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체표현][입체표현과 조소][입체표현 영향]입체표현의 특징, 입체표현의 필요성, 입체표현의 교육적 가치, 입체표현의 발달단계, 입체표현의 발달과정, 입체표현의 재료와 작품, 입체표현과 조소, 입체표현의 영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입체표현][입체표현과 조소][입체표현 영향]입체표현의 특징, 입체표현의 필요성, 입체표현의 교육적 가치, 입체표현의 발달단계, 입체표현의 발달과정, 입체표현의 재료와 작품, 입체표현과 조소, 입체표현의 영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입체표현의 특징
1. 상상개념의 심리적 변화가 있다
2. 시각형과 촉각형의 두 가지 미술표현유형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Ⅲ. 입체표현의 필요성

Ⅳ. 입체표현의 교육적 가치

Ⅴ. 입체표현의 발달단계
1. 이길종의 조소 표현 발달 단계
1) 맹목적 조형기(The unintentional stage, 3~5세)
2) 경단기(The mud-ball stage, 5~7세)
3) 상징기(The symbolic stage, 7~9세)
4) 유발적 사실기(The stage of inceptive realism, 9~11세)
5) 분석적 사실기(The stage of analytic realism, 11~15세)
6) 억제기(The stage of restraint, 13~15세)
2. 로웬펠드의 입체 표현 발달 단계
1) 난화기(The scribbling stage, 2~4세)
2) 전도식기(The preschematic stage, 4~7세)
3) 도식기(The schematic stage, 7~9세)
4) 또래 집단기(The gang age, 9~11세)
5) 의사실기(The pseudo-naturalistic stage, 11~13세)
6) 결정기(The period of decision, 13~17세)
7) 청소년기(Adolescent Art)
3. 전성수의 입체 표현 발달 단계
1) 평면적 상징기(1․2학년, 6~8세)
2) 입체적 탐색기(3․4학년, 8~10세)
3) 입체적 사실기(5․6학년, 10~12세)

Ⅵ. 입체표현의 발달과정
1. 탐색적 유희기(4세 이하)
2. 평면적 상징기(4~8세)
3. 입체적 탐색기(8~10세)
4. 입체적 사실기(10~12세)
5. 공간적 사실기(12세 이상)

Ⅶ. 입체표현의 재료와 작품

Ⅷ. 입체표현과 조소
1. 입체표현을 통한 양감의 발견이다
2. 촉감을 통한 작업으로 촉각과 시각이 결합된 교육을 할 수 있다
3. 심상표현을 위한 재료와 용구의 확충에 의의가 있다

Ⅸ. 입체표현의 영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세우고 분석하기에 난점이 많은 이유도 있을 것이다. 입체표현의 발달을 알기 위해서는 분석할 작품을 일정한 기준에 의해 통제해야 한다. 왜냐하면 입체재료의 종류는 매우 많으며 그 표현 소재나 주재도 아주 다양하기 때문이다. 입체표현의 발달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재료로는 찰흙이 가장 적당하다고 할 수 있다. 어린이가 접할 수 있는 입체적인 미술 재료는 많지만, 어린이 표현의 발달단계를 알기 위해서는 어린이의 생각과 느낌, 정서와 미적 감각 등이 자유롭게 표현될 수 있는 재료여야 한다. 미술교육 학자인 로웬펠드(Lowenfeld)는 찰흙의 특성을 가소성과 작업 도중 계속 변화시킬 수 있는 성질을 들고, 어린이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3차원의 중요한 재료로 생각했다. 또 찰흙은 손의 움직임에 쉽게 반응하는 표현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다. 즉 형태가 만지는 대로 자유롭게 변하는 가소성은 어린이의 생각과 느낌을 어떤 재료들보다도 잘 표현해 준다고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찰흙은 점착성(粘着性)과 촉감성(觸感性)을 가지고 있어 붙이거나 떼기, 파내기 등이 가능하며 촉감이 어떤 재료들보다도 뛰어나다. 어린이들은 만들기 재료 중에서 찰흙을 제일 좋아한다. 이러한 특성들 때문에 입체표현의 발달과정을 찰흙을 통해 알아보겠다. 그럼 찰흙으로 어떤 소재를 표현해야 입체표현의 발달단계를 가장 잘 알 수 있을 것인가? 표현 소재 역시, 어린이 입체표현의 발달단계를 잘 알 수 있어야 한다. 골롬브(Golomb)의 연구에 의하면 입체표현의 경우도 찰흙을 주무르거나 떼는 등 찰흙을 가지고 노는 단계가 지나면 처음으로 사람을 만들기 시작한다고 한다. 그리고 어린이가 자라면서 가장 많이 표현하는 것도 사람이다. 또한 사람을 소재로 만든 작품은 우리가 가장 잘 알고 있는 대상이므로 발달 단계를 알 수 있는 분석 기준과 항목을 설정하기 쉽다.
그러므로 어린이의 입체표현의 발달단계를 알기 위해서는 ‘사람을 만든 찰흙 작품’이 가장 좋은 분석 대상이라 할 수 있다.
Ⅷ. 입체표현과 조소
조소는 표현하고자하는 의도에 따라 여러 가지 입체형태를 만들어 내는 것으로 이것이 갖는 교육적인 효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입체표현을 통한 양감의 발견이다
주변에 존재하는 모든 입체적인 물체들을 아동들이 미술표현활동을 통해 덩어리로 표현해 봄으로써 양감을 느끼고 확인하는 것이다.
2. 촉감을 통한 작업으로 촉각과 시각이 결합된 교육을 할 수 있다
재료 용구에 따라 다르지만 특히 찰흙은 촉각에 의한 표현이 이루어지므로 시각과 촉각이 결합된 학습의 성과를 이룰 수 있다.
3. 심상표현을 위한 재료와 용구의 확충에 의의가 있다
입체적 표현에 따르는 재료, 요구의 다양성에 따라 그것의 사용방법 및 특성을 이해한다.
조각은 나무, 돌, 비누 등의 단단한 재료를 밖에서 안으로 깎아서 표현하는 것이고 소조는 찰흙이나 석고, 종이죽 등의 무른 재료를 안에서 밖으로 붙여가며 표현하는 방법이다.
소조 재료 중 찰흙(Clay)은 미세한 광물의 집합물로 가소성이 높아 인간에게 매우 친숙한 조형 재료이다.
어린이의 신체발달상 손과 간단한 도구를 사용해서 자유로이 가공할 수 있는 소재를 찰흙 이상 찾아보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자연의 흙에 친근감을 갖도록 한다는 것은 교육적으로 뜻 깊은 일이다.
Ⅸ. 입체표현의 영향
입체표현을 통한 공간개념은 미술에서뿐만 아니라 어린이의 일상 생활에서도 똑같이 중요하다고 본다. 공간개념이 형성되려면 공간 및 형태 지각을 해야 하고, 이러한 지각은 입체표현 활동을 통하여 습득 및 신장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공간 및 형태 지각 경험을 통한 입체표현의 활동이 어떻게 그의 생활에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첫째, 어린이의 개인 공간, 또는 숨쉬는 빈자리는 붐비는 버스나 엘리베이터 안에서는 침입을 당한다. 이런 경우에 어린이는 눈을 외면하면서 버스 창밖을 내다보거나, 엘리베이터 문 위의 숫자가 바뀌는 것을 쳐다보면서 심리적으로 개인공간을 지키려고 시도할 것이다. 그래서 어린이가 어떻게 입체표현을 하면서 자신의 공간감각을 이용하고 어린이 주변의 공간 특질이 어떻게 어린이에게 영향을 미치는지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입체표현을 통한 지도가 필요하다.
둘째, 어린이는 공간 및 형태 지각이 자신의 입체개념 형성과 관련이 있는 것을 모르기 때문에 주변의 공간 및 형태에 무관심하고, 공간의 크기가 행동에 영향을 주며 자신도 모르게 자기행동을 규정해 버리고 있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는 것 같다. 모스의 연구에 의하면 과밀한 상태에서 생활하고 있는 사람이 다른 사람에 대해서 냉담한 사람이 많다고 하는데, 이것은 어릴 때부터 어른이 될 때까지 공간에 대한 개념이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공간에 대해 너무 도외시했던 것이 그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자기가 스스로 입체표현을 통하여 공간을 사용하는 경험은 공간행동의 기본적인 발달과 관련이 있다.
셋째, 어린이가 생활하는 공간은 다른 사람이 만들어낸 것으로 가득 차 있으므로 개인의 주체적인 활동이 줄어들고 남에게 의존하는 생활이 되기 쉬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입체표현을 통하여 공간 감각을 인식하고 생활한다면 그가 어른이 되었을 때 생활하기에 편리한 공간을 만들 수 있다고 본다.
어린이가 공간을 만든다는 활동을 이해하지 못하면 공간 속에서 조화되지 못하는 생활을 하거나 생활에 적합하지 않는 공간을 강요당하거나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주위의 공간이 바뀌어 버려 어린이의 행동이 규제될 수 있다. 그러나 공간 및 형태 지각 경험을 통한 입체표현을 어린이의 성장발달단계에 맞게 제공한다면 이러한 문제점이 줄어들 것이다.
참고문헌
김병종 저(1994), 미술강의, 통나무, 서울
박정욱, 거꾸로 서 있는 미술관, 예담
이규선 등(2000), 미술교육학, 개정판, 서울 : 교육과학사
이주연·이수경(1995), 창의력 개발을 위한 미술프로그램 기초연구, 조형교육, 제11집, 한국조형교육학회, 서울
한계원(1995), 초등미술교육의 바람직한 입체지도 방안, 조형교육, 제11집, 한국조형교육학회, 서울
H. W. 잰슨, 금윤수 외 역(1984), 미술의 역사, 삼성출판사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1.09.2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36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