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문학 청령일기(가게로 일기)의 정의, 일본문학 청령일기(가게로 일기)의 저자, 일본문학 청령일기(가게로 일기)의 본질, 일본문학 청령일기(가게로 일기)의 주제와 구성, 일본문학 청령일기(가게로 일기)의 언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문학 청령일기(가게로 일기)의 정의, 일본문학 청령일기(가게로 일기)의 저자, 일본문학 청령일기(가게로 일기)의 본질, 일본문학 청령일기(가게로 일기)의 주제와 구성, 일본문학 청령일기(가게로 일기)의 언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일본문학 청령일기(가게로 일기)의 정의

Ⅲ. 일본문학 청령일기(가게로 일기)의 저자

Ⅳ. 일본문학 청령일기(가게로 일기)의 본질

Ⅴ. 일본문학 청령일기(가게로 일기)의 주제

Ⅵ. 일본문학 청령일기(가게로 일기)의 구성
1. 上巻
2. 中巻
3. 下巻

Ⅶ. 일본문학 청령일기(가게로 일기)의 언어

참고문헌

본문내용

悲哀, 怨望이나 嫉妬 등이라는 점이다. 평안한 마음이나 기쁨 등을 表現한 語는 극히 적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용례 중 가장 많은 용례로 「あはれ」語가 105개를 보이고 있다. 또한 이 일기 작품의 주제로 알려진 (もの)はかなし는 22개로 그 용례가 「あはれ」語에 비해 적게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語는 양적으로 많다는 사실과 함께 동시대 전후의 작품들의 용례에 비해서도 매우 높은 빈도로 사용되고 있다. 日記의 105개 용례는 이전의 일기 작품들, 특히 같은 계통의 일기문학인 土佐日記 6개, 和泉式部27개 등과는 비교할 수 없는 높은 빈도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거의 동시대로 알려져 있는 大和物語의 빈도수와 비교해보면 거의 비슷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 사실은 그 무렵부터 양적으로 늘어났다는 사실과 함께 「あはれ」語가 사용된 대상이나 의미의 폭이 넓어졌으리라는 추측을 가능하게 한다.
「あはれ」語를 중심으로 일본문학의 원리를 논한 사람은 本居宣長이다. 그의 저서에 의한다면 「あはれ」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은 곧바로 일본문학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源氏物語の玉の小櫛』 저서에서 「あはれ」語를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다.
まずすべてあはれというはもと、見るもの聞くものふるる事に、心の感じて出る歎息のにて、今の俗言にも、ああといひ、はれといふ是也。
요컨대 「あはれ」語는 「ああ」와 「はれ」가 합쳐져서 생긴 말로 마음 속 깊은 곳에서 우러나오는 순수한 감동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즉 「あはれ」語는 탄식의 소리인 감동사적 용법으로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최초의 감동사적 용법에 이어서 계속되는 그의 「あはれ」語의 분류를 정리해 보면 이것을 포함하여 다음과 같이 6개로 분류할 수 있겠다.
a,歎息の 感動詞的用法
b.あはれと見るあはれときく、あはれと思ふなどいふたぐひ 副詞的用法
c.あはれなりといふたぐひ 形容動詞的用法
d.あはれをしる、あはれを見す、あはれにたへず、などいふ類 名詞的用法
e.物をあはれふといふ言 動詞的用法
f.もののあはれ 名詞的用法
이처럼 그는 탄식의 소리로부터 생겨난 「あはれ」語가 시대적으로 변화 발전한 과정을 논하고 있다. 이상의 「あはれ」語의 발생과 변화 과정의 해석에 이어서, 그는 「あはれ」語의 의미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하고 있다.
あはれは、悲哀にはかぎらず、うれしきにも、おもしろきにも、たのしきにも、をかしきにも、すべてああはれと思はるるは、みなあはれ也。
오늘날 일반적으로 문맥 중의 「あはれ」語를 감동의 말로 받아들여, 현대어로 보통 「절실히, 숙연하게(しみじみと、しんみりと)」 내지 「멋, 정취가 있다(趣, 情趣)」 등으로 해석해 오고 있는 것은 이상의 그의 설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설에 따라 현대의 사전류들은 서로 큰 차이가 보이지 않을 만큼 유사하게 「あはれ」語의 의미에 대해 풀이하고 있다. 현대의 사전류에 보이는 「あはれ」語의 의미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あはれ」語는 「아아」와 「하레」가 합쳐져서 생긴 감동사이다.
(2) 처음 그 의미는 어떤 대상에 대한 찬탄과 기쁨의 감정을 나타낸 소리였으나, 愛情, 愛着 또는 슬픔을 나타내는 소리로 변화했다.
(3) 이러한 감동사로부터 명사가 생겨나 그 의미도 심화되어, 깊은 감동, 애정, 情趣, 동정, 비애, 쓸쓸함 등을 표현하는 語로 변화했다.
참고문헌
김상규(2007), 신편 일본문학사, 도서출판 책사랑
동아대학교 출판부(1998), 일본 고전문학의 산책
박윤호, 청령일기의 ‘아와레’에 관한 일고찰
木村正中(1980), 日記文學について, 鑑賞日本의 고전7 尙學圖書
玉井幸助(1965), 일기문학연구, 埼書房
吉田精一 편, 유정 역(1984), 현대일본문학사, 정음사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11.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87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