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배변요구
(1) 배변되는 과정
(2) 배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장배설 장애의 종류와 원인 (4) 변의 특성
2. 관장이란
(1) 관장의 종류
(2) 관장 용액
(3) 하제 및 완하제 사용 및 종류와 특성
(4) 관장 수행
3 참고 문헌
(1) 배변되는 과정
(2) 배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장배설 장애의 종류와 원인 (4) 변의 특성
2. 관장이란
(1) 관장의 종류
(2) 관장 용액
(3) 하제 및 완하제 사용 및 종류와 특성
(4) 관장 수행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육시켜야 한다.
▶ 하제 및 완하제의 종류 및 특성
하제와 완화제는 구강용과 좌약형태로 되어있다.
① 자극성 하제
ㆍ작용및 주의 점- 점막에 국소적인 자극을 일으키고 대장 내에서의 수분의 재흡수를 억제한다.
- 장의 자극은 장운동을 증가시킨다.
- 주로 진단적 검사를 위해 장 준비를 할 때 사용한다.
- 심한 장 경련이 있을 수 있다.
- 만성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수분 전해질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된다.
- 임신과 수유 시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ㆍ종류 : 피마자유, 페놀프탈린, 둘코락스 등이 있다.
② 부피형성하제
ㆍ작용 및 주의 점 - 과일, 야채, 씨앗 등 소화가 안되는 부분으로 만들어진 친수성 콜로이드로 대장 내에 젤을 형성하고 장을 팽창시켜 연동운동을 촉진한다.
- 셀룰로즈와 다당류로 이루어지며, 자극이 가장 약하고 가장 안정적이다.
- 임신, 저섬유식이 등 만성변비의 경우에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 물과 혼합하였을 때 즉시 마시지 않으면 응고되고 만다.
- 부피형성하제를 복용할 때는 약물이 굳어지는 것과 장 폐쇄를 예방하기 위해 적 어도 240ml가량의 수분을 마시도록 한다.
ㆍ종류 : 메틸셀룰로즈, 서양 자두가루 및 차전자가 있다.
③ 식염하제
ㆍ작용 및 주의점 - 장에서 흡수되지 않는 비 흡수성 염분제제를 함유한다.
- 삼투작용을 발휘하여 분변내로 수분을 흡수한다.
- 삼투작용은 윤활작용이 있고 장 내용물의 부피를 증가한다.
- 내시경 검사나 급성변비 등 장을 급히 비워야 할 경우에 사용하며 장기간 사용하 지 않는다.
- 신기능 손상 환자는 Mg의 독작용 증진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다.
- 인산나트륨은 수분제한이 있는 대상자에게는 사용하지 않는다.
ㆍ종류 : 수산화마그네슘과 인산나트륨이 있다.
④ 습윤 제제
ㆍ작용 및 주의점 - 변의 표면장력을 낮추는 청정제로 수분과 지방이 스며들게 한다.
- 이러한 약들은 장에서의 수분흡수를 억제하여 대변의 덩어리를 크고 부드럽게 한 다.
- 치질, 항문주위 수술, 임신, 심근경색 회복기 등 배변 시 긴장으로부터 대상자를 보호하고자 할 때 효과적이다.
- 만성변비 치료에는 효과가 적다.
ㆍ종류 : 설포호박산디옥틸소듐과 글리세린 좌약이 있다.
⑤ 윤활제
ㆍ작용 및 주의점 - 변을 부드럽게 하여 배변 시 긴장을 완화시키며 통증이 있는 치질환자에게 특히 유익하다.
- 정규적으로 사용하면 지용성비타민 A,D,E,K의 흡수를 방해한다.
- 흡입되면 폐렴을 유발시킬 위험이 있다.
ㆍ종류 : 광물성유가 있다.
(4) 관장 수행
간호사는 상업적으로 준비된 1회용기구나 다시 사용할 수 있는 기구로 관장을 실시한다. 장은 정상적으로 세균을 함유하므로 무균법을 요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분변내의 미생물의 전파를 예방하기위해 장갑을 끼어야 한다. 우선 간호사는 배변전에 용액을 보유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불편감의 예방책, 적절한 체위 등의 시술과정을 대상자에게 설명 하여야 한다. 관장의 과잉주입은 심한 수분 및 전해질 고갈을 야기시키므로 주의한다.
3. 참고 문헌
ㆍ http://blog.naver.com/qskyq22?Redirect=Log&logNo=40024028533
ㆍ 손영희 외 다수 공저 : “기본간호학”, 현문사, 1997.1, p.742-743
ㆍ Sigma Theta Tau Lambda 외 편 :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현문사, 1999.1, p.658-659
ㆍ기본간호학Ⅱ(p689~718)
ㆍ기본간호학 -1992년 발행
-저자 : 홍근표 외
-(p 341)
ㆍ기본간호학 - 1990년 발행
-저자 : 김정자 외
-(p313~324)
ㆍ기본간호학 - 1988년 발행
- 저자 : 김순자 외
-(p 304~315)
▶ 하제 및 완하제의 종류 및 특성
하제와 완화제는 구강용과 좌약형태로 되어있다.
① 자극성 하제
ㆍ작용및 주의 점- 점막에 국소적인 자극을 일으키고 대장 내에서의 수분의 재흡수를 억제한다.
- 장의 자극은 장운동을 증가시킨다.
- 주로 진단적 검사를 위해 장 준비를 할 때 사용한다.
- 심한 장 경련이 있을 수 있다.
- 만성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수분 전해질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된다.
- 임신과 수유 시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ㆍ종류 : 피마자유, 페놀프탈린, 둘코락스 등이 있다.
② 부피형성하제
ㆍ작용 및 주의 점 - 과일, 야채, 씨앗 등 소화가 안되는 부분으로 만들어진 친수성 콜로이드로 대장 내에 젤을 형성하고 장을 팽창시켜 연동운동을 촉진한다.
- 셀룰로즈와 다당류로 이루어지며, 자극이 가장 약하고 가장 안정적이다.
- 임신, 저섬유식이 등 만성변비의 경우에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 물과 혼합하였을 때 즉시 마시지 않으면 응고되고 만다.
- 부피형성하제를 복용할 때는 약물이 굳어지는 것과 장 폐쇄를 예방하기 위해 적 어도 240ml가량의 수분을 마시도록 한다.
ㆍ종류 : 메틸셀룰로즈, 서양 자두가루 및 차전자가 있다.
③ 식염하제
ㆍ작용 및 주의점 - 장에서 흡수되지 않는 비 흡수성 염분제제를 함유한다.
- 삼투작용을 발휘하여 분변내로 수분을 흡수한다.
- 삼투작용은 윤활작용이 있고 장 내용물의 부피를 증가한다.
- 내시경 검사나 급성변비 등 장을 급히 비워야 할 경우에 사용하며 장기간 사용하 지 않는다.
- 신기능 손상 환자는 Mg의 독작용 증진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다.
- 인산나트륨은 수분제한이 있는 대상자에게는 사용하지 않는다.
ㆍ종류 : 수산화마그네슘과 인산나트륨이 있다.
④ 습윤 제제
ㆍ작용 및 주의점 - 변의 표면장력을 낮추는 청정제로 수분과 지방이 스며들게 한다.
- 이러한 약들은 장에서의 수분흡수를 억제하여 대변의 덩어리를 크고 부드럽게 한 다.
- 치질, 항문주위 수술, 임신, 심근경색 회복기 등 배변 시 긴장으로부터 대상자를 보호하고자 할 때 효과적이다.
- 만성변비 치료에는 효과가 적다.
ㆍ종류 : 설포호박산디옥틸소듐과 글리세린 좌약이 있다.
⑤ 윤활제
ㆍ작용 및 주의점 - 변을 부드럽게 하여 배변 시 긴장을 완화시키며 통증이 있는 치질환자에게 특히 유익하다.
- 정규적으로 사용하면 지용성비타민 A,D,E,K의 흡수를 방해한다.
- 흡입되면 폐렴을 유발시킬 위험이 있다.
ㆍ종류 : 광물성유가 있다.
(4) 관장 수행
간호사는 상업적으로 준비된 1회용기구나 다시 사용할 수 있는 기구로 관장을 실시한다. 장은 정상적으로 세균을 함유하므로 무균법을 요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분변내의 미생물의 전파를 예방하기위해 장갑을 끼어야 한다. 우선 간호사는 배변전에 용액을 보유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불편감의 예방책, 적절한 체위 등의 시술과정을 대상자에게 설명 하여야 한다. 관장의 과잉주입은 심한 수분 및 전해질 고갈을 야기시키므로 주의한다.
3. 참고 문헌
ㆍ http://blog.naver.com/qskyq22?Redirect=Log&logNo=40024028533
ㆍ 손영희 외 다수 공저 : “기본간호학”, 현문사, 1997.1, p.742-743
ㆍ Sigma Theta Tau Lambda 외 편 :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현문사, 1999.1, p.658-659
ㆍ기본간호학Ⅱ(p689~718)
ㆍ기본간호학 -1992년 발행
-저자 : 홍근표 외
-(p 341)
ㆍ기본간호학 - 1990년 발행
-저자 : 김정자 외
-(p313~324)
ㆍ기본간호학 - 1988년 발행
- 저자 : 김순자 외
-(p 304~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