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가옥][전통가옥 기능][전통가옥 재료][전통가옥 배치형태][전통가옥 구조적 지역차]전통가옥의 의의, 전통가옥의 특징, 전통가옥의 기능, 전통가옥의 재료, 전통가옥의 배치형태, 전통가옥의 구조적 지역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통가옥][전통가옥 기능][전통가옥 재료][전통가옥 배치형태][전통가옥 구조적 지역차]전통가옥의 의의, 전통가옥의 특징, 전통가옥의 기능, 전통가옥의 재료, 전통가옥의 배치형태, 전통가옥의 구조적 지역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전통가옥의 의의

Ⅲ. 전통가옥의 특징

Ⅳ. 전통가옥의 기능
1. 안방
2. 건넌방
3. 사랑방
4. 부엌

Ⅴ. 전통가옥의 재료
1. 가옥의 재료
2. 우리나라 전통 가옥의 지붕재료 : 지역성이 가장 잘 나타남
1) 볏짚
2) 너와
3) 점판암
4) 갈대
5) 새(억새풀)
3. 우리나라 전통 가옥의 건축재료
1) 삼림지대
2) 제주도
3) 평야지대

Ⅵ. 전통가옥의 배치형태

Ⅶ. 전통가옥의 구조적 지역차
1. 관북형
2. 관서형
3. 중부형
4. 남부형
5. 제주형
6. 울릉도형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함으로써 완전히 집 내부의 일부를 이루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부엌의 모습은 바뀌었으나 부엌은 여전히 여성의 작업공간이었다. “라면 끊일 때” “저사람(부인)이 없을 때”등의 경우에 부엌에 들어간다는 말은 있었지만 남성들에게 있어 여전히 부엌일은 기피되고 있었다. 즉 과거 남성들만의 일이었던 바깥일에 여성의 참여는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실제 농사일은 부부의 힘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집안일에 대한 남성의 기여는 커지지 아니한 것이다.
Ⅴ. 전통가옥의 재료
1. 가옥의 재료
(1)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자연물에 의존(그 지역의 자연환경 반영)
(2) 그 지역의 생활방식에도 영향을 받음(그 지역의 문화적 속성, 생활 모습을 반영)
(3) 산업화, 교통발달 ⇒ 보편화된 인공재료 사용 ⇒ 획일화 ⇒ 지역특성이 사라짐.
2. 우리나라 전통 가옥의 지붕재료 : 지역성이 가장 잘 나타남
1) 볏짚
벼농사 지역(초가지붕)
2) 너와
개마고원, 태백산지, 울릉도
3) 점판암
관서지방, 충북 북동부
4) 갈대
낙동강 하류
5) 새(억새풀)
제주도, 일부 산간지방
3. 우리나라 전통 가옥의 건축재료
1) 삼림지대
목조가옥(태백산지, 개마고원 -- 귀틀집)
2) 제주도
돌담집
3) 평야지대
흙벽돌집, 초가지붕(농촌의 대부분)
Ⅵ. 전통가옥의 배치형태
우리나라의 가옥은 관북ㆍ관서형, 중부형, 울릉도형, 남부형, 제주형으로 나누는데 각 가옥의 특징은 그 지방의 기후를 잘 반영하고 있다. 관북ㆍ관서형은 폐쇄적인 구조를 가지고 겨울추위를 이겨내기 위한 구조로 되어 있다. 중부형은 \"□\"자형의 구조를 이루며 안채와 사랑채가 분리되어 있다. 울릉도는 눈이 많은 지역이므로 눈에 대비하여 방설벽으로 우데기가 있으며 남부형은 여름철 더위에 대비하여 대청과 툇마루의 특색이 강조된 개방형 구조를 가진다. 제주도는 바람이 강하게 부는 지역의 특성상 그물지붕과 돌담이 있다.
겨울의 북서계절풍을 막고 여름의 남동계절풍이 집안에 잘 들어오도록 하기위해 가옥의 남향배치는 필수적이다. 현대 주거 건물은 난방에 대한 과신이나 땅의 제한 때문에 동향이나 서향을 이루는 경우도 있는데 주거에 따른 불편이 대단하다. 한옥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모두 남향을 하도록 하였다.
Ⅶ. 전통가옥의 구조적 지역차
1. 관북형
田자형의 폐쇄적 겹집. 부엌 중심 구조
2. 관서형
자형, 부엌과 안방 사이에 사이문
3. 중부형
자형이 기본, 자, 자형 - 대청마루 존재
4. 남부형
-자형의 개방 구조(대청 중심)
5. 제주형
그물 지붕의 겹집(돌담, 고방) - 겨울 온난, 강한 바람
6. 울릉도형
방설벽(우데기), 너와지붕
참고문헌
강영환, 집으로 보는 우리문화 이야기, 웅진출판사
박영순 외 4인(1998), 우리 옛 집 이야기(한국 전통 주택의 실내공간), 열화당
신영훈,(1983), 한국의 살림집, 열화당
우리마당 터(2001), 민속학술자료 총서131. 전통가옥
유영준, 가옥제도와부인의건강, 청년 제7권 제5호
이일로(2008), 초가집과 대화(우리의 옛집), 한국사진문화원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10.0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56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