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윤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환경 윤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환경 윤리의 필요성
1. 환경 윤리의 출발
(1) 등장 배경
(2) 환경권

2. 환경 위기의 인식
(1) 환경 운동 단체
(2) 환경 문제

Ⅱ. 환경 윤리 이론
1. 인간 중심주의 환경윤리
(1)인간중심적 생태윤리학
2. 생명 중심주의
(1)생명윤리
(2)알베르트 슈바이쩌의 생명경외 윤리
(3)폴 테일러의 생물 중심적 환경윤리
(4)결론
3. 생태 중심주의
(1)근본 생태주의
(2)생태 중심주의
4. 생각해 볼 문제

본문내용

좋은 것을 추구하는 살아있는 생명체로서 다른 존재에게 침해당할 수 없는 내재적 가치를 지닌다고 한다. 이에 인간이 하늘의 공기와 바다, 강을 맑고 깨끗하게 유지해야 하는 이유는 그곳에 서식하고 있는 온갖 생명체를 목적으로 대우하기 위함이다. 물론 이때에도 도덕적 대우를 받을 자격을 갖춘 존재는 하늘의 공기나 바다, 강, 흙 등이 아니다. 왜냐하면 그런 것은 살아있는 생명체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테일러의 생물중심주의는 생명 존중론이면서 동시에 환경론이다.
(4)결론
최종적으로 새로운 자연 친화적 문명 패러다임은 자연을 자원으로만 보지 않고, 생명 에너지가 분출하는 생명의 원천(source of life)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환경 보전을 위한 어떤 시도도 그것은 생명의 원천을 보호하고 거기에서 나오는 생명 에너지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보다 엄격하게 미세 조절을 시도할 경우, 환경론은 개체 생명 보전론과 같지 않으며 또한 전일 생명 보전론과 동일한 것도 아니다. 좀 더 정확히 하면, 환경 보전은 생명의 원천과 그곳에서 나오는 생명 에너지 흐름을 존중하는, 즉 생기 흐름을 존중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라면, 즉 유기적 전체론으로서 유기중심주의에서라면 환경 운동은 생명 운동이다.
3. 생태 중심주의
(1)근본생태주의
생태학이 한 차원 더욱 깊은 단계로 진입한 것이 바로 심층생태학 또는 근본생태주의(deep ecology)이다. 근본생태주의는 1970년대까지 거의 유일한 이론으로 당연시 되어 오던 환경관리주의 또는 환경개량주의가 궁극적으로 인간 중심적 세계관에 의거한 '천박한 환경주의'라는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이들에 따르면 환경 개량주의도 단기적으로는 중요하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에는 자연 안에서 인간의 위치에 대한 이해에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야한다는 것이다. 즉 인간은 '자연 안에' 있는 존재로서, 자연과정에 인위적인 간섭을 하지 않고 내버려두는 것이 도리어 자연을 해치지 않는 길임을 깨달을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근본생태주의자들은 과학혁명이 후 지속 되어온 기계론적 패러다임과 서구문명의 바탕이 되는 인간 중심주의를 전복하고, 다음과 같은 생태학적 명제에 따라 사는 대안적 삶의 방식을 채택 한다.
첫째, 모든 것은 다른 것과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자연의 생태계가 개별적인 유기체의 진화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변화무쌍하며, 매우 탄력적 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생태학의 기초적 진리는 만물의 상호 연관성인 것이다.
둘째, 모든 것은 틀림없이 어디론가 간다. 그러나 자연계에서 최종적으로 사라지는 것은 없다. 이것은 열역학의 기본법칙을 표현한 것으로, 물질과 에너지는 상호변화하면서 순환하지만, 전체에너지의 총량은 같다는 에너지 보존의 법칙을 말한다.
셋째, 자연이 가장 잘 안다. 따라서 인간이 자연계에 어떤 중대한 변화를 가하면 생태계가 위협받게 된다. 이를테면 50억년동안 진화하면서 순환해온 자연계에 인간이 석유 화학 산업의 산물들을 갑자기 쏟아놓은 결과, 이것이 생태계의 재순환을 방해하고 각종 돌변변이와 암 등, 자연의 죽음을 초래하게 된 것이다.
넷째, 무에서 창조 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이것은 자연을 착취하면 그만큼 생태계의 파괴라는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바로 열역학 제2 법칙, 곧 엔트로피의 법칙을 의미하는 이 명제는 인간이야말로 생태계 안에서 자신이 생산하는 것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존재이며, 또한 더 이상 재활용 될 수 없는 형태로 에너지를 고갈시켜버리는 '약탈자'인 것을 깨우쳐준다.
근본생태주의는 이러한 생태학적명제들을 수용하기 때문에 현대 물리학이나 동양종교, 또는 신비주의 전통과 많은 교류를 나누고 있다. 그러한 대화를 통해 얻은 "중심통찰(central intuition)은 인간과 다른 피조물사이에 절대적인 구분이 없다"는 것, 곧 생물 중심적 평등주의인 것이다.
(2)생태중심주의
1) 생태중심주의 란?
생태중심주의 또는 생태주의는, 자연의 존재 의의가 결코 인간에 달려있지 않고 자연 스스로도 존재 가능한 완전성을 갖는다고 인정하며,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에 있어서 인간의 자연에 대한 지배와 착취의 관계가 자연과 인간과의 조화와 겸양의 관계로 대체되어야 함을 강조하는 시각이다. 이것을 생물평등주의에 기초해서 지구 생태계 전체를 하나의 유기체로보면 그 거대한 유기체의 이름은 ‘가이아’또는 ‘글로벌 라이프(우주적 생명)’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가이아’ 또는 ‘우주적 생명’ 안에서 영위되는 인간의 경제활동은 흔히 암세포에 비유된다. 이 세포는 자기 위치를 잃어버리고 증식과 이주를 계속해서 가이아를, 우주적 생명을 죽음으로 몰아넣고 있다.
2) 생태중심주의 의 종류?
-과학적 생태중심주의 : 이와 같이 생태학의 이론에 입각해서 자연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려고 하는 것이 과학적 생태중심주의인데 이 것이 전달하려는 핵심적 요지는 자연에 대해서 인간이 저지른 잘못은 결국 인간에 대한 피해로 되돌아온다는 것이다. 그것은 자연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통해서 분명히 알 수 있으며, 따라서 우리 인간은 자연에 대한 일방적인 지배 대신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비과학적 생태중심주의 : 낭만주의에 입각한 비과학적 생태중심주의가 전달하려는 핵심적인 요지는 자연은 그 나름대로의 독자적 존재의의를 가지기 때문에 자연을 자연 그 자체로서 존경해야 하며, 자연에 대한 주관적 이해는 우리 인간에게 영적 희열을 베풀어주고 우리 인간을 고상하게 만들어 준다는 것이다.
4. 생각해 볼 문제
-새만금 간척사업은 지속가능한 개발의 모형인가, 아니면 자연에 대한 지나친 훼손인가?
-자연이 자정능력을 가지고 있다면 인간은 자연을 훼손해도 좋은가? 아니면 인간의 자연에 대한 훼손이 정당화 될 수 있는 기준과 한계는 무엇인가?
-환경보호를 위해 시민 불복종 행위를 하는 것은 정당한가? 정당화된다면, 언제 어떤 일이 왜 정당화되는가? 오래된 숲의 벌목을 막이 위해 쇠못을 나무에 끼어놓아도 되는가?
-자연환경의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술개발과 적용이 필연적이라는 주장에 대하여 어떤 입장을 가지고 있는가?
  • 가격1,6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7.15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05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