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訓民正音) - 해례(解例)를 중심으로 -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훈민정음(訓民正音) - 해례(解例)를 중심으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제자해 (制字解) - 제자원리를 중심으로
1.1 자음 (초성)
1. 2 모음 (중성)
2. 초성(初聲)와 종성(終聲)
2. 1 초성
2. 2 종성
3. 성음(成音)
♧ 참고 문헌

본문내용

한 것은 그들이 실용의 편의를 위해 음소적 원리를 택했음을 말해준다.
3. 성음(成音)
(1) 中聲者 居字韻之中 合初終而成音(중성해)⇒ 중성은 음절(字韻)의 가운데 놓여 초종 성과 합하여져 소리를 이룬다.
初中終三聲 合而成字(합자해) ⇒ 초중종 3성은 어울려야 글자를 이룬다 初聲或在中聲之上 或在中聲之左 ⇒ 초성은 중성의 위에 놓이거나 왼쪽에 놓인다.
中聲則圓者橫者在初聲之下 ㆍㅡㅗㅛㅜㅠ是也 縱者在初聲之右 ㅣㅏㅑㅓㅕ是也
⇒ 중성의 ‘둥근 것’과 ‘가로로 된 것’은 초성의 아래에 놓이는데, ㆍㅡ,ㅗ,ㅛ,ㅜ,ㅠ 그것 이다.‘세로로 된 것’은 초성의 오른쪽에 놓이는데, ㅣ,ㅏ,ㅑ,ㅓ,ㅕ 그것이다.
終聲在初中之下 종성은 초·중성의 아래에 놓인다.
.
(2) o聲淡而虛 不必用於終 而中聲可得成音也(종성해) ⇒ o소리는 맑고 공허하므로, 종성 에 쓸 필요 없이 중성만으로 가히 음절을 이룰 수 있다.
중국의 음운학이 二分체제(성모+운모)임에 비해 우리 훈민정음은 (3.1)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三分체제(초성+중성+종성)를 통해 음절이 형성된다. 기본적으로 초성과 중성, 종성이 모여 하나의 음절을 이루게 되므로 이를 모두 갖추어야 하나, (3.2)같은 예외적 경우도 더불어 설명하고 있다. 한자어에는 받침이 없는 경우 무조건 o을 써야했지만, 종성의 ‘ㅇ’이 음가를 지니지 않고 형식적으로 쓰였을 경우 고유어 표기에는 종성을 쓰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 참고 문헌
강신항(1990),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고영근(1997), 개정판 표준중세국어문법론, 탑출판사.
이기문(1998), 신정판 국어사개설, 태학사.

키워드

문법,   훈민정음,   해례,   중세국어,   국어사,   국어,   성음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8.04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27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