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본이론과 상담자의 자기이해, 기본인생태도 이론, 자기부정 타인긍정, 자율성, 스트로크 이론 등 총체적 조사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각본이론과 상담자의 자기이해 증진

2. 기본 인생태도 이론과 상담자의 자기이해 증진

1) 자기부정, 타인긍정. (I`m not-OK, You`re OK)

2) 자기부정, 타인부정. (I`m not-OK, You`re not-OK)

3) 자기 긍정, 타인 부정(I\'m OK, You\'re not-OK)

4) 자기긍정, 타인긍정(I\'m OK, You\'re OK)

3. 스트로크 이론과 상담자의 자기이해

4. AC와 FC의 이론과 상담자의 자기이해

5. 드라이버 이론과 상담자의 자기 이해

6. 이면교류이론과 상담자의 자기이해

7. 자율성과 상담자의 자기이해

본문내용

)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담교사의 스트로크 파일은 자신의 정신건강은 물론, 능숙한 상담을 진행시키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고로 상담교사의 자기이해 증진에서 스트로크 이론은 중요한 이론적, 임상적 패러다임이 된다.
4. AC와 FC의 이론과 상담자의 자기이해
TA이론의 핵심을 이루는 PAC의 자아상태이론(Ego-State Theory) 의 주도적 분석과 기능적 분석은 TA기초과정에서 학습하게 되고 기능분석에서 Jack Dusay에 의해서 개발된Egogram이 있는데 여기에 어린이 자아상태에 해당한 Free Child(FC)와 Adapted Child(AC)의 개념이 있다. 이 FC와 AC의 개념은 상담에서 핵심적인 의미를 지니게 된다(지면 관계상 이 부분은 간략하게 생략하기로 한다).
상담자의 성격에서 자신의 생각감정행동을 있는 그대로 상대방에게 표시하는지 또는 상대방이 원한다고 생각 되는대로 그것에 적응해서 표시하는지는 상담교사의 성격, 정신건강, 대인관계, 상담가정 크게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Egogram을 통해 상담교사의 자기 성경의 기능을 분석하는 것은 자기 이해에 크게 도움이 될 수 있다.
5. 드라이버 이론과 상담자의 자기 이해
드라이버 이론은 상담자아 내담자의 행동에 크게 영향을 끼치고 있기 때문에 축소 각본(manuscript)이라는 하위치료 이론으로 TA에서는 취급되고 있다. 다섯 가지 드라이버 곧, Be Perfect! Be Strong! Please Other! Try Hard! Hurry Up! 등이 있는데 상담교사의 주된 driver와 이차적 드라이버가 어떤 것인지를 아는 것은 상담교사의 상담의 형태를 이해할 뿐만 아니라, 그의 일상 생활의 양태를 이해하는데 크게 도움이 된다.
학교나 가정, 그리고 우리 일반 사회에서 학교 교사들에게 원하는 명령은 `Be Perfect'라고 본다. 어떤 상담교사가 `완전하라’의 부모의 명령에 따르기로 초기에 결정하고(각본이론) 교사로 성장했다면 그의 장점은 지혜, 목적성, 높은 도덕 표준 등을 들 수 있다. 이런 드라이버의 성취는 우울 , 분노, 비판, 독재, 고집 등의 부작용을 낳게 하고 이 때 인내성과 자발
성, 모험을 수용하는 등 생활의 과제가 생긴다. 문제는 `Be Perfect!'지향적 상담을 하게 될 때 내담자의 문제에 따라 어떤 문제가 야기될 수 있는지 상담교사는 자기이해를 도모해야 한다.
6. 이면교류이론과 상담자의 자기이해
이면교류는 두 사람사이의 의사교류에서 자신들의 솔직한 욕구(Stroke)를 표현하면 상대방으로부터 부정적인 스트로크 반응을 받을 수 있다는 위험성을 피하기 위하여 사회적으로 용납하는 교류로 교체하여 표현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사회적 차원의 교류와 심리적 차원의 교류가 있게 되며 이를 이면교류라고 하는데 이런 종류 교류는 각본게임라켓 등 TA에서 말하는 초기 결정에 의한 성격의 표현으로 나타나게 된다.
상담에서는 심리적 차원의 교류가 진짜 메시지인데 상담교사가 이면 교류를 자신도 모르게 하게 되면 상담은 원조과정이 아니라 게임을 발동시켜 역기능적인 각본을 더욱 강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담교사의 자기 이해는 자신의 이면교류체계를 과감히 공개적인 교류로 대치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면교류로는 진정한 메시지가 전달되지 못하며 그 결과 필요로 하는 stroke도 얻지 못하게 된다.
7. 자율성과 상담자의 자기이해
자율성은 “자기긍정-타인긍정”의 기본생활태도에서 나타나며 각본에서 해방되고 현시점에서 성장한 이론으로 자신의 문제를 직시할 수 있고, 객관적 분석과 문제 해결을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용기를 가진 상태를 말한다. 다시 말해서 현재의 삶이 아동기의 지배를 받는 타율적 삶에서 벗어나 현재를 사는 자율적 인간이 되는 것이다.
상담교사의 자기이해는 곧 `자율성’을 취득하기 위한 옛 각본의 이해와 재 결단이라고 본다. 자율성을 취득했다는 것은 첫째, 인식(Awareness), 둘째, 자발성, 순발성(Spontaneity), 그리고 셋째, 친밀성(Intimacy)이다. 친밀성이란 자신과 타인에게 각자의 감정과 욕구를 공개적으로 나눌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표출된 감정은 진실된 것이기 때문에 친밀성은 `라케티어링(Racketeering)'이다. `게임 플레잉(Game Playing)'을 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상담자로서의 능력부여가 되는 셈이다.
발췌 : 인천 인성개발 연구원에서 실시한 강의 자료 (강사 : 박종삼 교수)

추천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5.17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43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