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레포트★][북한 음식문화] 북한의 식생활, 북한의 지역별 음식, 북한의 간식, 북한의 외식문화, 북한의 식량자원, 북한의 명절음식 등등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북한 식생활의 발자취
1.북한의 식생활의 발자취
2. 북한 음식의 지역별 특징과 대표적인 음식

◉ 남북한 식생활 비교
1. 통계로 본 남북한의 모습
2. 식품 구매 측면 비교
3. 입맛과 상차림 비교
4. 남북한의 식생활 예절



◉ 체형 격차 ··· ‘인종’이 달라진다.
1. 일제 땐 ‘북고남저’ ··· 북 주민 못 먹어 역전 갈수록 벌어져 통일 이후 세대 큰 부담
2. 키 차이 갈수록 벌어진다.
3. “구호식량 80% ‘애국미’ 명목으로 회수”
4. “체격을 통합의 상처로 만들지 말아야“
5. “북한 신생아 중 2kg 넘는 경우 거의 없었다.”

◉ 식 량 지 원
1. 북한 내년 봄 심각한 식량난 예상
2. 식량지원, 해봐야 군량미?

◉ 북한 고위층 VS 한국 고위층 식생활 비교
1. 김일성, 김정일의 식생활
2. 김일성, 김정일의 건강 유지 방법
3. 청와대, 그리고 우리나라 역대 대통령들의 식습관
4. 역대 대통령의 식습관

◉북한의 생일과 외식문화
1. 북한의 생일 문화
2. 북한의 외식문화
3.북한에서 즐겨먹는 보신음식

◉ 북한의 명절음식
1. 북한의 명절 종류
2. 북한의 전래음식
3. 북한의 명절 음식문화
4. 기타 명절 음식
◉ 북한의 다이어트식품과 미용식품
1. 북한의 다이어트식품
2. 북한의 미용식품
3. 북한의 건강식품

◉ 북한의 간식류
1. 옥수수와 콩. 그리고 최고의 군것질 ‘가마치’
2. 어린시절 추억의 명물, 󰡐송팔사탕󰡑
3. `얼음보숭이`가 아닌 그냥 `아이스크림`
4. 라면을 ‘꼬부랑국수’라고 부를까?
5. 북한의 ‘음료수’

◉ 북한의 술과 담배 문화
1. 북한 주민들의 술 문화
2. 단카이 쭉내~
3. 남한과 북한의 술 문화
4. 화폐 역할 하는 귀한 술
5. 술을 마시면 시집 못가는 젊은 여성들
6. 밀주
7. 맥주외 귀한 술
8. 술이 배급되는 주요 명절
9. 술자리
10. 북한에서 생산되는 담배 종류
11. 금연운동
12. 북한 청소년들도 흡연율 높아
13. 北, 남성 흡연율 40∼50% 추산
14. 북 담뱃값 60배, 때 아닌 금연 열풍
15. 北, 담배갑에도 독도 표기
16 '한갑 1000원' 북한담배 나돈다
17. 北 "금연 영양사탕 `호현' 개발"

◉ 북한의 수출입 현황

본문내용

데 이들 품목이 1986년 421만 달러이던 것이 1987년에는 883만 달러로 대폭적인 수입증가 추세로 나타났다. 1993년의 경우는 오히려 461만 달러로 1987년을 제외하면 연평균 증감률이 1.3%로 전반적으로 400만 달러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방직용 섬유원료는 생사, 고치 또는 치레기, 부잠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년 수입규모가 감소추세에 있다.
임산물인 목재와 그 제품도 수입규모가 탄력적이긴 하지만 1986~93년 연평균 5.4%의 증가율을 시현하고 있으나 규모가 영세하다.
- 일본의 대 북한 수입 식품 현황 -
단위 : $
품목
1986
1987
1992
1993
연평균 증감률(%)
(1986~93)
동물성 생산품
36,884
52,528
57,753
49,070
4.2
식물성생산품
18,743
26,111
34,059
32,288
8.1
조제식료품
4,211
8,834
4,592
4,609
1.3
방직용 섬유원료
7,649
6,824
3.285
-
-13.1
목재 및 그 제품
324
2,395
2,331
468
5.4
2)중국
- 중국의 대 북한 수입, 수출현황 -
중국의 대 북한 수입 현황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매년 지속적인 수출추세를 보이고 있는 품목으로는 곡물 및 그 조제품, 야채 및 과실 등이며 부분적으로 수입실적이 없거나 통계입수가 되지 않은 품목으로는 당류와 그 조제품, 코코아, 차, 커피, 향신료와 그 조제품, 사료(분쇄곡물제외), 기타 식용품 및 그 조제품 등이다.
이들 품목 중 기타 식용품 및 그 조제품의 경우 1984~91년 동안의 연평균 증감률은 -4.4%로 총수출 증가율을 하회하고 있을 뿐 나머지 품목, 즉 야채 및 과실이 120.2%로 최대의 수출 증가율을 시현하고 있는 품목이며, 그 다음으로는 규모는 작지만 코코아, 차, 커
피,,향신료와 그 조제품이 97.9%, 당류와 그 조제품이 64.2%로 이들 품목들은 총수출 증가율을 상회하고 있으며, 곡물 및 그 조제품은 27.5%이다.
- 중국의 대 북한 수입 식품 현황 -
품목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연평균 증감률
(%)
(1984
~1991)
식료품 및 동물
6,413
14,447
17,540
19,963
38,340
75,760
50,680
54,990
35.9
식용산 동물
...
68.8
21.5
47.7
...
...
10
80
-
곡물 및 조제품
4,649
10,256
12,882
14,867
5,320
44,590
30,920
25,420
27.5
야채 및 과실
10.0
159.4
43.0
109.1
460
10,950
2,510
2,510
120.2
당류와 그 조제품
81.3
693.8
...
68.7
630
1,370
4,760
2,620
64.2
코코아, 차, 커피향료와 그 조제품 사료 (분쇄곡물제외)
5.3
12.5
13.4
44.7
...
230
100
630
97.9
단위 : $
- 중국의 대 북한 수출 식품 현황 -
단위 : $
품목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연평균 증감률
(%)
(1984
~91)
식료품 및 동물
15,546
38,797
35,623
20,743
64,650
28,740
20,200
8,530
-7.9
어개류 및 조제품
10,063
28,934
33,435
18,108
20
16,770
13,230
5,310
-8.7
곡물 및 조제품
5,035
9,691
2,118
2,567
22,570
11,680
6,790
1,430
-16.5
야채 및 과실
32.8
59.4
32.3
51.3
1,070
290
180
1,790
77.1
수입동향을 살펴보면 매년 지속적으로 수입되고 있는 상품으로는 어개류 및 조제품, 곡물 및 그 조제품, 야채 및 과실이 있는데 보편적으로 해를 거듭할수록 수입 감소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이들 품목의 1983~91년간의 연평균 증감률을 보면 어개류 및 그 조제품이 -8.7%, 곡물 및 그 조제품이 -16.5%로 향후 대폭적인 수입증대 현상은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3)CIS
- CIS의 대 북한 수입 현황 -
- CIS의 대 북한 수입 식품 현황 -
단위 : $
연도
소맥
대두유
수량 (톤)
금액
수량
금액
1970
247.7
19,125
142
44
1971
152.2
11,775
2,997
682
1972
156.6
13,073
3,534
1,259
1973
181.8
17,103
2,133
847
1974
212.2
15,612
1,684
447
1975
-
10,674
-
-
1976
-
16,333
1,068
289
1977
-
21,894
-
-
...
-
-
-
-
1987
293.0
16,667
-
-
1988
360.0
41,720
-
-
소련은 북한에 식량용인 소맥과 의류제조용인 면화를 규모의 탄력성을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수출하고 있다. 소맥의 경우 1970년 1,913만 달러에서 1975년 1.067만 달러, 1980년 2,400만 달러가 수출되던 것이 1988년에는 4,172만 달러로 대폭 증가하고 있다. 면화는 1970년 1,105만 달러로 증가추세에 있다. 대두유는 수입 실적이 있으나 감소추세를 나타내다가 그 후로는 실적이 나타나 있지 않다. 북한은 CIS에게 소맥을 대량 수입함으로써 북한의 부족한 식량난을 해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소련은 특히 소맥을 중심으로 북한에게 수출하고 있다. 대두유는 1970년 중반까지 가공한 식물식용유로서 수출하였으나 현재는 중단된 상태이다.
- CIS의 대 북한 수출 현황 -
북한의 CIS의 수출은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요 수출 품목은 미곡, 신선과일(그 중에 사과), 신선 토마토, 신선 양배추와 가공한 전분, 기호식품의 원재료인 엽연초가 있다. 북한이 소련에게 수출하고 있는 미곡(백미)은 동일 액 수준의 소맥을 소련으로부터 수입하고 있어 미곡과 소맥을 양국 간에 철저한 바터(BARTER)제 교역 형식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신선과실 특히 사과를 많이 수입하고 있으며, 토마토와 양배추(카베지)까지도 수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 가격5,000
  • 페이지수45페이지
  • 등록일2012.04.16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04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