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증제도,마크인증,의류인증제도,에코라벨,미국인증제도,해외인증제도,KS마크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증제도,마크인증,의류인증제도,에코라벨,미국인증제도,해외인증제도,KS마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섬유/의류제품의 안전성을 위하여 선진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인증제도
1-1. 유럽
1) Eco-Label
2) Oeko-Tex Standard 100
3) EU Eco-Label, Flower
4) 그 외의 에코라벨 인증제도
1-2. 미국
1) CPSIA
2) AAFA
1-3. 중국
GB 18401 강제인증시험국가섬유제품 기본안전기술규범
1-4. 일본
유해물질이 들어있는 가정용품의 규제에 관한 법률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섬유/의류제품 안전성 인증제도의 비교분석
2-1.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안전성 인증제도
1) GQ 마크
2) Eco-Quality
3) KC 마크
4) KS 마크
5) SF 마크
6) 기능 마크
2-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차이점 및 현황 비교분석
1) 강제성 결여
2) 유해물질의 허용 기준 미흡
3) 기관 미비
4) 전문성 결여

3. 현행 섬유/의류제품의 안전성 인증제도가 향후 의류산업에 미치는 영향

III. 결론

IV. 참고자료

본문내용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체계화되고 전문화된 제도 하나가 복잡하고 어지럽게 널려있는 많은 제도들보다 효율적으로 섬유산업을 이끌 수 있을 것이다.
3. 현행 섬유/의류제품의 안전성 인증제도가 향후 의류산업에 미치는 영향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인체에 대한 섬유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EU, 미국, 중국 등 여러 나라에서 섬유/의류 제품을 규제하는 여러 제도가 현재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제도들은 부정적인 측면과 긍정적인 측면을 모두 지니고 있다.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우리나라 수출산업의 타격을 들 수 있다. EU에서 시행하고 있는 에코라벨이 섬유 및 의류 등에 관해 엄격한 규정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규정에 부합하지 못하는 우리나라 제품은 수출 시 큰 장벽에 부딪히게 된다. 물론, EU에서 시행하는 에코라벨이 법적인 효력을 지니는 것은 아니지만, 유럽의 소비자들이 제품을 구매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에코라벨의 기준에 부합하는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국내 제품 수출에 관건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섬유/의류제품의 안전성 관련 인증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소비자의 안전성 보장과 더불어 제품의 신뢰성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동안 안전성 제도의 미비로 인해 여러 가지 안전과 관련된 문제가 야기되었지만, 이러한 제도의 시행을 통해 소비자를 위협하는 요인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인증제도의 객관적 기준이 소비자들이 제품을 구매할 때 신뢰할 수 있는 척도로 작용할 수 있다.
III. 결론
세계적으로 환경 보호와 Well-being에 대한 관심사가 높아지면서, 섬유나 의류에 관련한 제조에 있어서의 인체 안전성에 관련된 제도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독일의 경우, 이미 1979년 환경마크제도를 시행하면서 섬유/의류의 안전성 관련 인증제도의 발전이 꾸준히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이에 반하여 우리나라는 약 15년이 늦은 1992년부터 환경마크 인증을 실시하여 섬유의 안전성에 관련 인증 제도가 상대적으로 선진국에 비해 늦은 시작을 보였다. 또한 현재까지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인증제도 조차, 섬유의 안전성에 관련한 구체적인 기준과 통일성을 보여주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는 우리나라의 섬유/의류제품에 관련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다각적인 측면의 해결책이 요구된다.
1. 소비자적 측면
소비자는 섬유/의류의 제품 소비 시 안전성에 대한 인식 고취가 제일 먼저 요구된다. 그동안 섬유/의류에 관련해 디자인과 색상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제품을 선택하였다면, 이제는 섬유/의류 제품의 유해성이 얼마나 인체에 해로울 수 있는가를 자각하고 안전성을 우선시 하여 제품을 선택해야 한다. 또한, 소비자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이 확립되었을 때 이는 나아가 기업이 제품을 생산할 때 소비자의 안전성을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도록 해주는 촉매제가 될 수 있다. 즉, 소비자는 제품으로 인한 안전성을 보장받기 위하여 기업이 지속적으로 안전성이 보장된 제품을 생산하도록 촉구하여야 한다.
2. 기업적 측면
기업은 섬유/의류의 제품 생산 시 안전성과 관련한 제도에 부합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기업의 경우, 선진국의 규제 동향에 뒤쳐지는 경향이 있어 국내산업 뿐만 아니라 수출에 있어서도 큰 손실을 입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선진국의 안전성 제도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 이는 우리나라의 잠재적인 수출 가능성을 높여줄 수 있는 기재가 될 수 있다. 나아가, 세계 시장에서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기업 내에서의 안전성 제도와 관련한 정보를 신속하게 수용할 수 있는 부처를 신설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3. 국가적 측면
섬유/의류의 제품 안전성이 국민의 안전성과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우리나라도 안전성 규제에 대한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국제적인 인증체제의 구축과 기술 개발 등이 시급하다. 현재 아시아 국가 중 유일하게 일본은 일본 자체 내 'Oeko-Tex Standard 100' 과 관련한 인증기관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반해 ‘Oeko-Tex Standard 100‘ 관련 국제적 인증기관이 우리나라에는 아직까지 도입되어 있지 않아, 국외(스위스)에서 인증을 받기 때문에 안전성을 인증 받는 데에 드는 시간과 비용이 상대적으로 많이 소비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내 시험이 가능한 국제 인증체제를 구축할 수 있는 기관을 설립할 수 있도록 국가의 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IV. 참고자료
1) <인체와 의류소재 Vol.11>, 전동원, 2009
2)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품질평가기준>,
김민수, 서울여자대학교대학원 의류학과 박사학위논문, 2002
3) <유아용 의류제품의 인체 안정성에 관한 연구:
위생용품의 인체장해 실태 및 유해성 인지도>, 이원자,
建國大學校學術誌 : 39('95.2) pp.371-377 건국대학교, 1995
4) <의류제품의 품질인증마크사용에 대한 연구>,
김민수, 2003 論文集: 제23집 (2003. 2) pp.107-122 烏山大學
5) <섬유제품의 환경마크제도 관련 대응전략 연구>, 생산기술연구원, 1996
6) <한국의 대 EU 섬유수출을 중심으로>,
김미아, 2009 유럽연구. 제27호 1호 (2009. 봄), pp.143-165 한국유럽학회
7) <한국 의류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김유성, 용인대 경영대학원, 2001
8) <섬유제품 및 생산공정의 환경관련 인증 연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01
9) 한국의류시험연구원 (http://www.katri.re.kr)
10) FITI 시험연구원 (http://www.fiti.re.kr)
11) 패션저널 (http://okfashion.co.kr)
12) 대한민국 정책포털 (http://www.korea.kr)
13) 지식경제부 (http//www.mke.go.kr)
14) 과학기술정보 통합서비스 NDSL (http://www.ndsl.kr/)
  • 가격4,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3.04.17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98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