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양오행의 기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음양오행(陰陽五行)이란
2. 음양오행의 기원과 형성 배경
3. 음양오행론의 전개와 융합 과정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끼치게 된 것은 한대 동중서의 『춘추번로』에 의해서이다. 음양과 오행은 동중서에 의해서 더욱 명료하고도 밀접하게 결합되었다. 동중서는 ‘천지의 기는 합해져서 하나가 되고, 나뉘어서 음양이 되며, 쪼개져서 사시로 되고, 나열되어 오행이 된다.’고 하여 천지-음양-사시-오행의 생성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또 사시와 오행의 배합 관계를 ‘수는 겨울이 되고, 금은 가을이 되고, 토는 늦여름이 되고, 화는 여름이 되고, 목은 봄이 된다.’고 하였다. 이는 동중서가 음양오행을 천지의 기의 분화로, 사시를 오행의 운행의 결과로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 동중서의 음양오행설은 인륜 관계를 설명하는 데에도 적용된다. 그는 모든 사물에는 짝이 있고 짝에는 각각 음양이 있음을 전제로, 군신부부부자의 의리는 모두 음양의 도에서 취한다고 하였다.
음양오행설은 중국 고대의 과학과 미신이 결합되어 형성된 것으로 천문학의학화학의 발전에 일정한 영향을 끼쳤다. 고대의 과학자 중에는 음양과 오행을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물질적 원소로 간주하여 그것의 물질적 구성을 설명하려고 시도한 자도 있었고, 음양오행의 상호 작용을 이용하여 물질 현상들 사이의 상호 연관을 설명하려고 시도한 학자도 있었다. 음양오행설은 인체의 조직과 생리 작용을 설명하는 도식으로도 사용되었다. 뿐만 아니라 인간과 자연의 밀접한 관련을 전제로 사계절의 변화가 인간의 생리적 변화에 영향을 끼친다고 보았다. 이러한 이론들은 모두 음양오행설에서 도출된 것이다. 그러나 음양오행설로부터 도출된 이론 가운데에는 견강부회가 많아 모든 현상을 도식적으로 혹은 관념적신비적으로 이해할 우려도 내포하고 있으므로 적절히 가려내어 이해하는 것도 필요하다.
Ⅲ. 결론
지금까지 음양오행이라는 사상이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형성되어서 지금까지 발전해 왔는지를 알아보았다. 음양과 오행은 상이한 성질을 가진 물질로서 사물의 생성과 변화를 일으키는 원소로 이해되기도 하고, 혹은 음양과 오행의 상호작용으로 자연 현상의 상호관계를 설명하기도 하였다. 특히 음양오행으로 결합되면서는 자연인간사회를 아울러 설명하는 틀로도 사용되었다. 그러면서 음양오행설은 동양의 과학은 물론 정치사회문화예술 등 모든 분야에 걸쳐서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그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이 의학 분야라고 생각한다. 한의학에서는 인체의 조직이 자연계의 음양오행과 상응한다고 여긴다. 인간의 오장을 사계절과 배합시키고 음양의 배합으로 오장을 설명한다. 또한 오장 상호간에도 서로 영향을 미치며, 오장과 오관도 일정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따라서 어떤 기관의 질병은 다른 기관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예를 들어, 간은 눈과 연결되며, 심은 귀와, 비는 입과, 폐는 코와, 신은 생식기와 연결된다고 보는 것이다. 이렇게 음양오행설은 자연과 인간의 각 부분을 전체적인 연관으로 결합시키고 연관된 전체로서의 자연과 인간의 모습을 총체적으로 설명해준다. 음양오행설의 이러한 요소는 동양 의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런 점에서 현대의 과학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음양오행설은 동양 사상을 대표하는 학설인 만큼 동양의 순환적인 사고방식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다. 동양에서는 자연의 순환을 배경으로 문명에도 일련의 순환적 논리가 적용된다고 보는데 이러한 사유는 음양오행론을 바탕으로 발전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음양오행설에서 우주는 양 기운과 음 기운이 서로 교차하면서 순환하며, 오행의 상극과 상생 원리는 순환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음양오행설의 세계관은 자연과 인간을 이분법의 도식으로 인식하는 서양의 근대 과학의 관점에서 보면 미신적이고 신비적인 요소를 지니는 비과학적인 학설로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서양의 그러한 생각으로 자연을 함부로 다루었기 때문에 지구 온난화나 오존층파괴와 같은 전 지구적 문제가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인간도 자연의 일부이다. 그러므로 인간과 자연은 상호 영향을 미치는 존재인 것이다. 현대 사회의 환경 문제에 관해서는 특히 그렇다. 따라서 서론에서도 언급했듯이 음양오행설의 세계관은 무의미하고 비과학적인 학설로만 평가되어서는 안 되고 현대 사회의 지구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열쇠로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전창선, 어윤형 지음. 젊은 한의사가 쓴 동양학 시리즈1 음양이 뭐지?, 1994
조헌영 저/윤구병 주해. 통속 한의학 원론, 1984
민속학술자료총서 무속 음양오행, 2002
민속학술자료총서 음양오행3, 2002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3.08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22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