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머와 앨리엇의 음악교육철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리머와 앨리엇의 음악교육철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때문에 음악에 관하여 불변의 정의나 폐쇄적인 개념은 존재하지 않으며, 음악의 개념은 열려 있다.
2) 음악적 지식
엘리엇은 음악적 지식의 유형을 5가지로 구별하였다.
과정적 음악지식(procedural musical knowledge)이란, 우리가 음악적 행위를 할 때 행위의 각 과정마다 그에 따르는 적합한 의식과 지식 등이 일련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비언어적이며, 행위의 과정에서 끊임없이 일어나는 지식이다.
ex) 스키 타기 : 스키 타기에서의 지식은 스키를 타는 행위에서 나타나며, 그 구체적인 지식은 스키를 타는 행위의 과정에서 순간순간 필요하고 나타나는 것임
형식적 음악지식(formal musical knowledge)은 언어적 형태로 나타난 지식이다. 책과 강의를 통해 배울 수 있고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형식적 음악 지식이 음악의 이해에서 가치가 적다는 것이 아니라, 그것만이 음악적 지식이 아니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비형식적 음악지식(informal musical knowledge)은 말이나 글, 기호로 설명될 수 없는 모든 음악적 지식을 포함한다. 경험을 통해 얻는다. 실제로 음악을 연주할 때 필요한 지식들은 많은 경우 이 비형식적 음악 지식에 속한다. 일종의 ‘상황적 지식’(situated knowledge).
인상적 음악지식(impressionistic musical knowledge)은 직관적 지식으로, 음악적 행위를 할 때 일어나는 우리의 감정에 들어있는 지식을 말한다. 인간의 사고와 느낌은 상호보완적이다. 음악은 인간의 의식, 인지, 신념과 깊은 관련이 있다.
ex) 일본에 대한 한국 사람들의 감정
통제적 지식(supervisory musical knowledge)은 ‘상위인지’(meta-cognition), '상위지식‘(meta-knowledge)과 관련이 있다. 자기의 행동을 관찰하고, 평가·적응시키고 균형을 잡고, 감독·통제하는 능력 또는 지식을 말한다. 비언어적이며, 상황적이다.
3) 음악교육의 목적
엘리엇에게 있어 음악교육의 목적은 ‘음악하기’와 ‘음악성의 발달’이다. 음악교육에서 가르쳐 주고자 하는 핵심적인 지식은 행위에 들어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음악하기’는 그 자체로 목적이며, 그 목적을 이루는 과정에서 음악성이 발달된다고 보았다.
학생들로 하여금 음악적 실행에 참여시키되, 진짜의 경험(authentic experience)을 강조하였다. 실제적인 음악적 경험은 기존의 심미적 경험보다 더 넓고 풍부한 것이라고 보았다.
엘리엇의 음악교육론은 학생들의 음악적 행위에 기초하고 있다. 음악하는 행위 없이는 음악성의 발달도 없으며, 음악교육은 결국 허공을 치는 것과 같다는 것이다.
기존의 음악과 교육과정이 문서화된 것에 대해 강한 비판을 가한다. 과연 인간의 모든 지식이 문서화될 수 있는가? 특히 음악의 지식에는 본질적으로 비언어적이며 단지 인간의 행위의 과정에서만 드러나는 지식들이 많이 있다는 것이다.
“커리큘럼은 문서화된 계획이 아니라, 교사 자신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02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13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