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 순환경제(쓰레기는 자원이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폐기물 순환경제(쓰레기는 자원이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안팎인 보조연료로 재활용할 수 있다는 게 발전회사들의 분석. 1kg당 3500kcal는 갈탄급 저열량 석탄과 비슷한 수준이다.
이에 따라 발전회사들은 유기성 고형연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각 지방의 유관기관과 업무협약을 맺고 있다.
서부발전(사장 손동희)가 17일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와 업무협약을 체결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서부발전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에서 만들어온 하루 230t 안팎의 유기성 고체연료를 태안화력발전소 3~4호기에 일부 섞어 쓸 계획이다.
서부발전 관계자는 “하루 230t이면 1개 호기에 들어가는 연료의 5% 정도”라며 “생활하수찌꺼기를 처리해주는 비용은 공사측으로부터 따로 받지 않는 조건으로 연료값은 무상 제공받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고 말했다.
서부발전은 한전 전력연구원 등과 손잡고 국책과제로 지난해 11~12월 태안화력발전소 3호기에서 하수슬러지 연료 혼소시험을 실시한 바 있다. 서부발전은 포스코, 포스코건설과 ‘하수슬러지 연료의 화력발전소 활용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양해각서도 체결하기도 했다.
서부발전을 필두로 남동·중부·동서발전도 이 같은 사업을 조만간 상용화할 계획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남부발전은 주력사업장인 하동화력발전소 인근에 하수처리장이 없어 불가피하게 해당 사업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지 못하고 있다.
하수슬러지는 전국 347개 하수처리장에서 연간 약 279만톤(2007년 기준)이 나오고 있는데, 이 가운데 70% 정도인 약 196만톤은 바다에 버려지고 있으며, 나머지 30%는 재활용, 소각, 매립 등의 방법으로 처리되고 있다. 하지만 국제협약에 따라 우리나라는 2011년 이후부터 하수슬러지를 바다에 버릴 수 없어 폐기물 전량을 육상에서 처리하거나 재활용해야할 처지에 놓여있다.
황인국 기자 (centa19@electimes.com)
[출처] 하수슬러지 재활용 전력생산 \'눈앞\' (워터에너지 시대)
3.4 본말 전도된 폐기물정책
환경부가 수립한 하수 슬러지 관리 기본계획은 발생량을 줄이는 감량화를 우선 추진하고 이후 재활용, 소각 및 매립의 순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감량 가능성을 조사하거나 구체적 감량목표를 설정하지 않고 재활용 등 다른 처리시설 설치 위주로 정책을 수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하수 슬러지는 2005년 257만톤에서 2009년 302만톤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했지만 하수 슬러지를 줄일 수 있는 설비인 소화조의 운영 효율은 2009년 기준으로 전국 평균 30%에 불과해 처리시설 설치 및 운영비가 더 지출됐다.
아울러 특별한 이유도 없이 복토재 품질 기준을 마련하지 않아 2007년 이후 설치한 하수 슬러지 고처리 시설마다 복토재 품질 기준을 제각각 정하면서 품질이 낮은 복토재는 일반 토사를 혼합해 사용하거나 심지어 매립되기도 했다.
폐기물 에너지화 사업도 경제성에 대한 최소한의 고려조차 없어 실패한 정책이 되고 말았다.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에 따르면 하수 슬러지 연료는 함수율 10% 이하의 3000kcal/kg을 만족해야 하기 때문에 특수한 건조시설이 필요하다. 이로 인해 LNG와 같은 고급연료를 투입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비 및 운영비가 각각 1.5배 더 소요된다.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폐자원 처리의 본말이 전도되면서 에너지를 투입해 에너지를 만드는 이상한 현상”이라는 비판을 가하고 있다.
또한 소화조를 통해 유기물을 감량하면 2000kcal/kg급도 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화력발전소에서는 경제성 부족을 이유로 사용하지 않지만 대부분 지자체에서는 하수 슬러지를 소화조에서 처리하고 있어 대부분 2000kcal/kg급에 불과해 연료로 사용하지 못한다. 아울러 연료로 사용이 가능한 3000kcal/kg급 연료라 하더라도 발전소별로 최소 1일 200톤 이상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어야 하지만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그럼에도 환경부는 이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지 않고 17개 지자체에 2985억원의 예산을 들여 연료화 건조시설을 추가로 건설하는 계획을 수립해 추진 중이다. 그 결과 화력발전소에서 열량이 떨어지는 슬러지를 연료화 할 수 있는 혼소설비를 설치하지 않으면 고가의 연료화 건조시설 설치는 예산 낭비에 불과할 따름이다.
이 같이 본말전도 된 환경정책의 예로 *전북 익산을 제시할 수 있다. 이 같은 예산집행은 폐자원 처리의 본말이 전도되면서 에너지를 투입해 에너지를 만드는 이상한 현상”을 보여주는 확실한 예라 할 수 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익산시, 하수슬러지 발전연료로 재활용
2012년 하수슬러지의 해양투기가 금지되면서 전북권 지자체의 슬러지 처리시설 설치가 잇따르고 있다.
특히 슬러지를 재처리해 발전소 연료로 재활용하는 공법을 활용하는 지자체가 증가하고 있다.
전북 익산시는 5년 넘게 끌어온 하수슬러치 처리방법을 \'\'건조연료화 공법\'\'으로 택했다고 밝혔다.
익산시는 지난 2006년 하수슬러지 처리시설 계획을 세웠으나 탄화·건조 등 처리공법을 놓고 논란을 빚어왔다. 한때 탄화공법을 채택하는 듯 했으나 매연 배출 논란을 부추겼고, 공무원과 업체측과의 유착의혹 등이 제기되자 공법 채택을 수년간 미뤄왔다.
익산시 상하수도사업단은 \"환경부에서 권장하는 건조연료화 공법을 적용, 업체 선정과 시공 등에 관한 업무는 모두 환경관리공단에 위탁했다\"고 밝혔다. 논란의 소지를 없애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익산시 금강동 하수처리장에 설치될 슬러지 처리시설은 하루 120톤을 처리할 수 있고, 198억원을 들여 오는 2013년 5월까지 설립한다. 시설이 가동되면 슬러지를 건조시켜 10% 정도로 압축한 뒤 서부발전소 발전연료로 사용된다. 현재 익산시에서 배출되는 슬러지 양은 1일 70여톤으로 민간업체가 수거해 바다에 버리고 있다.
이에 앞서 인근 군산시도 건조방식으로 하수슬러지를 처리키로 결정하고 설치공사에 들어갔다. 군산시는 모두 353억원을 들어 2012년까지 군산시 소룡동 하수처리장에 1일 처리규모 150톤의 건조시설을 지을 계획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가격13,86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4.11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90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