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윤리학 정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부

제1장 상대주의

제2장 이기주의

제3장 쾌락주의

제4장 공리주의(1)

제5장 공리주의(2)

제6장 칸트 의무론(1)

제7장 의무론

제8장 덕윤리

제2부

제3장 양심

제4장 도덕감

제6장 도덕과 종교

본문내용

서 극복하려는 시도이다.
-이미 우리는 근대 시민사회의 구조 속에 살고 있기 때문에 양자는 상호보완의 관계라 해야 한다.
제2부
제3장 양심
*버틀러의 양심
-인간의 행위를 촉발하는 동기에는 세 가지 차원이 있다.
①정념과 애착
:추구하는 외적 대상과 관련
:경우에 따라 자기도 모르게 좋은 행동을 촉발
:의식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리 대문에 이기적인 것도, 이타적인 것도 아니다.
②자기애
:자기의 삶 전체의 차원에서 행복과 번영을 최대로 의도적으로 추구하는 것.
:자신의 행복이 극대화되도록 충동/애착/욕구들을 조절하고 통제
:자기이익의 관점에서 모든 것을 이성적으로 따져보는 냉철한 사고 작용이다.
③이타심
:타인의 복리를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또 하나의 이성적 원리
:동정심과는 구별된다.
:공공의 행복을 극대화하려는 이성적 계호기에 의한 것이지 타인의 사정에 의한 감정적 반응이 아니다.
④양심
:다른 요소들이 어디까지 작용해도 좋은지 한계를 결정한다.
:인간 본성의 내적구조를 통제한다.
2.충동들
-①개개의 욕구들은 각기 나름의 특수한 목적을 지닌다. ②반면 자기애는 행위 당사자의 최대행복이라는 일반 목적을 지닌다.
-자기애는 어떤 외적 대상들을 그 자체로서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내적 목적인 자신의 행복과 만족을 위한 수단으로 추구하는 것이다.
-자기애는 욕구와 충동을 수단으로 삼아 스스로의 목적을 달성한다.
⇒욕구와 충동들은 사심 없고 맹목적인 것으로써 행위자의 삶 전체에 있어서 행복을 극대화하려는 동기를 갖고 있지 않다.
3.자기애와 이타심.
-①자기애는 개개인의 최대 행복을 추구하는 원리이고 ②이타심은 사회전체의 최대행복을 추구하는 원리이다.
-①자기애는 자신에게 영향을 주는 충동들은 조절 ②이타심은 타인에게 영향을 주는 충동들을 조절한다.
-①자기애와 ②이타심은 전체의 목적을 위해 완벽하게 일치한다.
4.양심
-①이타심이나 자기애가 양심과 충돌한 경우 양심은 언제나 우위에 서게 된다. ②이타심과 자기애가 충돌할 경우 양심이 양자 중 무엇이 옳은지를 결정한다.
*자기의 마음/감정/행위를 시인하거나 부인하는 인간 내부의 원리가 바로 양심이다.
⇒칸트의 실천이성 같은 ‘타고난 도덕적 능력’
5.양심에 대한 회의(후천적으로 훈습된 사회적 규범)
-양심의 가책이라는 것은 어릴 때의 반복된 행동이 우리의 몸에 배어 나타나는 조건반사에 불과하다?
-양심이란 명령, 금지, 형벌, 관습과 같은 외적 규범이 내면화된 것이다. (프로이드의 초자아)
6.선험적 전제로서의 양심
-이난성 안에 실천적이고 절대적이며 보편적인 도덕원리가 주어져 있다?
-모든 인간에게는 선악을 주관하는 양심의 싹이 존재한다.
7.양심의 가책과 도덕적 질변
-양심의 가책은 우리의 참모습과 현재 모습이 괴리되어 있음을 알려주는 표시이며, 우리로 하여금 늘 도덕적으로 깨어있도록 촉구하는 파수꾼이다.
제4장 도덕감
1.근대 철학의 특징: 이원론
<①자연과학의 발달 / ②자아의 발견>
①자연과학의 발달
:경험세계를 객관적으로 설명해준다.
:현상적 세계만을 보여주는데 그친다.
②자아의 발견
:데카르트의 ‘주관성의 철학’은 생각하는 주체(자아)와 생각되는 대상(세상)의 분리를 가져옴
:자의식이 분명해질수록 우리는 다른 존재를 이해하기가 점점 더 힘들어진다.
⇒흄: “주체는 객체가 아니기 때문에 있는 그대로의 객체를 결코 알 수 없다.”

“무엇이 주관적으로 하여금 한 객체(대상)으로서의 선을 인식하고 지향하게 하는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도덕감”의 개념이 등장
(감각기관이 물리적 대상을 인식하듯, 도덕감을 통해 도덕적 대상을 인식)
2.샤프츠베리와 도덕감 윤리학
-자연과학의 기계론적 세계관으로는 인간의 참된 본성과 도덕의 본질이 만족스럽게 설명될 수 없다.
-유기체적 자연관: 우주의 구조는 목적론적으로 파악되며 각 부분들을 조화로운 우주의 실현을 위한 수단이 된다.
-우리가 자신의 욕구를 자신의 본성과 조화시켰을 때만 선이 되며 도덕적 선을 이기적 경향과 사회적 경향이 하나의 조화로운 균형에 도달하는 데에 놓여있다.
-비도덕적 행위란 어떤 절대적인 악에서 기대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부분적인 욕구나 감정을 전체적인 목적과 조화시키지 못하는데서 오는 것일 뿐이다.
-모든 인간은 도덕문제에 있어 도덕적 가치를 판별하는 도덕적 마정이나 자연적 감정을 갖고 있다.
⇒우리가 어떤 자연물이나 예술품의 아름다움이나 추함을 직관적으로 인식하듯이, 행위나 성격의 선악 역시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인식.
3.예술적 경험과 도덕감
-예술적 경험
:대상을 지적으로 인식하는 게 아니라 감성적으로 느낄 때의 경험을 가리킨다.
:대상을 아무런 이해타산 없이 바라볼 때 그 대상을 예술적으로 경험된다.
:인간이 자연과 살아있는 관계를 맺는데서 생기는 경험이다.
(인간과 자연이 화해하는 순간)
:예술적 경험 속에서 주체와 객체의 구분은 사라진다.
:①자연적 세계관에 의해 사물화 된 ②자의식의 발달로 타자화 된 소외된 인간관계를 회복하는 것.
제6장 도덕과 종교
*칸트의 도덕종교
-실천이성이 최고선의 실현을 필연적으로 추구한다는 사실을 들어 영혼불멸과 신의 현존을 요청한다.
-최고선을 실현시키는 일은 도덕법칙에 의해 규정될 수 있는 의지의 필연적인 목표이다.
<최고선 실현의 두 가지 조건과 요청>
1)도덕법칙의 명령을 의지가 완전히 따르는 것(덕과 행위의 완전한 일치)
-유한한 존재인 인간에게 있어 덕과 행위의 완전한 일치는 의무의식을 통해 끝없이 다가가야 할 대상이다.
⇒현세에서 불가능하다면 내세에서라도 가능해야 한다.
⇒‘영혼불멸’은 순수한 실천이성의 요청이다.
2)도덕성에 걸맞는 행복
-도덕법칙은 감성계(현상계)가 아니라 ‘예지계’에 속해 있기 때문에 “감성계(현상계)”와 관련된 행복까지 보장할 수는 없다.
(하지만 도덕법칙을 완전하게 실천한다고 해도 그러한 덕에 걸맞는 행복을 기대할 수 없다면 도덕법칙은 허구에 불과하게 된다.)
⇒그러므로 인간의 유한성(무능력)을 보완함으로써 ①도덕성과 행복의 엄밀한 일치를 보장해주는 원인이자 ②전체자연의 원인인 ‘신의 현존’이 요청된다.
(신의 현존을 가정하는 것은 도덕적으로 필연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1.03.24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95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