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가요][음악운동][광주민주화항쟁][광주민주화운동][민중가요 제고 방안]민중가요의 개념, 민중가요의 탄생, 민중가요의 변화, 민중가요와 음악운동, 민중가요와 광주민주화항쟁, 민중가요의 제고 방안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중가요][음악운동][광주민주화항쟁][광주민주화운동][민중가요 제고 방안]민중가요의 개념, 민중가요의 탄생, 민중가요의 변화, 민중가요와 음악운동, 민중가요와 광주민주화항쟁, 민중가요의 제고 방안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민중가요의 개념

Ⅲ. 민중가요의 탄생

Ⅳ. 민중가요의 변화
1. 대마초 파동과 포크의 좌절, 그리고 변질
2. 트로트의 부활과 무주공산 가요계
3. 대학가요제와 록의 제 2세대

Ⅴ. 민중가요와 음악운동

Ⅵ. 민중가요와 광주민주화항쟁

Ⅶ. 민중가요의 제고 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노동자 진영에서 나오게 되는데, 그 당시에는 물론 지금도 민중가요에서는 파격적으로 보이는 \'락(Rock)\'을 도입한 것이었다. 그 곡의 제목은 바로 누구나 잘 아는 \'불나비\'라는 곡이었다.
Ⅶ. 민중가요의 제고 방안
90년대에 들어서서는 민중가요에서 뿐 아니라 상업적인 대중가요와 클래식계에서도 민족음악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대두되었다. 이러한 각계의 시도와 실천으로 민족음악을 전형화 하고 발전시키는 많은 성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대중성을 가지고자 하는 몇몇 민중음악인등 일부 음악인 또한 아직까지 구태의연함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물론 요즘 전통음악과 서양음악, 대중음악이 결합하여 연주하는 시도되고 있고 합법음반을 내는 등 그 활동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결합방식과 음악의 예술적 구현에 있어서 기계적인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역사와 사회가 발전하듯이 음악도 발전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렇다면 지금의 민중가요 발전에 있어서 문제점은 무엇인지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90년대부터 변화하기 시작한 민중가요계에서는 내용에 있어서 그동안의 구호적이고 추상적인 한계를 극복하고 시대의 현실반영과 작품의 종자를 잡고 주인공의 전형화를 이루어내면서 서정성과 구체성, 현실성이 발전되고 있다. 핵문제, 공해문제, 전쟁 반대등 반독재구호로 일관되던 때와는 달리 내용에 있어서는 다양화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의 민중가요에 있어서 형식에 있어서는 어떠한가. 그 형식에 있어서는 오히려 뽕짝, 발라드, 째즈, 록풍 등 서양음악에 가까이 있어 내용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중을 민족정서가 아닌 상업적 대중가요와 서양음악정서에 길들이며 지금까지의 성과들을 오히려 퇴보시키지 않을까 하는 우려를 가지게 한다. \'민중가요는 대중음악으로 흡수되어가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져보지 않을 수 없다. 민중가요는 기존의 대중가요와는 다른 하나의 축을 이루어야한다. 대중성의 획득이라는 명제 하에 우리의 형식을 고민하지 않고 기존의 대중가요의 형식에 얽매여 있다면 어떠한 발전도 기대하기가 힘들다. 전자기타와 쿵쿵 울려대는 드럼, 마치 메탈을 연상케 하는 가수의 발성 -중국의 개방이후 옛 혁명가요를 메탈화시켜 부르는 그룹이 등장했다는 사실을 대중성, 가요의 발전으로 볼 수 있을까- 과 80년대 노래가사 바꿔 부르기를 연상케 하는 발라드풍의 민중가요, 일본의 엔까를 연상케 하는 뽕짝풍의 민중가요를 듣고 부르며 우리는 어떠한 미래를 이야기할 것인가. 대중가요와 똑같은 형식을 가지고 내용만 다른 노래로써 인식되어지는 민중가요는 살아남을 수가 없다. 예를 들어 서태지와 아이들의 \'발해를 꿈꾸며\'를 보자. 지금의 젊은 세대들이 통일 문제에 관해 너무 무관심한 것이 안타까워 이 노래를 만들었다고 작곡가는 이야기 한다. 청소년층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는 사실은 누구나 알고 있다. 그렇다면 이것이 민중가요인가. 이 노래를 듣고 환호성을 지르는 청소년들은 과연 통일을 목 메이게 갈망하고 있는 것일까. 민중가요의 한 단계 더 나은 발전을 내어오기 위해서는 이제 형식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할 때이다. 민중적 내용을 가장 잘 담을 수 있는 가장 민족적인 형식을 창조하고 민중가요가 민족음악으로 자리매김할 토대를 마련해야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창남 평론집 - 삶의 문화, 희망의 노래, 한울, 1991
민족춤패 - 그날이 오면 - 자료실, 민중가요의 역사
세광음악출판사 편 - 대중가요 1100, 서울 : 저자, 1999
임진모 - 장르탐험-민중가요, 웹진 이즘(IZM)
이영미 - 광주민중항쟁에 대한 노래적 형상화
홍정아 - 1980년대 한국 민중음악에 관한 고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6.2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53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