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경제원론_chapter5,6,7_요약본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제경제원론_chapter5,6,7_요약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산함수는 규모에 대한 수익불변이라고 하자. ㉦최종재의 공급에 완전경쟁이 존재한다. ㉧모든생산요소는 완전히 고용된다. ㉨두 재화1,2가 모두 다 생산된다.
두 산업이 모두 양(+)의 생산을 해내고, 경쟁적인 진입과 철수가 가능하므로 다음과 같은 영의 경제이윤조건이 성립한다.
P=waL1+r1aK1
P=waL2+r2aK2
그리고 요소시장의 청산조건은 다음과 같다.
L=aL1y1+aL2y2
K1=aK1y1
K2=aK2y2
여기서 P1 ,P2 는 주어진 세계시장가격 L,K1,K2 는 주어진 요소부존량 aL1,aL2,aK1,aK1는 각기 기업의 비용최소화로부터 얻어지는 단위생산계수; w,r1,r2는 요소시장을 청산시키는 요소가격 y1,y2는 경쟁행위로부터 나오는 두 산업의 산출량을 나타낸다.
2.요소소득의 분배
L의 한계생산가치는 한계물적생산을 한 다위 추가함으로써 얻게 되는 추가적인 산출량에다가 산출물가격을 곱할 때 구해진다. 곧 L을 고용하는 최적조건은 다음과 같다:
w=P1MPPL1
여기서 산출물가격 P는 세계시장가격에 의해 정해진다. L의 한계물적생산은 L의 투입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이는 L에 대해 수확체감의 법칙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 [그림7-1]과 같다. 따라서, [그림7-2]와 같은 우하향하는 산업1의 L에 대한 수요곡선, 곧 VMPL1 을 얻게 된다.
[그림 7-1] 수확체감의 법칙 [그림 7-2] 한계생산가치곡선
두 산업의 요소 L에 대한 시장을 합하여 경제전체의 요소 L에 대한 시장을 [그림7-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수평축 L에 대한 총부존량을 나타내고, 수직축은 L에 대한 요소가격 w와 한계생산가치를 나타낸다. 원점 O1에서 오른쪽으로는 산업1의 L에 대한 수요를 나타내고, 원점 O2에서 왼쪽으로는 산업2의 L에 대한 수요를 나타낸다.
w,VMPL1
w,VMPL2

L1
L2
01
02
L
[그림7-3] 요소시장의 균형
3.산출물가격 변화의 영향
산업1의 제품가격이 3% 인상되었다고 하자. 그러면, 산업1의 L에 대한 수요 L1이 변하지 않은 상태에서 산업1의 한계물적생산(MPPL1)은 불변이지만 산업1의 한계생산가치 VMPL1은 3% 증가한다. 이에 따라 [그림7-4]에서 VMPL1는 VMPL1‘로 이동하고 요소시자청산균형점은 X에서 Y로 이동한다.
w,VMPL1
w,VMPL2
VMPL1
VMPL2
w\'
w
01
02


VMP\'L1

y
x
z
[그림7-4] 재화가격변화의 영향
그 결과 재화1의 가격인상은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친다:
(ⅰ) 산업1은 노동에 대한 고용을 증가시키는 데 반해 산업2는 노동의 고용을 줄인다.
(ⅱ) 산업1의 산출량은 증가하나 산업2의 산출량은 감소한다.
(ⅲ) 생산요소 L의 임금 w는 상승하지만 그 사승률은 3%미만이다.
(ⅳ) 산업2에 고정된 요소인 자본의 임대료는 r2감소한다.
(ⅴ) 산업1에 고정된 자본의 임대료 r1은 3%이상 상승한다.
4.정치경제학적 함의
첫째, 산업1에 고정된 자본의 실질소득 r1/P1과 r1/P2모두 상승한다.
둘째, 노동의 실질소득 가운데 w/P1은 하락하고 w/P2는 상승한다.
셋째, 산업2에 고정된 자본의 실질소득 r2/P1과 r2/P2는 모두 하락한다.
리카도-바이너모형에서는 자국이 재화1을 수입하는 경우 산업1에 고정된 요소는 재화1에 대한 수입관세를 환영하고, 이동 가능한 생산요소는 중립적일 것이고, 산업2에 고정된 요소는 재화1에 대한 자유무역을 바랄 것이다.
리카도-바이너모형의 결과는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기득권 그룹의 로비현상을 헥터-오린모형보다 현실적으로 전달한다.
노동을 이동 가능한 요소라고 하자. 백 가지 산업이 있고 각 산업이 전체 경제에서 차지하는 몫이 작아 경쟁적이라면, 한 산업을 제외한 나머지 경제의 노동에 대한 수요는 상대적으로 탄력적일 것이다.
w
w
01
099
VMP\'L1
VMPL99
VMPL1
[그림 7-5] 산업의 규모와 로비의 강도
5.부존요소의 변화
앞절의 산출물가격변화의 영향에서 보았듯이 재화의 상대가격변동에 따라 이 산업과 저 산업에 고정된 요소들간에 이해가 상충된다. 반면에 부존요소의 변화가 있을 경우 이 산업과 저 산업에 고정된 요소들은 이동가능한 요소에 대해 서로 이해가 일치하게 된다. 산업 간 이동이 가능한 노동의 부존량이 증가하였다고 하자. 이는 초기의 임금수준에서 노동의 초과공급을 의미한다. 두 산업이 보다 많은 노동을 고용함으로써 산업생산을 증대 시킬 것이다. 그러는 가운데 노동에 대한 수확이 체감하기 때문에 노동의 한계생산가치가 하락할 것이고 이에 따라 임금도 하락할 것이다. 각 산업에 고정된 자본의 한 단위에 결합되는 노동의 양이 많기 때문에 자본의 VMP는 증가하고 이에 따라 자본의 임대료는 각 산업에서 상승한다. 산업1에 고정된 자본의 부존량이 증가했다고 하자. 이 경우 산업1의 노동의 VMP는 증가하고 이에 따라 산업1은 노동의 고용을 증대시킬 것이다. 그 결과 임금이 상승하게 된다. 그런데, 산출물의 가격은 불변인데 평균수입과 평균비용을 일치시켜야 하기 때문에 임금이 상승하면 양 산업에서 평균비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자본의 임대료인 r1 과 r2 가 모두 하락해야 한다.
6.요소가격균등화
리카도-바이너모형에서는 산업내에 고정된 생산요소의 존재로 두 나라가 동일한 기술과 자유무역하에서 동일한 재화가격을 누리더라도 생산요소가격이 국가간에 균등해질 가능성은 희박하다. 자국의 산업1에서는 노동부존량의 2/3를 사용한다고 하자. 자국의 산업1에 고정된 자본의 부존량이 외국에 비해 6배 많다고 하자. 바로 앞의 분석에서 보았듯이 재화의 가격은 불변인데도 요소부존도의 변화만으로 요소가격이 변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경우 자국의 노동의 부존량은 외국에 비해 4배 더 많아야만 재화1을 2배 더 많이 생산할 수 있고, 재화2를 6배 더 많이 생산할 수 있게 만들어 요소집약도가 외국과 동일해져 요소가격 균등화가 실현된다. 따라서 이처럼 완전한 요소가격균등화는 리카도-바이너모형에서 실현되기가 우연에 가깝지만 자유무역에 따라 요소가격격차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2,6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3.05.02
  • 저작시기201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27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