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녀시조(妓女時調 사치노예)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녀시조(妓女時調 사치노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기녀시조
1. 전반적 특징
(1) 주제와 형식
(2) 언술
1) 양반 체제의 언술
2) 가부장제에서 아내의 언술
3) 反一家父長的 언술
2. 미학
(1) 우아미
(2) 비애미
(3) 숭고미
(4) 희극미
3. 작가별 작품 개관
(1) 황진이(黃眞伊)
(2) 소춘풍(笑春風)
(3) 계랑(桂娘)
(4) 한우(寒雨)
(5) 홍랑(洪娘)
(6) 명옥(明玉)
(7) 천금(千錦)
(8) 매화(梅花)
(9) 송이(松伊)
(10) 구지(求之)
4. 문학사적 의의

Ⅲ. 나가는 말

본문내용

양에 살던 기생이라 하며, 그가 지은 시조가 '청구영언'에 8수 전한다.
매화 옛 등걸에 봄졀이 도라오니
옛 퓌던 가지에 픗엄즉도 하다마는
春雪이 亂紛紛하니 필동말동 하여라
이 시조는 늙음에 대한 한탄과 젊음을 그리워함을 노래한 것이다. 작가는 '해동가요'에 名妓九人
) 황진이, 홍장, 소춘풍, 소백주, 한우, 구지, 송이, 매화, 다복
중의 한 사람으로 기록되어 있다. 초장의 '매화 옛 등걸'은 老妓로서 자기 자신을 말하는 것으로, 돌이킬 수 없는 젊음을 가리킨 것이며, 종장의 '춘설이 난분분하니'는 젊고 예쁜 기생이 많음을 뜻하는 것으로, 옛정의 사람이 찾아 올 법도 하지만 젊고 예쁜 기생들이 많으니 자신이 없다고 하는 안타까운 심정을 노래한 것이다.
) 황국산, 『고시조 해설감상』, 태을출판사. 2000, 292면
자연계의 반복적, 순환적 의미와 더불어 인간세상의 단절적, 가변적인 의미의 대립이 첨예하게 드러나는 작품이다.
43) 이화형, 「기녀시조를 통해 본 인간적 한계인식과 극복의지」, 2000
(9) 송이(松伊)
솔이 솔이라 힝니 무싶 솔만 너기다다
千尋絶壁의 落落長松 내 긔로다
길 아래 초동의 졉낫시야 걸어볼 줄 이시라
이 시조는 비록 신분이 천한 기생이지만 고고한 자부심이 있음을 노래한 내용이다. '솔이'는 작가 자신의 이름을 고유어로 이른 말로써 중의적인 표현이다. 몸은 비록 기생이어서 세상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지만, 뜻은 높아 아무나 쉽게 접근할 수 없다고 하여 자신의 고고하고 의연한 긍지를 당당하게 읊고 있다.
44) 황국산, 『고시조 해설감상』, 태을출판사, 2000, 292면
'천심 절벽에 낙락 장송이 내긔로다'를 통해 황진이의 시, '청산리 벽계수야'에서는 단어의 이중적인 뜻으로만 짐작하던 말장난의 상황이 송이의 시조에서는 드러난 비유로 제시된다. 즉 1, 2장에서 자신을 낙락장송에 비유하고 3장에서 상대를 잔솔이나 베어갈 초동으로 비유하므로 서로 걸맞지 않는 상대라는 것을 제시한다. 상대방의 단념을 설득하고 자신이 상대를 선택하지 않음을 분명히 드러내는 언술이다.
) 강금숙 외, 『한국페미니즘의 시학』, 동화서적, 1996, 101면
(10) 구지(求之)
기녀라고만 전할 뿐 그 생애에 관한 다른 기록은 전하지 않는다. 단지 다음의 노래로 보아 평양의 명기였으리라 짐작한다.
長松으로 배를 무어 大洞江에 띄워두고
柳一枝 휘여다가 굿이굿이 매얏는데
어듸서 亡伶엣 것은 소해 들라 하느니
이 시조는 송이의 시조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곧고 굳은 절개를 노래한 것이다. 기류들이라고 지조가 없으란 법이 없다. 오히려 그들의 절개가 더 곧고 곧은 지도 모른다. '배'는 작가 자신을 비유하는 것으로, 소나무로 만든 것이니 절개가 높음을 비유하는 것이다. 냇가의 버들가지에 굳게굳게 매였다는 말은 임을 사랑한다는 뜻이며, 종장의 '망령엣 것'은 자신을 유혹하는 뭇남성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어떠한 유혹에도 넘어가지 않고 임에 대한 지조를 지키겠다는 뜻이다.
46) 황국산, 『고시조 해설감상』, 태을출판사, 2000, 292면
구지는 남자를 물에 비유하는 환유적인 수사법을 사용하고 있다. 자신(배)이 선택한 곳은 소가 아닌 대동강으로 그 까닭은 유일지란 愛夫가 자신을 매어놓고 있음을 빗대어 거절하고 있다. 물이 있어야 배가 뜨듯이 배와 강은 남녀의 환유적 관계로 자주 표현된다. '산과 물', '달과 물', '철과 대장간', '낚시꾼과 고기'라는 환유적 관계로 남녀의 성적인 어울림이 비유되고 있다.
) 강금숙 외, 『한국페미니즘의 시학』, 동화서적, 1996, 101면
4. 문학사적 의의
기녀시조의 시조사적 의미는 사대부 시조와도, 사설시조와도 같지 않은 기녀시조의 특수성에서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기녀시조는 세련된 표현 기교를 갖추었을 뿐만 아니라 순수 국어를 잘 구사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으며 내용 면에서는 남녀간의 애정 및 인간의 정서를 솔직 담대하게 표현하였다는데 초점을 둔다. 또한 기녀들이 시조를 짓고 향유했던 문화는 시조 작가층의 확대와 더불어 시조가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상류 계층의 전유물이었던 시조를 조선 중기에 이르러 기녀들도 짓고 읊었다는 점은 후기의 가객 및 평민층으로까지 시조 작가층이 확대될 수 있었던 계기를 마련한 것이며 이런 점으로 미루어보아 기녀 시조는 시조 문학 변모에 큰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 안지영, 「기녀시조의 시조사적 의미」, 2001
Ⅲ. 나가는 말
기녀들은 특수한 신분으로 인해 양반 문학 장르인 평시조를 지을 수 있었으나, 또한 그러한 신분의 억압된 현실 때문에 존재적 문제를 시조의 주제로 삼을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기녀시조에는 양반 체제의 언술과 가부장제 아내의 언술, 反一家父長制적 언술이 나타나며 우아미, 비애미가 주를 이루고 더불어 숭고미, 희극미도 나타난다.
기녀들의 작품을 10명의 작가별로 감상하여, 그들이 추구하고자 했던 것과 그에 대한 좌절로 인한 인간적 고뇌를 비유와 말장난과 인용, 의성법이라는 시적 기법을 다양하게 구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녀시조가 가지는 시조사적 의의를 알아보았다.
* 참고문헌
강금숙 외, 『한국페미니즘의 시학』, 동화서적, 1996
문정희 역, 『기생시집』, 해냄, 2000
辛恩卿,『古典詩 다시 읽기』, 보고사, 1997
박을수, 「한국 여류문학사 서설-시조문학상의 여류문학」, 1986
심영구, 『기창시화 妓窓詩話 조선 기생 이야기』, 미래문화사
안지영, 「기녀시조의 시조사적 의미」, 2001
이화형, 「기녀시조를 통해 본 인간적 한계 인식과 극복 의지」, 2000
이화형, 「기녀시조의 해학성과 究竟的 소망」, 2002
이수봉. 「和答歌攷 : 妓女 時調 中心으로」, 1973
임성득, 「妓女時調考察 - 作家, 作品, 優秀性을 中心으로」, 1991
임종찬, 「인습의 거부 - 기녀시조를 중심으로」, 1979
황국산, 『고시조 해설감상』, 태을출판사, 2000
황재군, 「여류 고시가의 희극미 연구」, 2000
황재군, 「여류 고시조의 미감 연구」, 1997
황재군, 『한국 고전 여류시 연구』, 집문당, 1985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03.28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10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