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본문내용
1. 운영체제 개념
가. 운영체제의 정의
사용자와 컴퓨터 시스템 사이에서 원할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인테페이스 기능 을 담당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
나. 운영체제의 기능
1) 사용자에게 편리한 환경 제공
2) 컴퓨터 시스템 자원이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
다. 운영체제가 관리하는 자원
1) 프로세서 : 중앙처리장치를 말하며, 가장 H/W적인 자원이다.
2) 메모리 :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를 의미한다. 특히, 주기억, 보조기억, 가상기억 장치에 대해서 관리 기법을 중심으로 학습하게 된다.
3) 프로세스 : Program 중에서 CPU에서 실행될 수 있는 상태 또는 직접 CPU에서 실행되는 상 태의 모든 Program을 말한다.
4) 주변장치 : 입력과 출력 장치를 말한다.
5) 파일 : 사용자가 스스로 또는 system 내에서 자동으로 만들어내는 하나의 이름을 지닌 자 원을 말한다. 논리적인 무형의 형태이다.
라. 운영체제의 설계 목표
1) 처리량(Throughtput)의 향상 : 처리량 : 단위시간당 처리하는 일의 양
2) 경과 시간(TAT : turn-around time)의 단축 : 경과 시간 : 작업의 제출부터 작업의 종료까지의 시간
TAT = Waiting time CPU time
3) 빠른 응답 시간 (fast response time)
4) 신뢰성(reliability) 향상
신뢰성 : 시스템이 멈추지 않고 계속적으로 동작하는 것
user가 접근 가능한 부분과 접근 불가능한 부분으로 구분, 연산이 틀림없이 제대로 하는 것
5) 사용 가능성(availability)
6) 폭넓은 이식성(portability) : 이식성 : 다른 하드웨어에서도 잘 동작하는 가에 관한 문제, 고급언어를 사용하여 해결
마. 운영체제의 구성
1) 제어프로그램 : 시스템 전체의 동작 상태를 감시, 감독하고 자원들을 관리하며 각종 입출력 장치를 제어, CPU 스케쥴링과 작업 관리, 기억 장치 관리 등을 담당한다.
가) 감시 프로그램(Supervisor Program) : 처리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과 시스템 전체의 동작 상태를 감시
나)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Data Management program) : 주기억 장치와 보조 기억 장치 사이의 자료 전송이나 보조 기억 장치에 저장되 어 있는 자료의 갱신과 유지 담당
다) 작업 관리 프로그램(Job Management program) : 다음에 실행할 작업을 선택하거나 작업의 시작, 종료, 실행, 일시 정지 등과 같 이 운영체제의 작업 스케쥴러 역할 및 입출력 장치의 배당을 담당하는 프로그램
2) 처리 프로그램
가) 언어번역 프로그램(Language Translator) : 어셈블러(assembler), 컴파일러(compiler), 인터프리터(interpreter)등
나) 서비스 프로그램(Service Program) : 파일복사, 텍스트 편집, 데이터 정렬, 병합, 프린터 조작등의 유틸리티 프로그램 과 같이 제어 프로그램을 보조해 주는 프로그램
다) 문제 프로그램(Problem Program) : 사용자가 자신의 문제 해결을 위해 작성한 프로그램
바. 프로그램 작성에서 실행까지의 순서
Flow chart - Coding - Macro Processor - Language Translator - Object 생성 - Linker - Loader - Execute
가. 운영체제의 정의
사용자와 컴퓨터 시스템 사이에서 원할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인테페이스 기능 을 담당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
나. 운영체제의 기능
1) 사용자에게 편리한 환경 제공
2) 컴퓨터 시스템 자원이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
다. 운영체제가 관리하는 자원
1) 프로세서 : 중앙처리장치를 말하며, 가장 H/W적인 자원이다.
2) 메모리 :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를 의미한다. 특히, 주기억, 보조기억, 가상기억 장치에 대해서 관리 기법을 중심으로 학습하게 된다.
3) 프로세스 : Program 중에서 CPU에서 실행될 수 있는 상태 또는 직접 CPU에서 실행되는 상 태의 모든 Program을 말한다.
4) 주변장치 : 입력과 출력 장치를 말한다.
5) 파일 : 사용자가 스스로 또는 system 내에서 자동으로 만들어내는 하나의 이름을 지닌 자 원을 말한다. 논리적인 무형의 형태이다.
라. 운영체제의 설계 목표
1) 처리량(Throughtput)의 향상 : 처리량 : 단위시간당 처리하는 일의 양
2) 경과 시간(TAT : turn-around time)의 단축 : 경과 시간 : 작업의 제출부터 작업의 종료까지의 시간
TAT = Waiting time CPU time
3) 빠른 응답 시간 (fast response time)
4) 신뢰성(reliability) 향상
신뢰성 : 시스템이 멈추지 않고 계속적으로 동작하는 것
user가 접근 가능한 부분과 접근 불가능한 부분으로 구분, 연산이 틀림없이 제대로 하는 것
5) 사용 가능성(availability)
6) 폭넓은 이식성(portability) : 이식성 : 다른 하드웨어에서도 잘 동작하는 가에 관한 문제, 고급언어를 사용하여 해결
마. 운영체제의 구성
1) 제어프로그램 : 시스템 전체의 동작 상태를 감시, 감독하고 자원들을 관리하며 각종 입출력 장치를 제어, CPU 스케쥴링과 작업 관리, 기억 장치 관리 등을 담당한다.
가) 감시 프로그램(Supervisor Program) : 처리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과 시스템 전체의 동작 상태를 감시
나)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Data Management program) : 주기억 장치와 보조 기억 장치 사이의 자료 전송이나 보조 기억 장치에 저장되 어 있는 자료의 갱신과 유지 담당
다) 작업 관리 프로그램(Job Management program) : 다음에 실행할 작업을 선택하거나 작업의 시작, 종료, 실행, 일시 정지 등과 같 이 운영체제의 작업 스케쥴러 역할 및 입출력 장치의 배당을 담당하는 프로그램
2) 처리 프로그램
가) 언어번역 프로그램(Language Translator) : 어셈블러(assembler), 컴파일러(compiler), 인터프리터(interpreter)등
나) 서비스 프로그램(Service Program) : 파일복사, 텍스트 편집, 데이터 정렬, 병합, 프린터 조작등의 유틸리티 프로그램 과 같이 제어 프로그램을 보조해 주는 프로그램
다) 문제 프로그램(Problem Program) : 사용자가 자신의 문제 해결을 위해 작성한 프로그램
바. 프로그램 작성에서 실행까지의 순서
Flow chart - Coding - Macro Processor - Language Translator - Object 생성 - Linker - Loader - Execute
추천자료
교육과정의 운영체제
운영체제의 개념과 그 이해
운영체제란?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의 운영체제
[운영체제] 운영체제론 용어정리
운영체제 용어정리
[기술기반][ECC기술][ERP기술][XML기술][무선랜기술][SecureOS기술]ECC기술기반제품, ERP(전...
학교교육과정의 의미, 학교교육과정의 특성, 학교교육과정의 편성운영체제, 학교교육과정의 ...
SCSI(스카시)와 BUS, SCSI(스카시)의 개념, SCSI(스카시)의 등장 배경, SCSI(스카시)의 장점,...
[일본항공, 일본항공산업, 항공산업, 민영화, 노사관계]일본항공(일본항공산업)의 변천과정, ...
지방정부의 BSC(Balanced Score Card) 운영체제 및 BSC의 실무적 체계와 운영상의 이슈
[컴퓨터의 이해 공통] 1. 스마트 폰에 대하여 현재를 기준으로 아래의 사항을 A4 용지 2페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