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소설의 발전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7세기 소설의 발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히려 하였지만 역시 자료 부족으로 연구의 한계를 경험하여 몇 개의 작품 외에는 특이한 상이점이 없거나 자료가 부족하여 본 발제에 담을 수 없었던 점이 안타까운 점으로 남는다.
17세기의 소설은 이미 쓰였고 우리에게 남아있다. 이제 우리는 이러한 남겨진 것들을 그 시대의 관점뿐만 아니라 현대의 새로운 관점으로 다시 재해석, 재분석하여 이 시대와 접목되는 새로운 소설로의 방향으로 이끌어 나가야 할 것이다.
▶ 참고 문헌
구인환, 『임진록』, 신원, 2004.
권혁래,『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고전 최척전,김영철전』,현암사, 2005.
김기동,『韓國古典小說硏究』,교학사, 1981.
김대현, 『朝鮮時代 小說史 硏究』, 국학자료원.
김미란, 『고대소설과 변신』, 정음문화사, 1984.
김병희, 『고전소설의 이해』, 문학과비평사, 1991
김장동, 『조선조소설의 작품논고』,1986, 형설출판사.
김춘택, 『우리나라 고전소설사』, 한길사, 1993.
『조선고전소설사연구』, 한국문화사, 1999
김흥국, 『고소설의 사적전개와 문학적 지향』, 보고사, 1990.
『한국고소설해제집 下』, 보고사, 1997.
민영대, 『趙緯韓과 崔陟傳』,아세아문화사, 1993.
민족문학사연구소 엮음, 『민족문학사강좌(상)』, 민족문학사연구소, 1995,
박일용,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1993.
박태상, 『조선조 애정소설 연구』, 태학사, 1997.
서대석, 『군담소설의 구조와 배경』, 1985,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서인석, 「17세기 전후 민족현실과 소설의 발전」, 『민족문학사강좌(상)』, 민족문학연구소, 창작과 비평사, 1995.
소재영, “奇遇錄과 被虜文學”, 『임병양난과 문학의식』, 한국연구원.
소재영 “임진왜란과 소설문학”, 김태준 외, 『임진왜란과 한국문학』, 민음사.
오영석, 『한국고전소설연구』, 문호사, 1986.
우쾌제외, 『고소설 연구사』, 월인, 2002.
윤광봉유영대, 『고전소설의 이해』, 문학과 비평사, 1993.
이가원 『유교반도 허균(儒敎叛徒 許筠)』,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0.
이규복, 『임경업전』,1998, 시인사.
이복규, 『새로 발굴한 초기 국문. 국문본소설』, 박이정, 1998.
『우리 고소설 연구』, 역락, 2004,
이상구, 『17세기 애정전기소설』, 월인, 1999.
이상택외 3인 공저, 『고전소설의 기초연구』, 2001, 태학사.
임명덕 편, 『한국한문소설전집』, 권7.
임철호, 『임진록 이본연구』, 전주대학교 출판부, 1996.
임형택, 「홍길동전의 신고찰」(상), 『창작과비평』, 창작과비평사, 1976,
장덕순, 『국문학통론』, 신구문화사, 1961
장서각본 어우야담, 「김동욱 교주 단편소설선」, 민중서관
전영진, 『홍길동전, 박씨부인전』, 흥신문화사, 1995.
정병헌, 이지영 지음,『고전문학의 향기를 찾아서』, 돌베게, 1998,
정출헌, 『고전소설사의 구도와 시각』, 소명출판, 1999
정홍교 외, 『조선고대중세 문학작품해설』, 한국문학사, 1996,
조동일 외 6인 공저, 『한국문학강의』, 길벗, 1994,
조희웅, 『고전소설줄거리집성2』, 2002, 집문당.
최문정, 『임진록연구』, 박이정, 2003.
최운식, 『한국 고소설 연구』, 계명문화사, 1995.
『활자본 고전소설전집』10, 아세아문화사, 1977.
『구활자본 고소설전집』1, 인천대 민족문화 연구소, 1983.
『에센스 한국고전 베스트 30 상』, 문학과 현실사, 1993.
『에센스 한국고전 베스트 30 하』, 문학과 현실사, 1993.
한국고소설학회 엮음,『한국고소설의 자료와 해석』, 아세아문화사,2001,
황명운, 『한국고전베스트 30 上』, 문학과 현실사, 1988
<논문>
곽정식, 「許筠의 문학사상」, 경성대학교, 1998.
권혁래, 「최척전의 이본연구 -국문본의 성격을 중심으로-,」 『고전문학연구』 18, 한국고 전문학회, 2000.
「나손본 <김철전>의 사실성과 여성적 시각의 면모」, 고전문학연구 15권 1호, 1999.
김경미, 「<운영전>에 나타난 여성 서술자의 의의」,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4』, 2002
김귀식, 「<雲英傳>의 媒介詩 연구 - 宮女들의 漢詩를 중심으로 -」, 『古詩歌硏究 第13 輯』, 2004
김영, 「허균론(許筠論)」, 『애산학보』, Vol.19, 1996.
김일근, <周生傳>과 <韋敬天傳>언해의 連綴本 출현에 따른 서지적 문제, 제43차 전국 국어국문학 학술대회 발표문, 2000.5.
김진규, 「김영철전역해」,『새얼어문논집』제12집, 1999.
김희경, 傳奇小說의 측면에서 본 周生傳 硏究, 1995.
박혜진, 「<雲英傳>의 변이양상과 그 의미」 논문, 2003.
박희병, 「17세기 동아시아의 전란과 민중의 삶- ‘김영철전’ 분석」,『민족문사의 전개와 그 문화』 상, 창작과 비평사, 1990.
소인호, <주생전> 이본의 존재양태와 소설사적 의미, 2001.
신상성, 조선조 중기 저항문학,1993.
유정필, 「<운영전>의 비극성 연구」, 『睡蓮語文論集 第16輯』, 1988
이복규, 「최초의 국문소설은 무엇인가」, 『새국어교육』, 한국국어교육학회, 1998.
이유경, 「고소설의 전쟁 소재와 여성영웅 형상」, 한국여성문학학회, 2003.
이윤석, 「<홍길동전> 해석의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렬상고전연구』, 렬상고전연구회, 1996.
이자경, 「<雲英傳> 硏究 - 構造를 통해서 본 悲劇性 -」, 『睡蓮語文論集 第13輯』, 1985
장효현, 「박씨전의 문체와 특성과 작품 형성 배경」,『한글』226, 한글학회, 1994.
정명기, 「최척전」, 화경고전문학연구회 편, 『고전소설연구』, 일지사, 1993.
정출헌, 「고전소설에서의 현실주의 논의 검토」,『민족문학사 연구』2권, 창작과 비평사, 1992.
정희정, 「<雲英傳>의 액자기능과 서술 상황」, 『韓國言語文學 第44輯』, 2000
조혜란, 「여성, 전쟁, 기억 그리고」,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4.
지연숙, 「<최척전> 이본의 두 계열과 善本」, 고소설연구, 17권, 2004.
현길언, 「박씨부인전의 주제에 대한 일고찰」,『한국언어문학』20, 한국언어문학회, 1981.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69페이지
  • 등록일2011.08.19
  • 저작시기201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62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