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복지사상, 불교사회복지사상]불교복지사상(불교사회복지사상)의 의미, 종류, 불교복지사상(불교사회복지사상)의 연구경향, 불교복지사상(불교사회복지사상)의 자선관, 불교복지사상(불교사회복지사상) 실천방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불교복지사상, 불교사회복지사상]불교복지사상(불교사회복지사상)의 의미, 종류, 불교복지사상(불교사회복지사상)의 연구경향, 불교복지사상(불교사회복지사상)의 자선관, 불교복지사상(불교사회복지사상) 실천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불교복지사상(불교사회복지사상)의 의미

Ⅲ. 불교복지사상(불교사회복지사상)의 종류
1. 자비사상(慈悲思想)
2. 보시사상(布施思想)
3. 복전사상(福田思想)
4. 보은사상(報恩思想)

Ⅳ. 불교복지사상(불교사회복지사상)의 연구경향

Ⅴ. 불교복지사상(불교사회복지사상)의 자선관

Ⅵ. 불교복지사상(불교사회복지사상)의 실천방법

Ⅶ.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함께 느낌’을 통해 타인을 수용함으로써 타인의 상황을 자기 상황이 되게 하고 타인으로 하여금 자기 자신이 되게 해보는 것이다.
페미니즘에서 말하는 보살핌(Care)의 윤리는 기존의 이성이나 추상적 도덕원리를 중심으로 하는 칸트의 도덕이론에 대한 비판으로 등장하여 도덕에 있어서 이성의 역할을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정서의 역할을 중시한다. 그것은 상황이나 인간의 관계성에 민감한 보살핌을 윤리의 핵심으로 한다.
자비사상을 인간의 세계에 한정시킨다면, 자신과 타인에게 이롭지 않은 것과 괴로움을 제거하려는 의도와 행동, 그리고 자신과 타인에게 이로운 것과 행복을 가져오려는 의도와 행동이라고 자비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정의에는 행동적인 면뿐만 아니라 내적인 의도라는 자비의 측면도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다.
자비를 실천하는 사람은 자비스런 품성을 기르는 것이나 한량없는 자비의 마음(Aparima Mnas)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초기 불교에서 자비의 의도는 자비를 베푸는 대상과 직접 관련을 맺지 않고도 마음 상태로서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초기 불교의 경전에서는 특히 한 순간도 방일하지 않고 자비의 마음 상태를 항상 지닐 것을 강조하고 있다. 자비스런 마음은 어떠한 행동을 하든지 간에 마음의 상태로서 간직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자비가 인간에게 요구되는 이유는 苦의 존재에 대한 인식, 나의 존재와 타존재와의 연관성에서 찾을 수 있다.
자비를 펼치려면 몸(행동)언어생각의 영역에서 절제를 기본으로 요구하며 이 세 가지 영역에서의 제어는 탐욕미워함어리석음의 제거를 요구한다. 탐욕과 어리석음이 사라진 상태에서의 자비의 완성은 마음의 해탈(Cettovimutti, 心解脫)과 지혜의 해탈(Pavimutti, 慧解脫)을 이룬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미워함은 자비에 대한 대립으로서 자비의 완성상태에서는 조금도 남아 있을 수 없다.
자비는 올바른 이해라는 지혜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자비의 완성 상태는 慧解脫의 상태와 동일시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불타는 자비와 마음의 해탈을 동일시한다. 자비를 전개하는 데 있어서는 나로부터 나 이외의 타자들 그리고 다른 생명체의 순서를 밟아 확대되며 극단적 이기주의와 극단적 이타주의를 모두 지양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제까지 불교윤리에서의 자비개념에 관해 살펴보았다. 이를 비교윤리적인 관점에서 고찰하기 위해 서구의 일반사회복지에서 제시하는 보살핌(Care)이라는 개념을 소개하고 두 개념 사이에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그 관계성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보살핌이란 자신과 타자에 대한 책임감을 조화시켜 형평성의 원리에 따라 보살핌을 적용하거나 타인을 수용하고 타인에게 몰입하여 타자와 함께 느끼며 보살피는 것이라고 그 개념을 정의한다. 보살피는 과정에서는 보살핌을 받는 자의 상황에 대해 민감하게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여기에서는 정서가 핵심적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살핌의 이론적 토대는 모든 인간에게 타인을 위해 행동하려는 선천적인 충동이 존재한다는 사실과 인간은 필연적으로 관계성을 갖는다는 삶의 본질에 대한 통찰에 기반한다. 따라서 보살핌에 있어서는 모든 인간에게 내재한 보살핌의 정서를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성장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윤리적 자아의 완성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만 가능한데 이것은 곧 보살핌의 완성이라고 할 수 있다.
Ⅶ. 결론 및 제언
불교복지 사상이 지향하는바 근본 이념에 관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인간과 사회의 물질적 구원의 단계를 거쳐 개인적으로는 사회구성원 등의 정신적, 영적, 구원을 도모하고, 이를 통해 평등하고 평화로운 완전한 사회(불국정토)를 그 목표로 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도단양수(道端良秀)는 이 같은 사실을 갈파하고 “불교신앙의 실천내용이 사회사업과 일치한 경우를 불교사회사업이라 하고 그 최대의 책무는 정신적 사회교화에 있다고 보았다. 때문에 불교 사회사업은 불교적 인간상을 완성케 하고 동시에 현실사회를 정토로 만든다.”고 하였으며 양곡천랑신(良谷川良信) 또한 “불교 사회사업은 공적인 사회복지정책이 쉽게 실현할 수 없는 정신적 구제와 인격 및 개성의 교정, 교육, 그리고 개인적, 사회적, 도덕성의 함양, 종교성과 사회성의 훈련 등을 독자적인 특색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대승보살도에 바탕을 둔 직업관을 가지므로 불교사회사업가는 일반사회사업가보다 뛰어난 지도력과 추진력을 가질 수 있다”고 했다.
따라서 불교사회복지활동의 주체인 개인과 관련 기관, 단체는 불평등하거나 불공정한 복지정책과 제도에 대해 연기론적 평등관을 기치로 한 적극적 개선운동에 매진해야 할 것이며 부도덕한 자본가들의 정신교화를 통한 사회경제적 평등운동을 도모해야할 책무가 있다 하겠다. 또한 질곡에 빠진 빈곤자와 소외자들의 물질적, 사회적 구제와 함께 끊임없이 본인이 위대한 불성을 가진 삶의 주인공임을 일깨워 깨달음을 통한 자기구원과, 더 나아가서는 대승보살의 삶을 통해 타인을 구원해가는 사회복지활동 주체로 거듭나게 하는 과정이 바로 불교사회복지 이념을 구현하는(정체성에 입각한) 불교사회복지활동이라고 하겠다.
또한, 정체성에 입각한 불교복지 활동으로, 정부정책이나 사회 제도가 미치지 못하는 소외된 복지대상자를 위한 활동을 통해 불교의 사회적 평등이념을 구현하는 것도 바람직한 방법이다.
이제 양적으로는 급속히 증가 일로에 있는 불교사회복지 활동이 불교사회복지의 근본적 이념에 충실하고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 중심에 서있는 불교복지활동 전문가(불교사회복지사)와 복지기관단체가 스스로 이 사실을 각성하고 노력하여 선도적 복지활동 주체로 거듭나는 모습을 보여야 할 때라고 본다.
참고문헌
- 강남석, 불교사회복지사상에 관한 서설적 연구, 대전대학교, 2000
- 고수현, 불교의 사회복지 사상에 관한 연구, 한국복지행정학회, 2004
- 방귀희, 불교 의 복지사상 에 관한 고찰, 동국대학교, 1984
- 서효덕, 불교사회복지 사상의 현대적 실천방안 연구, 중앙승가대학교, 2007
- 이동출, 불교 복지사상 연구, 동국대학교, 2002
- 이정아, 불교사상에 나타난 사회복지의 개념, 한려대학교, 2007

추천자료

  • 가격7,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3.07.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29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