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소설의 발전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7세기소설의 발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시대변화의 계기
2. 17세기 전후 민족현실과 소설

Ⅱ. 본 론
▶ 주생전(周生傳)
1. 작가 소개 - 권필(權韠, 1569~1612)
2. 작품소개
(1) 인물 ,형식, 성격, 주제 소개
(2) <주생전>의 구성적 특성 -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과 비교
3. 줄거리
4. <주생전>이 가지는 의의
5.<주생전>의 소설사적 위상
(1) 소설사적인 맥락
2) <주생전>의 국문본 『묵재일기』의 발견

▶ 최척전(崔陟傳)
1. 작가 소개 - 조위한(趙緯韓)
2. 줄거리
3. <최척전>의 갈래상 특성
4. <홍도이야기> 와의 관계
5. <최척전>에 나타난 가족이산의 양상과 애정담
(1) 가족 이산
(2) 애정담의 양상
6. 인물연구
7. 소설사적 위상
(1) 17세기의 공백기를 메워준 작품
(2) 임진왜란의 참상고발과 포로문학으로서의 영역 개척
(3) 애정소설로서의 가치

- 전란을 보는 민중의 다층적 의식 -

▶ 임진록(壬辰錄)
1. 임진록의 탄생 배경
2. 자세히 들어가서
3. 임진록의 여러 계열
(1) 역사계열
(2) 최일영 계열
(3) 관운장 계열
4. 임진록의 문학사적 의의

▶ 임경업전 (林慶業傳)

- 임경업(林慶業, 1594-1646)
1. 작품의 형성배경
2. 작품의 줄거리
3. 작품 분석
4. 작품의 주제
5. 문학사적 의의

▶ 박씨전 (朴氏傳)
1. 줄거리
2. 특 징
(1) 인물의 형상화
(2) 제한성
(3) 주제의식
(4) <임진록>, <임경업전>과의 차이점
3. 문학사적 의의

- 봉건적 모순과 유토피아의 형상 -

▶ 홍길동전
1.작가소개
2. 작품소개
3. 홍길동전의 창작동기
4. 홍길동전의 사상
5. 허균의 사상과 홍길동전
6. 허균과 '홍길동전'
7. 논란의 여지
8. 홍길동전의 문학사적 의의
9. 홍길동전의 문학사적 의의에 대한 개인 견해

Ⅲ. 결 론

본문내용

동전의 문학사적 의의
일반적으로 ‘홍길동전’의 문학사적 의의를 살필 때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국문 소설의 효시이다
가전, 전기에서 어느 정도 탈피하여 소설다운 형태를 갖추었다
저항 정신이 반영된 현실 참여적 문학이다.
'구운몽', '사씨남정기' 등 후대 소설의 창작(創作)에 영향을 주었다
9. 홍길동전의 문학사적 의의에 대한 개인 견해
‘홍길동전’은 현실의 부조리(不條理)와 양란을 통해 생성된 무질서와 피부로 느껴지는 현실의 고통에 대한 타계(他系)를 위한 영웅의 갈망이 가장 큰 창작동기였으리라 생각된다. 하지만, 영웅의 갈망은 현실성이 없다. 그만큼, 영웅이 필요한 만큼 현실의 타락과 무질서, 고통은 컸던 것이다. 작가 허균의 사상에 대한 배경을 굳이 끌어들일 필요없이 작품 자체만으로도 현실참여 의식은 찾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그 구성에서도 주인공과 세계의 갈등구조는 소설의 문학적 진일보(進一步)한 형태를 보여 주며 홍길동전의 홍길동은 얼핏 보기에는 종래의 인물 전기 작품의 중심인물로 보이나, 구성 속에 담겨있는 생활화폭이 비교적 넓으며, 인간관계도 생활적으로 엉켜있고 알력과 갈등도 날카롭다. 간악한 첩 초란과 같은 부정적 인물과의 알력관계 속에서 홍길동의 불행하고 억울한 처지를 비교적 진실하게 묘사한다. ( 김춘택 『우리나라 고전 소설사』, 한길사, 1993 )
, 주인공과 세계를 통한 현실인식, 개혁의식 표출(表出) 등은 소설에 내재된 의식의 성장을 보여준다.
주인공 인물의 하향화는 이미 전(傳)에서 하층민들을 입전(入傳)하는 형태로 나타났었고, ‘영웅의 일생’이라는 전통적인 서사 유형은 주몽신화, 박혁거세신화 와 같은 신화, 전통설화, 17c 조선후기 한문소설에 나타남으로, 한국문학 소설의 발전에서 국문 소설로 이어지는 부분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국조신화(國祖神話)의 환웅은 환인의 서자라 하여 하늘에서 환인의 뒤를 잇지 못하고 지상으로 내려와 나라를 다스렸는데, 이것은 길동이 서자로 태어나 바다 밖에 있는 율도국을 다스린 것과 유사하다. 또한 주몽과 길동이 각각 물을 배경으로 비류곡과 율도국을 세운 점이 매우 유사하다. 윤경수, 「홍길동전의 전기적 성격」『조선조 소설의 신화적 분석』, 태학사, 1998, p516~517
또한, 이 작품의 가치(價値)는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현실주의(現實主義)적 당대의 모순을 정면에서 다루고 있다는 것인데 서인석, 「17세기 전후 민족현실과 소설의 발전」 『민족문학사강좌 (상)』, 민족문학사연구소, p195
, 이러한 현실반영의 리얼리티를 가지고 있다는 점은 문학의 내재적 역량(力量)의 성장을 통해 ‘홍길동전’이 창작되었다는 것에 충분한 근거가 된다. 물론, 논리의 비약, 심리표현의 한계, 인물 내면세계(內面世界)의 갈등 및 형상화 부족과 같은 한계(限界)가 있기도 하나, 이는 300여년 동안 발전해 온 현재 소설의 입장에서 해석하는 무리한 관점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현재의 당대성(當代性), 그 시대의 대표성(代表性), 문학적 유흥성(遊興性) 어느면에서나 부족함 없는 가치를 가지고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너무도 많이 다루었기에 그만큼 익히들어 진부해졌다라고도 할 수 있는 이 작품의 의의를 이제는 재창조를 위한 대상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Ⅲ. 결 론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루어진 작품들은 당대 현실을 강하게 반영하면서 소설사에 새로운 활력을 가져다 주었다. 기왕의 양식을 새롭게 계승한 것이나 「홍길동전」과 같이 새롭게 출현한 양식이나 마찬가지였다. 어느정도 한계가 있지만 민족현실의 수용에서 오는 “주제의 현실성”이라는 측면은 분명 이전 시기보다 진일보한 현실주의적 성과를 보여주었다. 17세기의 민족현실을 다룬 작품들의 소설사적 의의도 바로 이런 점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국어교육, 특히 문학교육에서 고전 소설 교육은 고전 시가 교육과 더불어 고전 문학 교육의 양대축을 형성하는 중요한 학습 영역이다. 고전 소설 교육은 근대 소설 교육과의 계기적 맥락에서 학습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고전 소설을 향유했던 선인(先人)들의 갈등 및 미의식의 양상을 이해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고전 소설 교육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한낱 지나버린 문학이 아닌 살아있는 문학으로 다가와야 한다. 또한 현대의 삶을 재조명하고 재창조하는데 기여할수 있는 방향으로 학습되어야 한다.
17세기의 민족현실을 다룬 소설은 고전 소설 교육의 기본방향에 대해 시사한다. 그 당시에 이러한 소설들이 나오게 된 역사적 배경이나 그 안에 담겨있는 민족의식에 대한 학습은 이런 유형의 소설을 향유했던 선인들의 고뇌와 열망이 무엇이었는지 알게 해주며, 이런 인식을 통해 우리의 삶을 되돌아 보게 하는데 기여한다. 시대적 모순과 외적의 침략, 간신들의 발호로 기울어져 가는 당시 조선에 대한 현실과 극복의지를 담고있는 작품들을 통해 민족정신이나 조국애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는 것이 그 한 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서인석, 「17세기 전후 민족현실과 소설의 발전」, 『민족문학사강좌(상)』, 민족문학연구소, 창작과
비평사, 199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3』, 지식산업사, 1994
양언석, 『몽유록 소설의 서술유형 연구』, 국학자료원. 1996.
유종국, 『몽유록소설연구』, 아세아문화사, 1987.
이상구, 『17세기 애정전기소설』, 월인, 1999.
박일용, 「주생전」, 『한국고전소설작품론』, 김진세 편, 집문당, 1990.
이복규, 『임경업전』, 시인사, 1998.
한국소설문학연구회, 『에센스 한국고전베스트 30』, 문학과 현실사, 1988.
윤경수, 「홍길동전의 전기적 성격」, 『조선조 소설의 신화적 분석』, 태학사, 1998.
정규복, 「홍길동전 이본고」, 국어국문학, 1981.
서종문, 「홍길동전에 나타난 현실인식문제」, 『허균의 문학과 혁신 사상』, 새문사, 1981.
임형택, 『한국문학사의 시각』, 창작과 비평사, 1984.
강석기, 『알기쉬운 우리 고전문학 선집』, 일종문화사, 1999.
김춘택, 『우리나라 고전 소설사』, 한길사, 1993.
소재영, 『조선조 문학의 탐구』, 아세아문화사, 1997.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36페이지
  • 등록일2011.08.19
  • 저작시기201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62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