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론] 한국어 문법 연구 전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p.1

Ⅱ. 서양인의 초기 한국어 연구....................................p.1

Ⅲ. 19C 말부터의 한국어 문법 연구..............................p.2~5
 1) 유길준의 문법 연구
 2) 주시경의 문법 연구
 3) 김두봉의 문법 연구
 4) 최현배의 문법 연구
 5) 박승빈의 문법 연구
 6) 비교언어학적 연구

Ⅳ. 광복 이후의 한국어 문법 연구...................................p.6
 1) 정열모의 문법 연구

Ⅴ. 새로운 외국 문법 이론의 도입..................................p.6

Ⅵ. 맺음말.......................................................p.7

Ⅶ. 참고문헌.....................................................p.7

본문내용

문법·생성 문법
이론이 들어온다. 변형생성문법은 한국어 문법 연구에 큰 진전이 없던 한국어 통사론 연구의 틀을 잡게 한 큰 변혁을 가져왔다. 이후 한국어 통사론 연구는 이를 배경으로 더욱 활발하게 전개되어서 많은 공헌을 하게 되었으며, 오늘날까지도 그 연구가 이어져온다.
또한 컴퓨터의 발달과 함께 이를 원용하는 기계 번역 등 ‘전산언어학’분야의 연구도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컴퓨터 기반의 연구는 많은 양의 ‘말뭉치 영어의 ‘corpus‘를 옮긴 말로 연세대학교 한국어사전편찬실(현 언어정보개발연구원)에서 제안한 용어이다. 이상섭(1995)에서는 말뭉치의 사전적 의미를, “언어학적인 분석이 기반으로 삼고 있는 글 또는 말 자료의 뭉치”, 또는 “언어학과 사전 편찬에서 한 언어를 대표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원문, 발화, 또는 기타 표본들의 뭉치로서, 대개 전자 자료로 저장되어 있는 것”이라고 정희하고 있다. ’말모둠‘ 또는 ’코퍼스‘로 불리기도 한다.
(corpus)'를 구축하여 실제 언어 자료로 활용하는 연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말뭉치란, 언어를 연구하는 각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 재료로서, 언어의 본질적인 모습을 총체적으로 드러내 보여 줄 수 있는 자료의 집합을 뜻한다. 이런 조건만 만족할 수 있으면 작게는 시집 한 권이나 소설 한 편으로부터 수천만 어절 이상의 말 또는 글로 표현된 각종의 자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의 자료 모음이 모두 말뭉치라는 이름으로 묶일 수 있으며, 그 내용도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말뭉치를 최근에는 더 협의적인 개념으로 ’일정 규모 이상의 크기를 갖추고 내용적으로는 다양성과 균형성이 확보된 자료의 집합체‘를 가리키는 개념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이외에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언어 자료를 하나의 텍스트로 보고 문장의 전개와 응집 등을 규칙화한 ’텍스트 문법(text grammer)' 문장보다 더 큰 단위의 언어구조를 분석하고 기술하는 학문으로 언어학의 한 분야이다. 해리스(Harris. Z)의 담화분석을 기원으로 하며, 현대 유럽 언어학계에서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도 활발한 연구를 보이고 있다.
Ⅵ. 맺음말
앞에서 19세기 말부터의 한국어에 대한 연구를 문법 연구를 중심으로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국어 문법 연구는 처음에는 서양인에 의해 연구 되었으나 점차 유길준, 주시경, 김두봉, 최현배 선생 등 여러 학자들에 의해 우리 한국어의 문법 사실에 합당한 문법이론을 개발하고 체계를 수립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가 전개되는 동안 그 사이에 국어문법은 서양의 비교언어학적연구와 기술 언어학적 방법론 그리고 변형생성문법 등 여러 문법이론의 유기적 관계를 통해 분석되었으며 그 연구 내용이 점차 발전하게 되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서양의 오래된 언어체계에 대한 연구에 비하면 우리 한국어에 대한 역사를 그리 길다고 할 수 없겠지만 앞에서 살펴 본 바에 의하면 한국어에 대한 연구는 서양의 여러 문법적 이론을 개방적으로 수용함과 동시에 유길준, 주시경, 김두봉, 최현배 선생 등 여러 학자들에 의해 세워진 새롭고, 보다 우리말과 글에 적합한 이론을 서로 접목시킴으로서 보다 한국어에 대한 깊이 있는 발견을 도모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Ⅶ. 참고문헌
최재희(2004), 『한국어 문법론』, 태학사
고영근, 남기심(2002) 『표준 국어 문법론』, 탑출판사
김형주(1997), 『우리말 연구사』, 세종문화사
박동규(1998), 『국어 연구사』, 전주대학교출판부
박태권(2002), 『국어학사 연구』, 세종출판사
최규수, 박이정(2005),『주시경 문법론과 그 뒤의 연구들』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08.01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00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