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상담의 운영과 방법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집단상담의 운영과 방법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도입단계의 특성과 중요성
II. 도입단계의 과제와 지도자의 역할
Ⅲ. 집단회기를 시작하고 마감하는 개입반응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제 도입단계에서 집단회기를 운영하는 데 있어서 지도자가 유의해야 할 점과 집단회기를 시작하고 마무리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개입반응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집단회기를 시작하고 끝낼 때 효율적으로 진행하는 것은 집단의 어느 회기에서나 중요하지만 도입단계에서의 집단회기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1. 집단회기를 시작할 때의 개입반응
집단회기를 시작할 때 처음 몇 분동안 지도자는 참여자들에게 집단을 위한 준비작업을 할 수 있는 시간을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적어도 한 차례는 모든 집단원들이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을 하는 것이 좋다. 처음부터 한 사람에 대해서만 집중적으로 작업을 하면 공통적인 주제나 관심사를 놓치기 쉽고, 비슷한 주제를 가진 집단원들을 서로 연결시키거나 혹은 상반된 태도를 보이는 집단원들을 찾아낼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된다. 또한 이전 회기에 대한 아무런 언급없이 집단회기를 시작하기보다 이전 회기와 현재 회기를 연결시켜주는 작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준비작업을 위해 지도자가 활용할 수 있는 개입반응들은 다음과 같다:
돌아가면서 "지금 나는 ____________."라는 문장을 완성시켜보았으면 좋겠군요.
오늘 집단에 오려고 준비하는 동안이나 혹은 집단에 오는 길에 어떤 생각이나 느낌이 들었나요?
돌아가면서 이번 회기에서 다루고 싶은 주제가 무엇인지 각각 짧게 얘기해봅시다.
오늘 이 자리에 있다는 것이 어떻게 느껴지는지 돌아가면서 얘기해봅시다.
지난 회기에 얘기한 것에 대해 그 후로 특별히 생각해 본 것이 있나요?
지난 회기에서 논의된 내용 중에서 이번 시간에 좀더 다루었으면 하는 것이 있습니까?
2. 집단회기를 끝낼 때의 개입반응
지도자는 아무런 마무리 작업 없이 황급히 집단회기를 끝내는 일은 피해야 한다. 특히 집단초기단계에서는 집단회기를 끝낼 때 집단원들이 스스로 집단과정과 함께 자신의 집단참여태도를 돌이 켜보고 집단경험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고 평가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다음에 제시된 질문들은 해당 집단회기가 참여자 각자에게 어떤 의미와 효과가 있었는지 살펴 보도록 함으로써, 집단활동과 개인의 경험을 연결시키고 한 회기를 정리하고 평가하는 데 유용한 개입반응들이다:
이번 시간에 여러분은 자신에 대해 어떤 것을 배웠습니까?
이번 시간에 여러분은 무엇을 배웠습니까?
이번 시간에 다른 사람들이 말한 내용 중에서 여러분 자신의 고민이나 문제와 비슷한 부분이 있나요?
오늘 집단을 끝내기 전 하고싶은 말이 있나요?
오늘 집단활동이나 논의된 내용 중에서 여러분에게 가장 도움이 되었던 부분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오늘 다른 참여자들의 작업 중 가장 마음에 와 닿았던 부분은 어떤 것인가요?
이번 시간에 여러분이 기대했던 것을 얻었습니까?
이번 시간을 끝내기 전 누군가에게 피드백을 주고 싶은 분이 있나요?
오늘 여러분이 집단에 참여한 정도에 대해 어느 정도 만족합니까?
00씨는 이번 시간에 별로 말이 없었던 것 같군요. 이번 시간이 00씨에게는 어땠는지 말씀해주시겠어요?
돌아가면서 다음 문장을 완성해봅시다: "집단 밖에서 연습할 필요가 있는 한 가지는 ______이다."
위의 질문들 중 지도자는 상황에 맞게 한 두 가지를 선택해서 참여자들의 소감을 들어본 뒤 집단원들의 반응을 정리하고 요약하 는 말을 해준다. 이와 함께 그 날의 집단활동이나 집단과정에 대한 지도자 자신의 소감과 반응을 나눈다. 마무리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지도자는 참여자들이 소감을 묻는 질문에 대해 "아주 좋았다" "많이 도움이 되었다" 등의 일반적이거나 막연한 반응을 보이면, 자신이 경험한 바를 좀더 구체적인 용어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 이런 마무리 작업은 지도자와 집단원들이 각자가 집단에서 경험하는 바를 이해하도록 돕고 집단원들이 좀더 능동적으로 집단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자극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참고문헌
이장호·김정희(1992). 집단상담의 원리와 실제. 서울: 법문사.
이형득(1979). 집단상담의 실제.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이형득(1998). 자기성장 집단상담의 단계별 발달과정. 집단상담
연구, 창간호. 한국집단상담학회. 35-61.
Corey, G. (1990).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counseling
(3rd ed.). Pacific Grove, CA: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Corey, G., & Corey, M. S. (1987). Groups: Process and practice (3rd ed.). Monterey CA: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Corey, G., Corey, M. S., Callanan, P. & Russell, M. J.
(1992). Group techniques (2nd ed.). Pacific Grove, CA: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Hansen, J. C., Warner, R. W. & Smith, E. M. (1976). Group counseling: Theory and process. Chicago: Rand McNally
College Publishing Co..
Kaplan, H. I., & Sadock, B. J. (1993). Comprehensive group
psychotherapy(3rd ed.). Baltimore, MD: Williams & Wilkins.
McKay, M., & Paleg, K. (eds.) (1992). Focal group psychotherapy. Oakland, CA: New Harbinger Publications,
Inc.
Whitaker, D. S. (1985). Using groups to help people. New York: Routledge.
Yalom, I. D. (1985).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 (3rd ed.). New York: Basic Books.
  • 가격10,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99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