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판소리 역사][판소리 3대요소][판소리용어][판소리 조][판소리 웃음]판소리의 개념, 판소리의 특징, 판소리의 역사, 판소리의 3대요소, 판소리의 용어, 판소리의 조, 판소리의 웃음, 판소리 관련 제언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판소리][판소리 역사][판소리 3대요소][판소리용어][판소리 조][판소리 웃음]판소리의 개념, 판소리의 특징, 판소리의 역사, 판소리의 3대요소, 판소리의 용어, 판소리의 조, 판소리의 웃음, 판소리 관련 제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판소리의 개념

Ⅲ. 판소리의 특징

Ⅳ. 판소리의 역사
1. 발생시기
2. 판소리의 구성
3. 판소리의 기원

Ⅴ. 판소리의 3대요소

Ⅵ. 판소리의 용어
1. 고수
2. 광대(창자)
3. 발림
4. 너름새
5. 추임새
6. 아니리

Ⅶ. 판소리의 조
1. 우조(우조길)
2. 평조(평조길)
3. 계면조(계면길)
4. 설렁제(덜렁제)
5. 경드름

Ⅷ. 판소리의 웃음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있을 것이다. 왜냐 하면 판소리에서 웃음의 주체가 될 수 있는 것은 이 셋뿐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작중인물의 웃음은 작중 인물 자신과 자신이 관련된 상황에 대한 자기 평가의 웃음이고, 이 작중인물에 대하여 또다시 평가하는 웃음이 창자와 청자의 웃음이다. 그런데 어떤 상황은 이 세 가지 웃음을 모두 유발시키고 또 어떤 상황은 이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만 유발시킨다. 판소리에는 작중인물이나 창자가 웃음을 야기시키는 언행을 전혀 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청자가 웃게 되는 상황이 매우 빈번하게 등장한다. 작중인물이 비탄에 잠겨 있는 대목에서도 청자는 웃고, 화를 벌컥벌컥 내고 있는 대목에서도 청자는 웃고, 악에 받혀 있는 대목에서도 청자는 웃는다. 이에 반해 창자가 작중인물을 비하하거나 조롱하는 데도 청자는 전혀 웃지 않는 대목도 있다. 이러한 사실은 특정 상황에 대한 지적 평가가 작중인물, 창자 그리고 청자가 각기 다를 수 있음을 뜻하는 것이다. 즉 웃음을 통해서 작중인물, 창자 그리고 청자의 세계인식이 조화를 이루거나 대립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청자의 웃음이다. 판소리가 실제로 연행되든 되지 않든 기본적으로는 연행성을 지향하기 때문이다. 판소리의 웃음은 창자와 청자의 상호 역동적인 관계에서 유발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판소리 연행에 참가한 청자에 대한 엄밀한 고려가 없으면 판소리의 웃음은 제대로 분석되지 못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동일한 판소리의 동일한 대목을 서로 다른 판소리 창자가 부르면 청자의 반응 역시 다르다. 심지어 동일한 판소리 창자가 공연하는 동일한 판소리의 동일한 대목에서 어떤 청자는 웃는데 어떤 청자는 전혀 웃지 않는 경우도 허다하다. 이처럼 각양각색인 청자의 반응을 유발시키는 가장 대표적인 변수는 바로 판소리 창자의 수준과 청자 자신의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창자와 청자의 이와 같은 상호 관계 역시 판소리 사설을 매개로 한다는 점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일차적으로 판소리의 웃음의 근본 요인이 바로 판소리 사설 자체에 내재되어 있다고 간주한다.
판소리는 판소리 창자가 창과 사설로 청자의 웃음을 유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래서 작중인물 또는 창자의 웃음의 의미와 청자의 웃음이 조화를 이루느냐 아니면 대립하느냐를 가지고 판소리의 웃음을 분류해 보기로 한다. 이 때 작중인물과 창자의 웃음이 대립하느냐 대립하지 않느냐도 고려되긴 하지만 이것은 그다지 중시되지 않을 것이다. 이들 상호 간의 조화나 대립은 결국 청자를 염두에 둔 것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창자는 작중인물의 웃음과 자기 자신의 웃음을 조화시키거나 대립시키는 것은 오로지 청자의 웃음을 유발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이미 앞에서 지적했다시피 그러한 창자의 의도가 그대로 청자에게 관철되는 것은 아니다.
Ⅸ. 결론 및 제언
판소리는 너무나도 장르가 이상하기에 그리고 너무나 방대한 것이기에 아직 나로서는 그렇게 쉽게 뭐라고 말하지는 못한다. 그러나 우리 판소리를 사랑하고 별로 맘에는 안 들지만 판소리를 연구하는 국문 학자들이 우리 관심 있는 학생들과 함께 계속 연구하고 공부한다면 정말 우리 판소리를 그 옛날 우리말의 아름다움의 극치를 보여 줬던 판소리를 다시 살려낼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대행, 시조·가사·무가·판소리·민요의 교섭 양상, 한국학 연구 제7집, 고려대 한국학연구소, 1995
김종철, 판소리사 연구, 역사비평사, 1996
조동일, 판소리의 이해, 창작과 비평사, 1978
정병헌, 판소리와 한국문화, 역락, 2002
최동현, 판소리 이야기, 1999
판소리 학회, 판소리의 세계, 문학과 지성사

키워드

판소리,   ,   웃음,   서민,   소리꾼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10.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91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