 리얼한 무대의 공간에서 보여준 것처럼 느껴짐
-사진이 인물을 평면적인 형식으로 보여주는 속임수
→살아 있는 인물의 육체적 공간을 상실시킨 속임수
ㆍ영화극에서의 조화-통일성: 시간과 공간과 우연성의 제약으로부터 해방→영화극은 현재와 과거를 오갈 수 있다.
<새로운 연극과 영화 매체1>
ㆍ필름의 경험: 필름에 담겨진 소리와 영상에 집중하도록 하는 영화는 필름의 경험이며 활동사진의 사용이 제약을 받지 않는 무대의 경험
ㆍ활동사진:
-활동사진: 서사극, 총체극 또는 무대극의 한 요소로 사용
-존스: “말하는 영상과 살아 있는 배우가 동시적으로 선보일 날이 올 것이다.”
-존스 주장의 문제점: 연극과 공연을 혼동한 또는 연극과 공연을 똑같이 생각
-무대 배경필름과 무대 공연의 행동을 똑같이 재현: 의식과 무의식의 두 세계 표현
-필름의 무대공연 참여: 정통적인 영화와 연극을 번갈아 보여주는 형식화된 공연에 불과함
<새로운 연극과 영화 매체 2>
ㆍ코웬:
-공간극장이라는 빛의 환경극을 개발하여 발전
-공간극장의 특징: 어떤 방향에서도 빛과 슬라이드와 활동사진을 비출 수 있는 적합한 거울과 프리즘의 회전시스템은 갖음
-회전시스템: 원하는 시각효과를 관객의 머리 위 또는 스크린이나 천장 등 어느 곳에나 보여줄 수 있는 기능
ㆍ존 케이지: Black Mountain 대학의 여름 학교- 필름을 공연과 함께, 즉 음악 시낭송, 무용과 동시에 천장과 벽면에 영사
ㆍ카프로: [6파트의 19개 해프닝들]-일련의 슬라이드 상연(영상)과 함께 1959년 공연
ㆍ휘트만: (1965)공연
영사된 비전과 실질적으로 공연되는 이미지를 비교하는 동시적 상연 무대 뒤에 온통 스크린으로 덮여 있고 그 스크린에 등장한 두 소녀가 스클니 앞 무대 위에서 공연.
공연이 진해되는 동안 필름의 이미지와 무대 위에서 공연되는 현실의 이미지가 지속적인 관계를 형성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10.26
  • 저작시기202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63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