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의 종교][북한의 종교][남북종교교류의 필요성][남북종교교류의 현황][남북종교교류의 방향]남한의 종교, 북한의 종교, 남북종교교류의 필요성, 남북종교교류의 현황, 향후 남북종교교류의 방향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남한의 종교][북한의 종교][남북종교교류의 필요성][남북종교교류의 현황][남북종교교류의 방향]남한의 종교, 북한의 종교, 남북종교교류의 필요성, 남북종교교류의 현황, 향후 남북종교교류의 방향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남한의 종교
1. 불교
2. 유교
3. 기독교
4. 천주교
5. 기타

Ⅲ. 북한의 종교

Ⅳ. 남북종교교류의 필요성

Ⅴ. 남북종교교류의 현황
1. 종교계 인사의 방북 및 북한주민 접촉 현황
2. 종교계의 대북 인도적 지원 현황

Ⅵ. 향후 남북종교교류의 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도를 하나 되게 하는 일이 아니라 사람 사이의 증오와 갈등, 자연 속에 닫혀진 장벽, 막힌 산천의 길과 숨통을 한꺼번에 터내는 생명운동의 길이다. 민족의 통일만으로 사람과 역사 속의 온갖 소외와 갈등을 풀어가는 생명운동이 완성되는 것이 아니지만, 분단의 질곡을 도외시하는 생명운동은 관념 속의 운동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생명운동으로서 통일운동의 길은 남북의 대결을 화해와 통일로 돌이킬 뿐 아니라 사람과 자연을 화해시키고 충돌하는 문명의 대립을 융회하며 의식과 존재의 소외와 대립을 해소함으로써 원융무애한 화해의 바다에로 뭇 대중을 이끌어가야 할 것이다.
여러 종교는 인간의 소외와 고통이 지양된 이상세계(理想世界)를 다양한 언어로 기술한다. 인격신의 존재를 인정하는 서구종교는 그런 세계를 ‘하나님의 나라’라 이름하고, 민족 고유 종교전통에서는 ‘진리가 교화하는 세상[理化世界]’이라 이름 한다. 도가(道家)적 전통에서는 ‘도의 근원에 돌아감[返本元始]’이라 이름하며, 불교에서는 소외가 지양된 진리의 세계를 의식[心]의 측면에서는 한마음[一心]이라 이름하고, 존재[色]의 측면에서는 깨끗한 땅[淨土]이라 이름 한다. 그러므로 원효는 불교가 표방하는 종교적 이상을 ‘한마음의 근원에 돌아가 널리 중생을 이익 되게 한다[歸一心源 饒益衆生]’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하나님의 나라’, ‘도의 근원’, ‘한마음’으로 표현된 진리의 세계가 현실의 모순과 질곡 밖 초월적 영역에 따로 주어지는 것인가. 그것은 질곡과 소외로 주어지는 현실역사와 현실의 삶 속에 소외가 지양되고 적대적 대립이 사라진 자유의 세계를 신학적 종교적 개념으로 표현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렇다면 종교적 진리의 세계는 죽은 뒤에만 가야 할 이상의 세계, 초월의 영역이 아니다. ‘하나님의 나라’, ‘한마음의 근원’은 현실 모순의 한복판에 본래적 해탈의 계기로 주어져 있고, 끝내 현실의 모순을 모순 아닌 모순으로 돌이킴으로써 구현하는 현실적 자유, 그것의 총체적 지평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진리의 나라는 현실 역사적 자유만이 아니지만, 현실 역사의 사회 정치적 자유가 빠진 관념의 세계 속에 있는 것도 아니다. ‘깨끗한 진리의 땅’은 불완전한 역사현실 밖 완전성의 정체된 공간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영원한 과정의 나라’로 주어질 것이다.
그러므로 생명운동으로서의 통일운동과 통일운동으로서의 생명운동을 통해서만 오늘 분단의 민족사 안에 종교가 나타내는 바 ‘진리의 세계’, ‘깨끗한 땅’은 통일의 새 세상으로, 분단의 고통에서 놓여난 민족대중 자신의 삶의 모습으로 구현될 것이다. 생명운동으로서의 통일운동을 행함 없이 행하는[無爲而爲] 자, 그는 통일을 위해 헌신하되 제도적 통일만으로 인간의 삶이 모두 자유로워지리라는 환상도 갖지 않는다. 그는 분단의 복판에 이미 있는 통일 안에서 현실의 통일을 구현하는 자이며, 본래적인 삶의 자유에 굳건히 서서 온갖 필연(必然)의 힘을 자유(自由)인 필연(必然)으로 정립하는 자이다. 그런 자를 우리는 ‘보디사트바(Bodhisattva : 菩薩)’라고 이름하고 ‘참사람[眞人]’이라 이름하며 ‘진리의 사도’라고 이름할 것이다.
참고문헌
고태우(1989) / 북한의 종교정책, 서울 : 민족문화사
강정구 외(1995) / 북한의 사회, 을유문화사
민족통일연구원(1992) / 남북한 사회, 문화공동체 형성방안 : 사회, 문화적 동질성 증대방안 중심, 서울 : 민족통일연구원
통일부(2000) / 사회문화분야 남북교류협력실무안내, 서울 : 통일부
하종필(2003) / 북한의 종교문화, 도서출판 선인
한국기독교총연합회 북한교회재건위원회(1997) / (한국교회)북한교회재건백서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4.0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35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