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치료] 강직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물리치료] 강직에 대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강직의 용어에 대한 역사
2. 강직의 용어 사용
3. 강직의 역학
4. 강직의 정의
5. 강직의 기전
6. 강직의 긍정적 특징과 부정적 특징
7. 강직에 대한 평가
8. 강직의 치료
Ⅲ. 결 론

본문내용

공한다. 또 다른 예는, 환자의 아래팔 기능을 증진시키기 위해 초기에 회외운동을 강조하는 손 조작을 행하고, 잘 수행할 때에는 공을 이용하여 양손으로 공을 잡고 회외와 회내운동을 수행하도록 반복한다. 그 후 잘 수행할 때에는 책장을 넘기는 것과 같은 동작을 학습시킴으로써 아래팔 기능을 회복시킨다.
2) 연부조직 적응의 예방
여러 연구들에서 연부조직의 구축을 예방함으로 강직(spasticity)이 감소된다고 보고하고 있다(Ada와 Canning; Carr와 Shepherd, 1987; Perry 등, 1980). perry 등(1980)은 신전에 대한 강직(spasticity)반응이 진단적 표시로 남아있는지, 기능을 방해하는 지는 현재 존재하는 구축의 정도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고 보고하였다.
연부조직의 뻣뻣함을 증가시키고, 구축을 일으키는 부동은 뇌손상의 주요한 결과이다. 뇌졸중환자는 의자에서 비교적 움직임 없이 비활동적으로 오랜 시간을 보내고 심한 뇌손상 후 의식불명으로 오랫동안 움직이지 않게 된다. 뇌성마비 아동은 움직일 수 없지만 약간의 제한된 방법으로 눕거나 앉아서 버틸 수 있다. 그러므로 연부보직의 길이는 능동적인 방법으로, 때로는 수동적인 방법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특별한 과제에 필요한 근육의 길이를 활성화시키고 조절하는 것이 연구에 포함되어야 한다. 환자가 의식불명이거나 마비될 경우 근육 길이를 신장시킬 수 있는 부목 사용을 포함하는 자세 프로그램이나 예방적인 casting에 의해 유지되어져야 할 것이다(Ada와 Canning, 1980).
심한 구축이 이미 발생한 경우 근육이 신장된 상태로 자세를 취하는 기간이 필수적이다. 손을 이용한 수동적 신장은 시간적으로 너무 짧아서 효과적이지 못하다. Serial casting은 종아리 근육의 길이를 유지하고 늘이는데 효과적이고, 환자가 의식불명이고 지시를 이해할 수 없을 때에는 예방적 목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또한 standing frame이나 치료사에 의해 환자를 기립시키는 방법도 매우 효과적일 것이다. 환자를 초기에 기립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매우 많다.
표 1-4 조기 기립의 유익한 효과
1. 하지의 관절구축을 예방하고, 관절구축으로 인해 발생될 고통과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
2. 하지에서 발생된 강직(spasticity)의 확실한 감소를 보인다.
3. 기립자세에서 여러 방향으로 움직여 줌으로써 신경계의 비정상적인 긴장을 줄여 줄 수 있고 정상적인 고유감각을 줄 수 있다.
4. 하지와 척주의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 위험을 감소시킨다.
5. 운동수행 능력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다른 과제 수행도 향상된다.
6. 무의식 환자의 경우, 의식회복을 촉진시킨다.
7. 의식회복 후 서기와 걷기에 대한 두려움을 줄인다.
8. 혈액순환을 증진시키고 욕창을 예방한다.
9. 방광기능을 증진시킨다.
Ⅲ. 결 론
강직(spasticity)은 상위운동 신경원 질환의 한 요소로서 근방추 신전 반사의 항진으로 인하여 근육의 긴장도가 속도에 비례하여 증가된 현상을 말한다. 강직(spasticity)은 항중력근육(antigravity muscle)-팔에서는 굴근, 다리에서는 신근-의 긴장도가 증가하여 팔은 굽혀져 있는 상태에 있고 잘 펴지지가 않으며 다리는 펴져 있고 잘 굽혀지지 않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실제로 강직(spasticity)현상은 피질척수로만이 선택적으로 손상된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는다고 밝혀져 있으며, 내섬유막(internal capsule)과 같이 대뇌피질에서 내려가는 여러 신경로가 손상된 경우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재활치료를 받게 되는 뇌성마비, 척수손상, 뇌졸중 및 뇌손상 등 많은 환자에서 근약화와 함께 강직(spasticity)이 흔히 동반되는데 강직(spasticity)은 마비된 신체부위의 근위축과 골조송증을 방지하고 기립위 자세의 유지와 배뇨를 돕는 등 긍정적 역할을 하기도 하나 많은 경우 관절의 구축과 자세의 이상을 초래하여 보행 및 일상생활동작 수행에 어려움을 야기시킨다.
근육 약화와 섬세한 운동(기민성)의 상실은 환자에게 근긴장도의 변화보다 더 심한 장애를 가져온다. 강직(spasticity)의 신경학적 요소와 역학적 요소에 대해 연구하고 임상치료의 관점에서 최근의 연구로부터의 결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는 강직(spasticity)을 가진 환자에게 수동운동시의 저항은 신경학적 기전뿐 아니라 근육의 역학적 특성의 변화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강직(spasticity)에 기초한 기전이 더욱더 이해되어지면서 임상에서의 강직(spasticity)은 물리치료사와 신경과학자의 관심사인데, 이는 운동조절의 장애, 근육 길이와 관련된 변화에 대한 발현으로 간주한다. 만약 연부조직의 길이가 유지되고, 운동 치료가 불필요한 근육의 힘을 제거하고 특별한 운동행동과 같은 근육공동작용을 훈련하는 것이 강조되면 강직(spasticity)의 진행은 덜 심해질 것이다.
참 고 문 헌
1. 김연희, 김형일: 경직성 상지기능장애에 대한 선택적 척수신경 후궁절제 술의 치료효과, 대한재활의학회지, 1993, 4:540-547.
2. 김종만, 이충휘: 신경계물리치료학, 서울;정담, 1997.
3. 김현동, 박인선, 송양주: 정상인과 경직성 편마비 환자에서 내외측 비복 근의 건반사 반응 전위비교,대한재활의학회지 , 1998, 22:1173-1178.
4. 이원택, 박경아: 의학신경해부학, 서울;고려의학, 1996.
5. 전포성, 김기한, 정호중: 경직완화를 위한 페놀용액을 이용한 신경 및 운 동점 차단술에 대한 임상적 고찰,대한재활의학회지 , 1996, 20:1049- 1053.
6. Anthony J. Castro, Michael P. Merchut, E.J. Neafsey and Robert D. Wurster: Neuroscience, St. Louis, Mosby, 1996.
7. Robert W. Teasell and John D. Heitzner: The painful hemiplegic shoulder,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1998, OCT 12:3, 492-495
  • 가격2,8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3.07.04
  • 저작시기2013.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53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