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환경][주거환경의 실태][주거환경의 조건][주거환경의 부엌][주거환경의 정책방향]주거환경의 개념, 주거환경의 중요성, 주거환경의 실태, 주거환경의 조건, 주거환경의 부엌, 주거환경의 정책 방향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주거환경][주거환경의 실태][주거환경의 조건][주거환경의 부엌][주거환경의 정책방향]주거환경의 개념, 주거환경의 중요성, 주거환경의 실태, 주거환경의 조건, 주거환경의 부엌, 주거환경의 정책 방향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주거환경의 개념

Ⅲ. 주거환경의 중요성

Ⅳ. 주거환경의 실태

Ⅴ. 주거환경의 조건
1. 안전하고 편리한 집의 구조를 선택해야 한다
1) 모양과 넓이
2) 일조와 일사
3) 채광과 조명
4) 통풍과 환기
5) 온도와 습도
2. 자연 환경적, 위치적 조건을 살펴봐야 한다
3. 사회 문화적 환경 조건을 살펴봐야 한다

Ⅵ. 주거환경의 부엌
1. 지역별 특성
2. 과거의 부엌의 의미
3. 정지의 특성
4. 정지의 구조
1) 북부 지역
2) 영남지방
3) 제주도

Ⅶ. 주거환경의 정책 방향
1. 제도개선 및 정비
1) 주택건설기준의 개선
2) 임대주택건설기준의 마련
3) 기존주택에 대한 대책 마련
4) 재건축 방안
2. 기술개발 및 발전
1) 장수명(長壽命) 주택의 건설
2) 경직된 구조의 완화
3) 용도의 다변화
3. 주거생활의 충족과 환경조성
1) 최소 주거환경 설정
2) 안전․안심․쾌적한 주거환경 조성
3) 주거생활서비스의 개선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 우량주택의 인증제도, 고내구성, 고성능주택의 건설과 부품의 규격화표준화의 추진 등 장래 reform을 배려한 가변형 구조와 영구적 배관시스템 또는 교체가 용이한 공법으로의 시공의무화 등이 필요하다.
2) 경직된 구조의 완화
현재의 공동주택의 구조는 벽식구조가 대부분으로 향후 reform이나 remodeling시에 수요자의 주거수준을 충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예상된다.
따라서 경직된 벽식구조보다는 라멘식 구조로의 전환을 추구하여 다양한 구조로 건설할 필요가 있다.
- 주택의 내구성 향상을 위하거나 reform이 쉽도록 배려한 주택을 공급하는 것을 배경으로 해서 주택자체의 생활여건이나 생활양식에 부합하도록 주택의 가변성을 제고한다.
가족구성원의 신상변동이나 구조의 권태로 인한 변화에 쉽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등 공동주택에서 거주자의 수요에 의하여 구조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변형이 가능하도록 개선한다.
3) 용도의 다변화
지금까지는 부모와 자식을 중심으로 한 가족을 기본단위로 구성된 거주형태가 일반적이었고, 주택서비스도 여기에 맞추어 보다 나은 가정생활을 영위하는 수단으로서 자리매김 하였으나 앞으로는 혈연관계에 연연하지 않고 함께 사는 거주형태도 보급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 세대가 두 곳의 생활을 하고 있는 multihabituation(두 종류 이상의 주택을 가지고 있는 경우)은 현재는 별장이나 도심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람에게 한정되어 있으나,
- 향후에는 근무형태의 다양화나 자유시간의 증대, 정보화의 발전, 주택이나 토지를 상속에 의해 취득한 잠재적소유자계층의 증가에 따라 복합적인 삶의 욕구가 확대되고 그 내용도 다양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미래에는 이러한 다양한 주거형태 즉 용도의 다변화에 충분히 대처할 수 있는 주택의 다변화가 필요하다.
3. 주거생활의 충족과 환경조성
1) 최소 주거환경 설정
쾌적하고 안락한 주거환경의 질 향상을 기하기 위해 sick house대책, 대도시 위해환경으로부터의 보호 등 건강한 주택이 건설되도록 합리적인 기준을 마련한다.
이를 위해 건축재료품질 제고, 내외부 소음차단, 실내 공기질 향상, 위해 환경으로부터 주거환경 보호 등 인간중심의 주거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2) 안전안심쾌적한 주거환경 조성
우리나라는 대도시지역 주변에 인구밀도가 높은 주택지가 광범위하게 존재하나 도심부에서는 인구밀도가 낮은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사람들이 주거생활에 대한 안전하고, 안심하며, 쾌적한 환경 속에서 살아야 하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환경과의 공생의 관점과 우리의 주거생활을 보다 윤택한 것으로 만들어 간다는 관점에서 삶의 여건과 환경조성에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 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CO2배출억제, 화학연료의 사용자제 등 주택의 에너지화의 추진 등에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
3) 주거생활서비스의 개선
국민 개개인의 욕구에 대응하는 생활관련 기능과 주거생활서비스가 지금 이상으로 폭넓게 확보되는 것이 필요하고, 쾌적한 주거생활은 주택의 내부에서 실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양호한 주거환경이 확보되어 있는 것이 필수적이다.
통근, 통학, 생활편의시설과의 접근성, 자연환경, 안전성 등 양호한 주거환경을 형성하고 이에 연관된 서비스의 개발 등이 필요하다.
Ⅷ. 결론
회사원과 학생에게는 주거와는 떨어진 곳에 있는 오피스와 학교가 주간의 주요환경이 된다. 주택의 각 방의 위치나 방향은 하루의 어느 시간대를 사용하는가에 따라서 고려해야 한다. 또한 밤은 하루의 1/3이상을 차지하지만 그 대부분을 우리는 수면에 할당하고 있다. 하루의 끝이라고 해서는 안 되고 다음날의 주간 활동을 위한 휴식이고 하루의 시작이라고 생각한다면, 실로 중요한 시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생각에서 최근에는, 침구의 쾌적성, 수면 시 인체의 생리적 상태등과 관련하여 소위 ‘밤의 주거생활’에 대한 연구가 점차 번성하게 되었다. 덧붙여 사회 전반에서 야간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는 것을 생각하면, 밤이라고 하는 시간대에 대해서도 다르게 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설계는 현재로는 도면을 주요 표현수단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검토사항이 아무래도 시각적 정보에 치우치는 경향을 부정할 수 없다. 일상생활에서의 안전성, 경상비로서의 경제성, 온열성, 쾌적성 등은 도면으로서는 표시하기 어려운 사항이다. 눈으로 볼 수 있는 형체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로 검토될 수 있지만 눈으로 볼 수 없는 것은 자신도 모르게 잊기 쉽다. 주택의 경우도 가족이 모이고, 손님의 눈에 많이 띄는 거실은 여러모로 검토되어 가장 좋은 장소를 내주게 된다. 그와 반대로, 화장실, 욕실, 주방 등은 구석에 쫓아 보내져 있지 않은가? 그러나 이 물을 쓰는 공간들은 한 가족의 보건 위생확보 중에서 대단히 중요한 곳이다. 더욱이 욕실과 변소는 신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노출하는 곳이기 때문에, 창유리를 이중으로 하는 등의 고려를 통해 열적으로 강하게 하는 것은 보건성뿐만이 아니라 온열성, 쾌적성으로도 바람직한 것이다. 부엌은 주부가 불과 물을 사용하여 일하는 장소도 되기 때문에, 기능적인 면은 물론이고 일사차단, 환기, 열을 배출하는데 충분히 신경을 써서 쾌적하고 위생적인 공간이 될 수 있도록 마음을 쓰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듯 무엇이 바람직한 주거환경인가는 이제까지 말해 왔듯이 일률적으로 단정할 수는 없다. 인간, 공간, 시간의 면에서 대상으로 하고 있는 환경을 규정하고, 각 설계요인을 자주 검토하는 것이 환경설계에서 중요하다.
참고문헌
단우건축 - 서울시 주거환경의 변화과정 및 주거실태에 관한 연구, 1989
방희조 - 실내이미지 유형별 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석사학위논문, 1998
박문호 외 - 주거환경에 있어서 녹지와의 접촉이 주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제20권, 1992
이영석·NORMAN K.BOOTH 저, 김용기 역 - 주거환경계획, 내하출판사, 2008
이우재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상, 진원사, 2009
안수인 - 주거환경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3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1.10.1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73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