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이식 면역 작용과 면역 억제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장이식 면역 작용과 면역 억제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식과 면역
 2. 신동종이식 거부반응
 3. 면역억제제의 종류와 작용기전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2nd line
MMK/AZA/Rapa
MMK/AZA/Papa
Low/Withdraw
Steroid
Tapering
Low/Withdraw
Withdrawal(CI/CS)
Antibody
Anti-CD25
Anti-CD3
Polyclonal ALG
Mono-therapy
Antibodies
면역억제제 사용 시에는 공여 장기의 성상(뇌사자 장기, 생체 장기, 혈연 여부, HLA 적합 정도 등), 환자의 전신상태(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심혈관계 질환, 연령, 재이식 여부 등), 공여장기 및 이식 직후 장기의 기능, 약제의 부작용(신독성, 간독성, 당뇨, 고지혈증, 통풍, 탈모, 고혈압), 의료진의 사용 경럼, 약제 혈중농도를 감시할 수 있는 검사시설 여부 등을 고려하여 약제조합과 용량을 개인마다 다르게 하는 맞춤형 면역억제요법이 강조되고 있다. Cyclosporine 또는 tacrolimus를 기본으로 하여 스테로이드와 MMF를 추가하는 3제요법이 현재로는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뇌사자 공여장기를 이용하거나 심혈관 상태가 불량한 경우 또는 당뇨병이 있는 경우에는 basiliximab이나 daclizumab를 단기간 병용하는 4제 요법도 흔히 사용된다. 물론 면역학적인 위험도가 적은 경우에는 2제 또는 단독요법도 사용된다. 다장기 이식인 경우 tacrolimus가 선호되며, 당뇨를 동반한 또는 당뇨의 위험이 있는 고령 환자의 경우 cyclosporine이 선호되고, 이식 직후 신독성이나 간독성이 문제가 되거나 이식장기 기능이 불량한 경우 calcineurin 억제제 용량을 줄이거나 투여를 중지하고 독성이 없는 mycophenolate를 증량하거나 추가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Ⅲ. 결론
신장이식 후 이식한 신장의 장단기적인 생존은 적절한 면역억제요법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신장이식 후 시행하는 면역억제요법의 목적은 이식 신장에 대한 수혜자의 거부반응을 억제하여 이식 신장의 장기적인 생존을 유도하는 것이며 동시에 면역억제제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장기이식 후 일어나는 면역반응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며, 그간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거부반응을 주도하는 T-림프구가 활성화되는 기전을 포함한 이식 면역반응에 대한 많은 이해가 필요하리라고 본다. 최근에는 이식 후 거부반응을 유발하는 수혜자 체내의 다양한 면역반응을 차단하는 좀더 선택적이며 부작용이 적은 강력한 면역억제제의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실제 임상에서 여러 가지 조합으로 사용되어 좋은 결과를 얻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흔히 사용하고 있는 면역억제요법은 이식 후 급성거부반응의 발생을 줄이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어 보다 장기적인 이식신장의 생존이나 면역억제요법과 관련된 장기적인 부작용의 예방 또는 방지를 위한 세심한 전략의 수립이 시급하다. 따라서 이식 초기 3~6개월 이내에 수혜자의 체내에서 이식항원에 대한 격렬한 면역반응이 나타나는 적응 전시기(pre-adaptation period)와 이후 어느 정도 적응이 되어 완만한 면역반응이 나타나는 적응 후 시기(post-adaptation period)로 나누어 각 시기의 특징을 감안하여 적절한 면역억제요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본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면역억제제들이 단기간의 이식 장기 생존에는 효과적이지만 이식 장기의 장기생존은 큰 향상을 가져오지 못하고 있으며 약제가 가지는 신독성, 면역관용 유도에 미치는 부정적인 역할 등으로 인하여 새로운 면역억제제의 개발과 면역억제방법의 전환 등이 이식면역 분야에서 시급히 해결하여야 할 문제이다. 그러나 이러한 면역억제제를 사용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지향하고 있는 최소한의 면역억제(minimal immunosuppression)와 최대한의 이식 장기 생존이라는 명제를 실현하는 데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 즉 이식장기에 대한 면역반응은 정상적으로 유지되는 동종장기 특이 면역관용의 유도가 앞으로의 이식면역학의 지향점이라 할 수 있다.
Ⅳ. 참고문헌
1. 김유선, 이종훈, 허규하. 신장이식: 변화와 발전. 대한의사 협회지 2003;46(10):927-36
2. Douglas J. Norman, Laurence A. Turka: Primer on Transplantation, 2nd ed., American Society of Transplantation, 2001
3. gabrkel M. Danovitch: Handbook of Kindney Transplantation, 3rd ed., Loppincott Wiilams and Wilkins, 2001
4. Leo C. Ginns, A. Benedict Cosimi, Peter J. Morris: Transplantation, Blackwell Science, 1999
5. Nadey S. Hakine, Gabriel M. Danovitch: Transplantation Surgery,
Springer-Verlag, 2001
6. Ron Shapiro, Richard L. Simmons, Thomas E. Starzl: Renal Transplantation,
Appleston and Large, 1997
7. Tpwnsend: Teztbook of Surgery, 16th ed., WB Saunders, 2001
8. 임상신장학, 대한신장학회, 성문출판사, p; 767-773, 2001
9. 강종명: 새로운 면역억제제의 임상적 응용. 대한신장학회지 제 18권 부록 1호, 1999
10. 윤영식: 신장이식에서의 연역억제제. 대한신장학회지, 제 13권 부록 8호 1994
11. 김중경: 만성이식병증의 면역억제 요법, 대한신장학회지, 제 24권 부록 2호 2005
12. 박수길: 만성동종이식 신장병증의 면역학적 기전. 대한신장학회, 2005
13. 정현주: 만성 신이식 거부반응의 병리, 대한신장학회지, 제 19권 부록 2호 2000
14. 성은영, 김연수 : calcineurin Inhibitor 이후의 면역억제 치료와 향후 과제, 대한 신장 학회 제 23권 부록 2회 2004
  • 가격3,4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3.02.17
  • 저작시기2013.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12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