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학특강]삼국시대 한문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문학특강]삼국시대 한문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삼국시대 한문학의 등장과 그 구실
⑴ 한자의 수용과 활용
⑵ 나라의 위업을 알리는 문학
⑶ 국내외 정치 문서
2. 한문학의 발달과 전개

3. 각 국의 한문학
⑴ 고구려의 한문학
⑵ 백제의 한문학
⑶ 신라의 한문학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 또 한문학의 전래와 함께 당나라에 많은 유학생을 보내어 새로운 지식과 문화를 받아들이는 데 힘썼다. 그리하여 이름이 전하는 한문학자로서는 태종무열왕 때의 강수를 비롯하여 제문, 수진, 양도, 풍훈, 골번 등이 있고, 신라 《국사》를 수찬한 거칠부 등은 그 사적은 없어졌으나 영원히 이름을 기억할 만한 사람들이다.
◎ 삼국사기; 선덕여왕 - 치당태평송(致唐太平頌)
大唐開洪業 (대당개홍업) 대당(大唐)이 큰 업을 열었으니
巍巍皇猷昌 (외외황유창) 높은 황제의 운이 창성하다.
止戈戎衣定 (지과융의정) 갑옷 입고 천하를 통일하니 전쟁이 그쳤고
修文繼百王 (수문계백왕) 글을 닦아 여러 임금들이 대를 이으셨다.
統天崇雨施 (통천숭우시) 하늘의 명을 이어 자비를 베풀고
理物體含章 (리물체함장) 만물을 다스리니 그 아름다운 덕을 본받으리라.
深仁諧日月 (심인해일월) 그 인덕(仁德)은 일월(日月)에 부합하고
撫運邁時康 (무운호시강) 세상을 어루만지는 덕은 때맞추어 평화롭게 하셨다.
幡旗何赫赫 (번기하혁혁) 그 깃발 빛나며
鉦鼓旣 (정고하굉굉) 북소리 크게 울리자
外夷違命者 (외이위명자) 외방의 오랑캐로서 명을 어기는 자는
剪覆被天殃 (전복피천앙) 천벌을 받아서 멸망하고 말리라.
淳風凝幽顯 (순풍응유현) 순후한 풍속이 유계와 현계에 엉기고
遐邇競呈祥 (하이경정상) 먼 곳이나 가까운 곳이 모두 상서로운 일 아뢰어오네.
四時和玉燭 (사시화옥촉) 사계절마다 임금의 덕이 조화되고
七曜巡萬方 (칠요순만방) 해와 달과 별들은 온 나라 두루 도네.
維嶽降宰輔 (유악강재보) 산악의 정기가 보필할 재상을 낳으시어
維帝任忠良 (유제임충량) 충성스럽고 선량한 이에게 정사를 맡기셨네.
五三成一德 (오삼성일덕) 삼황오제처럼 한결같은 덕을 이루셨으니
昭我唐家皇"(소아당가황) 우리 당나라 황실의 국운이 밝고 밝도다.
신라 진덕여왕(재위 647-654)이 650년(진덕여왕 4년)에 법민(法敏)을 시켜 당나라 태종(太宗)에게 지어 보냈다는 한문 오언시(五言詩). 이 시는 사대(事大)의 예의를 갖추어 당나라의 환심을 사기 위한 아첨문학(阿諂文學)의 효시(嚆矢)이기는 하나 신라 외교술의 문학적 표현이라 할 수 있다. 그 시풍(詩風)은 비록 한문이지만 아름답고 풍치가 깃들여 신라 한문학의 수준이 높았음을 짐작할 수 있는데 <삼국사기>와 중국의 <전당시(全唐詩)>에 수록되어 있다.
이 작품은 가장 이른 시기의 오언으로 된 장편 고시로, 『백운소설』 등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당시 우리나라 한시의 높은 수준을 알려 준다. 그러나 외교적인 목적 때문이었다고는 하지만, 지나치게 자신을 낮추고 당을 높인 것은 또한 커다란 결점이 아닐 수 없다. 다만, 당시 신라의 정황을 살펴보면 선덕여왕이 왜 이런 시를 써야만 했는지를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신라는 고구려 백제라는 두 강적으로부터 대항하여 국가의 힘을 키워야만 했으며, 그러기 위해서는 당나라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했다. 이 글은 겉으로 보기에는 당나라를 지나치게 찬양하는 굴욕적인 외교문서처럼 보이지만, 후에 신라가 당나라의 도움을 받아 삼국통일을 이룩했다는 점에서 실리를 추구한 외교문서로서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식과 문학적 과장을 사용하여 외교문서로서의 기능을 제하고서도 문학으로 성장할 수 있는 자양분으로서의 문학적 가치를 지니는 글이라 할 수 있다.
Ⅲ. 결 론
지금까지 삼국시대 한문학 특징과 그 구실, 발달, 전개와 특징 그리고 각 국의 한문학의 특징과 작품들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았다.
삼국시대 한문학은 삼국 초기 때에 지배체제의 확립과 효율적인 운용을 위해 필요시 되었던 한문이 정착·사용되어 국가와 군주들의 업적을 알리는 금석문의 형태로 발달하였으며, 타 국과의 외교문서 형태로도 다수의 작품이 남아 있다. 본론에서 살펴보았던 삼국시대 각 국의 한문학 작품을 통해 초기 한문학은 개인의 정서와 감정을 표현하는 서정적이고 개인적인 작품보다는 국가의 공식적인 문서를 기록하는 형태가 주를 이뤘음을 알 수 있었다.
Ⅳ. 참고문헌
위키문헌: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삼국시대 문학의 특성
개인블로그-삼국시대 문학
: http://blog.naver.com/whitego?Redirect=Log&logNo=40013917408
민족문학사연구소. [새 민족문학사 강좌1]. 창비,2009년
한국고전번역원 http://www.itkc.or.kr/
국사편찬위원회(1998), 한국사 8, 삼국의 문화, 탐구당문화사
네이버 백과사전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5.20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76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