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가옥][전통가옥의 구조][전통가옥의 배치형태][일본의 전통가옥][중국의 전통가옥]전통가옥의 의의, 전통가옥의 특징, 전통가옥의 구조, 전통가옥의 배치형태, 일본의 전통가옥, 중국의 전통가옥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통가옥][전통가옥의 구조][전통가옥의 배치형태][일본의 전통가옥][중국의 전통가옥]전통가옥의 의의, 전통가옥의 특징, 전통가옥의 구조, 전통가옥의 배치형태, 일본의 전통가옥, 중국의 전통가옥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개요

Ⅱ.전통가옥의 의의

Ⅲ.전통가옥의 특징

Ⅳ.전통가옥의 구조

Ⅴ.전통가옥의 배치형태

Ⅵ.일본의 전통가옥
1.겐칸(玄關·げんかん)
2.다타미 방(だだみの へや)
3.오시이레(押し入れ おしいれ)
4.후스마(ふすま)
5.쇼지(障子 しょじ)
6.도코노마(床の間 とこのま)
7.고타츠(こたつ)
8.후로바 ふろ場(ば)
9.아마도(雨戶 あまど)
10.갓테구치(勝手口 かってぐち)

Ⅶ.중국의 전통가옥

참고문헌

본문내용

화와 적응의 과정을 겪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중국 주택은 형식성의 개별성과 함께 유사성 또한 지닐 수 있게 되었다.
중국 주택의 다양성을 지역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양자강을 중심으로 하여 북부와 남부로 크게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양 지역 주거환경의 성격은 명확하게 다르다. 북부지역은 주거환경의 역사가 매우 길어서 그 근원을 신석기 시대에 두고 있는 반면, 남부지역의 경우는 중국의 영토 확장에 따라서 중국의 주거환경이 서서히 형성되었으므로 그 역사는 비교적 짧은 편이다. 중국의 북부지역은 대륙성기후를 특징으로 하므로 여름과 겨울의 기온차이가 극심하다. 여름철의 기온은 30도를 상회하는데 반해 겨울철의 기온은 영하로 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연중 강수량은 500밀리미터 이하이고 그것도 여름철에 집중되므로 비교적 건조한 기후를 특징으로 한다. 차고 건조한 겨울바람과 봄철의 심한 황사현상이 각각 수개월 이상 지속되는데 이러한 혹독한 자연조건이 이 지역 주거환경의 성격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 반면 남부지역은 기후가 온화하고 비가 풍부히 내려서 북부지역보다 주거환경의 형성에 비교적 유리한 자연조건을 가진다. 남부지역에는 많은 종류의 수목이 자라고 있으므로 목재의 조달이 용이했고 또한 많은 종류의 건축재료를 사용할 수 있었으므로 다양한 주거형식의 도출이 가능했다. 또한 남부지역은 지형적이 변화가 많은데 이로 인해서 각 지방마다 독특한 주거형식을 형성하게 되었다.
중국의 북부지역은 주거문화형성의 역사가 장구하기 때문에 주거공간의 구성 원리 또한 매우 강하게 정착되었다. 북부는 북경을 중심으로 하여 폭넓게 일반화한 사합원(四合院)으로 대표된다. 폐쇄적이고 방어적인 이 주거형식은 혹독한 외부의 자연조건으로부터 보호되고 동시에 가족의 프라이버시가 극대화한 주택으로써 중국주택의 기본적인 형식으로 정착되었다. 사합원이 가지는 공간 구성의 원리는 북부의 대부분 지역에 전파되었으므로 이지역의 주택은 일반적으로 중정을 중심으로 하는 주거형식을 취한다.
남부지역의 주택은 북부의 그것에 비해서 형식적으로 다양하다. 중국의 남부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변방의 소수민족을 제외하면 대부분 양자강 이북지역에서 이주한 한족들이다. 이들은 이주하면서 사합원의 구성 원리를 가져왔는데 이를 참고로 하면서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독자적인 주거형식을 정착시켰다. 따라서 남부지역에는 객가인(客家人)의 집합주택, 일과인(一顆印) 주택 등 사합원의 형식을 계승한 주거형식이 상당수 존재한다. 그러나 원래 이 지역에 거주했던 많은 소수민족들은 그들의 독자적인 주거형식을 유지·발전시켰으므로 한족주택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다. 따라서 남부지역의 주택이 북부지역의 그것에 비해서 형식적으로 다양한 것은 이 지역이 지형조건 등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화가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많은 소수민족들이 거주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남부지역의 주거형식의 다양성은 한족의 전통적인 주거형식과 소수민족의 고유한 주거형식이 존재하고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는 건축 재료의 다양성에서도 기인한다. 남부지역에서는 많은 양과 다양한 종류의 목재를 쉽게 구할 수 있다는 점 이외에도 대나무가 매우 흔하기 때문에 재료사용에 있어서 많은 융통성이 있었다.
참고문헌
◇ 박영순 외(1998), 우리 옛집 이야기, 열화당
◇ 박완호(2009), 문화로 이해하는 중국, 한국학술정보(주)
◇ 주남철(1994), 한국 건축의장, 일지사
◇ 현대 일본주거읽기 : 일본주거론
◇ Caudill et al, 박만식 역, 건축의 이해(Architecture and you), 기문당
◇ ROB KRIER 저, 건축의 구성론, 도서출판 미건사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10.0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63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