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한국대학의 문제점과 그 원인
 ⅰ. 문제점
  1. 대학의 기능 및 역할의 획일화
  2. 연구실적의 취약
  3. 대학의 경영능력 및 대학평가 부재
  4. 대학원 교육의 부실
  5. 기초 학문 분야의 외면
  6. 대학 간 경쟁 및 협력 체제 구축
  7. 인성 교육의 부재와 교육 공동화 현상
  8. 평생 교육 체제의 미흡
  9. 교육 과정의 현장 적용성과 전문 인력 양성 미흡
 ⅱ. 그 원인
  1. 정책적 요인
  2. 대학내적 요인

Ⅲ. 문제점 대응방안
 1. 대학의 패러다임 전환
 2. 대학의 연구기능 회복을 위한 개혁
 3. 대학 행정의 합리화
 4. 탄력성 있는 대학구조의 설계와 평생교육의 기회확충
 5. 기초학문의 전략적 육성
 6. 직업교육의 내실화
 7. 인성교육을 위한 올바른 대학문화의 정착

Ⅳ. 결론

본문내용

운영은 필연적이다. 강선보. 앞의 논문.
5. 기초학문의 전략적 육성
기초학문은 다양한 학문발전을 위한 인프라 구축을 위해 중요하다는 점을 감안하여 전략적인 육성책이 모색되어야 한다. 기초학문 분야는 단기적인 측면에서 볼 때는 경쟁력이 낮으나 장기적인 면에서 다양한 학물 발전의 기초가 되고, 탁월한 연구능력을 갖춘 고급인력 및 창의적인 지식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부문이므로 중점지원 방식의 적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안들을 제시할 수 있다. 교육부. 앞의 논문.
기초학문 분야에 대한 재정 지원 대책 마련 및 우선적 지원
부전공, 복수전공, 학부제, 학과 간 협동과정 활성화
기초 분야의 대학과 연구중심 대학의 대학원과 원활한 연계 강화
6. 직업교육의 내실화
지식기반사회에 대응하여 언제, 어디서나, 모든 사람이 원하는 교육을 자유롭게 학습할 수 있는 열린교육사회, 평생학습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평생학습의 근간으로서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고, 산업 현장에서의 적응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직업 교육을 내실화해야 한다.
대학에서의 직업교육 프로그램의 현장 적합성을 재고하고, 계속교육의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평생직업교육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교육부. 앞의 논문.
대학과 산업체, 직업 훈련 기관 간 연계 프로그램 운영 및 지식 인프라 구축
산업현장 중심의 계속적인 직업교육 체제 개편으로 현장성 제고
지식기반 산업화에 따른 체계적인 진로지도 및 진로정보의 구축과 제공
직업기초능력 강화,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 기업경영능력 배양 등 직업 교
육의 질적 제고와 산업 현장의 요구가 반영된 직업 교육 과정의 개혁
6. 인성교육을 위한 올바른 대학문화의 정착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오늘날의 대학은 ‘대학의 3R'(college 3R)이라고 할 수 있는 올바른 지식(right knowledge), 올바른 신념(right belief), 그리고 올바른 실천(right practice)을 그 이상으로 삼고 있어 ’도덕적 기업‘으로 지칭되고 있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 도덕성과 인성교육의 문제에 관한 논란이 일고 있으며, 지식기반사회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정적인 문제도 함께 극복해야 하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지식을 산출하며, 인재를 양성하고, 현 사회와 미래의 세계관을 열어주는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는 대학교육에서의 올바른 가치관 확립과 인성교육을 위해 필요한 대학문화의 방향을 제시하면, 첫째, 각 개인과 조직이 소유하고 있는 지식을 조직화하여 조직 구성원이 이를 공유함으로써 우리사회의 총체적 역량을 발전적으로 강화시키는 지식공유문화의 정착이다. 이러한 지식공유문화의 정착은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연구하는 학문의 장인 대학에서 꼭 이루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둘째, 네티켓 교육을 통하여 대학인의 올바른 정보생활화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관심을 갖고 노력하여야 한다. 또한 정보화 사회가 기계문명에 지배되는 메마른 사회라는 인식보다는 우리 삶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믿음으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되는 바람직한 정보생활화문화를 확립해야 한다. 셋째, 바람직한 대학문화는 정보화 사회를 주도할 수 있는 지식정보문화의 확립과 동시에 새로운 밀레니엄을 맞아 빛나는 미래로 가꾸고 당당한 민족국가로 발전하기 위해 실현되어야 할 통일을 준비하고 관심을 고취시키는 문화의 확산일 것이다. 넷째, 대학에서는 자신을 낮추고 남을 섬기는 열린 사고의 인재들을 키워 이 사회가 사랑과 봉사가 충만해지는 공동체가 될 수 있도록 섬김 문화운동을 전개하여야 한다. 김수욱 지식기반사회의 지식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 韓國農業敎育學會誌 제34권 제1호
이러한 것들을 위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인문학의 발전이다. 인문학은 이성과 지식의 핵심이다. 기계문명의 발달로 점점 소외되어 가는 인문교육 또는 창조적 정예교육을 위한 인문과목들을 학생들에게 가르쳐서 21세기를 살면서 이들이 인간의 도덕성, 정직성을 회복하도록 하는 대학교육이 되어야 한다. 홍연숙 바람직한 대학교육 한국논단.
신대학문화의 정착과 도덕성 제고를 위한 노력들은 대학 구성원 전체를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대학을 하나의 ‘도덕적 사회’화 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도덕 문화 공동체, 도덕 지식 공동체 그리고 학습윤리 공동체적 특성을 지니도록 신입생들의 오리엔테이션에서부터 추수지도에 이르기까지 도덕적 차원에서의 인적자원관리 체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Ⅳ. 결론
현재 한국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대학교육의 개혁은 치열한 시대 경쟁 속에서 생존을 위해 필연적인 것으로 다가오고 있다.
국제화, 정보화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로서는 교육의 기반을 튼튼히 잡아 내실을 꾀해야 하는 것이다.
현 대학의 문제점의 원인으로는 대학내적 요인 뿐 아니라 외적인 요인도 있다. 하지만
대학교육의 개혁은 먼저 대학 내부에서 능동적으로 출발되어야 한다. 대학 구성원들 모두가 자기진단과 반성을 통해 앞장서서 문제들을 개선하고, 대학교육의 개혁에 적극적으로 협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정부도 대학교육 개혁을 위한 제반 정책들을 재검토하고, 적절한 개입을 통하여 개혁에 힘써야 한다.
이러한 개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사학재단 등에서 재정적인 지원을 적극적으로 해 주어야 하며 그래야만 한국대학이 국제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한 나라의 미래는 그 나라의 대학과 대학교육의 비전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러므로 21세기에는 대학교육이 국가발전의 한 전략으로서 인식되어야 한다. 능동적이고 체계적인 대학교육의 개혁이 이루어진다면 앞으로의 시대는 새로운 발전의 호기로 다가올 것이다.
참 고 문 헌
강선보. 정보화사회의 대학교육 발전방향 : 안암교육. 2002.
송병순. 대학교육의 개혁과제
박영진. 대학교육의 현실과 새로운 대학 체제 구상 : 교육비평사. 2003.
신현석. 대학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정책모형의 개발과 전략의 탐색
: 고등교육연구. 1996.
홍연숙. 바람직한 대학교육
김수욱. 지식기반사회의 지식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09.06
  • 저작시기201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61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