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읽기 독후감] ‘도덕경’ _ 노자 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읽기 독후감] ‘도덕경’ _ 노자 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신비스러움을 느낄 수가 있었다.
“道可道 非常道 名可名 非常名
無名天地之始 有名萬物之母
故常無欲 而觀其妙 常有欲 而觀其
此兩者 同出而異名 同謂之玄 玄之又玄 衆妙之門”
“도가도 비상도 명가명 비상명
무명천지지시 유명만물지모
고상무욕 이관기묘 상유욕 이관기요.
차양자동 출이이명 동위지현 현지우현 중묘지문”
이라고 하였는데, 문장의 두가지 해석이 있는데 먼저 이경숙의 해석은
“도를 도라고 해도 좋겠지만, 꼭 도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
이름으로 이름을 삼을 수는 있지만, 꼭 그 이름이라야 하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이름을 붙이기 전에는 천지의 시작이니 따질 수 없고, 이름을 붙이면 만물의 모태로서 모습을 드러내는 것이니 이름을 붙이기 전에는 묘함을 보아야 하지만, 이름을 붙인 후에야 그것의 요를 파악할 수 있느니라
이 두 가지는 똑 같은 것인데 다르게 보이는 것은 그 이름뿐이니 검기는 마찬가지여서 이것도 검고 저것도 검은 것이니 도는 모든 묘함이 나오는 문이니라.”
이 뜻의 해석이 무언가 신비스러우면서 여유가 넘치는 구절이었다. 허세와 자만도 없고, 선입견도 없는 노자의 사상을 느낄 수가 있었다. 그리고 두 번째로는 장시기의 해석이 있다.
“길을 길이라고 부르면 이미 생산적 길이 아니다.
이름을 이름으로 부르면 이미 생성적 이름이 아니다.
없음은 천지의 시작이고, 있음은 만물의 어미이다.
욕망 없음은 그 오묘함을 보고 욕망 있음은 그 변두리만을 본다.
이 둘은 같이 나와서 이름만이 다르다.
함께 일컬어 가물 하다고 한다.
가물하고 또 가물하여 모든 오묘함이 나오는 문이다.”
장시기의 해석은 확고하고 자기의 주장을 펼치려는 노자의 모습이 그려진다.
위의 두 사람의 입장에서 해석하는 것이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지금 여러 동양철학자들의 해석은 장시기와 가깝다. 장시기의 해석은 ‘무명 천지지시’에 대한 해석에서 느낄 수 있는 것이 불교의 무에 대한 개념이므로 불교의 무에 개념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경숙의 해석은 동양의 전통적 해석 방법을 따르는 것으로 보인다.
이 1장은 도덕경 전체의 창이다. 이 1장만 알아도 도덕경에서 무엇을 말하고 싶어 하는지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내가 이 책을 완벽히 정독하지도 못하였고, 잘 이해 한 것도 아니지만 조금은 노자의 사상에 한발 더 다가 선 것 같고, 노자와 도덕경에 대해 자세히 찾아 볼 수 잇었던 것이 나에게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5.24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87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