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불상, 불교, 불상, 불교불상 의미, 불교불상 유형, 불교불상 표현방식, 불교불상 수인]불교불상의 의미, 불교불상의 유형, 불교불상의 표현방식, 불교불상의 수인 분석(불교불상, 불교, 불상, 불교불상 의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불교불상, 불교, 불상, 불교불상 의미, 불교불상 유형, 불교불상 표현방식, 불교불상 수인]불교불상의 의미, 불교불상의 유형, 불교불상의 표현방식, 불교불상의 수인 분석(불교불상, 불교, 불상, 불교불상 의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불교불상의 의미

Ⅲ. 불교불상의 유형
1. 보살상(菩薩像)
1) 대세지보살상(大勢至菩薩像)
2) 관음보살상(觀音菩薩像)
3) 보현보살상(普賢菩薩像)
4) 문수보살상(文殊菩薩像)
5) 십일면관음보살상(十一面觀音菩薩像)
6) 지장보살상(地藏菩薩像)
7) 약왕보살상(藥王菩薩像)
8) 월광보살(月光菩薩)
2. 신장상(伸長像)
1) 팔부중상(八部衆像)
2) 인왕산(仁王山)
3) 사천왕상(四天王像)
4) 제석천상(帝釋天像)
5) 범천상(梵天像)
6) 12신장(十二身將)
3. 그 밖의 불상
1) 나한상(羅漢像)
2) 비천상(飛天像)
3) 가릉빈가상(迦陵頻伽像)

Ⅳ. 불교불상의 표현방식

Ⅴ. 불교불상의 수인
1. 지권인
2. 항마촉지인
3. 여원인과 시무외인
4. 전법륜인(길상인)
5. 법계정인(선정인)
6. 설법인
7. 합장인
8. 연화합장인
9. 금강합장인
10. 금강권인
11. 아미타정인(九品印)

참고문헌

본문내용

미묘한 소리를 낸다고 하여 미음조(美音鳥)묘성조(妙聲鳥)로도 불린다. 삼국시대에 전래되어 기와석조물불구류 등에서 다량으로 조식되고 있는데, 비천과 같이 불의 수호와 공양 역할을 한다.
Ⅳ. 불교불상의 표현방식
불상이 만들어지기 시작하자 불상조성은 불교미술의 중심을 이루면서 활발히 이루어진다. 인도의 간다라(Gandhara)와 마투라(Mathura) 에서 시작된 불상 형식은 불교사상의 발달과 더불어 불교 존상 전체에 걸쳐 매우 복잡하고 독특한 양상을 나타내지만, 불교문화권에서 조성된 불상들은 나름대로 가다듬어지면서 일정한 공통된 원칙이 마련되는데, 이러한 법식을 일러 조상의궤(造像儀軌)라 한다. 그 대표적인 예가 부처님을 표현하는 방법인 32상 80종호이다.
‘32상 80종호’ 란 부처님을 형상화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부처님만이 지닌 독특한 용모 이른바 특징을 일러 말한다. 이러한 부처님 용모의 특징은 경전마다 조금씩 다르며 실제로 불상을 조성할 적에 이 특징이 다 표현되는 것도 아니다. 본래 이러한 특상관이라는 것은 인도의 베다 시대부터 있어온 관상에서 유래한다.
예컨대 부처님의 특징 중의 하나인 육계상은 산스크리트어로 우스나샤(usnisa) 라 하여 ‘머리장식을 붙일 수 있는 머리칼’ 이란 뜻이다. 따라서 출가 성도한 부처님에게 머리장식이란 있을 수 없으니 불상의 모델인 인도의 왕상귀인(王相貴人)의 모습을 빌어 나타내고 있었으며 민상투의 표현이 점차 양식화되면서 끝내는 오히려 큰 상투라는 의미를 잃어버리고 정수리에 상투처럼 산이 솟아올랐다는 육계의 의미로 바뀌게 된 것이다.
이렇게 인도의 특상관(特相觀)이 불교에 수용되어 부처님의 위대함을 신체적 특징에서도 나타내게 된 <32상, 80종호>는 실제면에서 불상 양식의 진전에 의해 내용과 의미가 바뀌면서 끝내는 불상의 특상관으로서 불상 제작에 있어서 어떤 제작을 가하게 되어 불상만이 지니는 독특한 양상을 유지하게 되었다고 하겠다.
Ⅴ. 불교불상의 수인
수인은 손의 형상으로서 그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고, 계인은 지물을 들어 그 상징성을 표현한다. 수인과 계인은 불교 그 자체로 상징한다기보다 불보살의 모습으로 근본서원을 표현한 것이다.
1. 지권인
비로자나불이 취하는 결인이다. 두 손으로 각각 금강권을 만들고, 왼손의 집게손가락을 펴서 바른 주먹 속에 넣고, 바른손의 엄지손가락과 왼손의 집게손가락을 마주 대는 것이다. 이렇게 하는 것은, 오른손은 불계를 표하고 왼손은 중생계를 표한 것이므로 이 결인으로서 중생과 부처가 둘이 아니고, 미와 오가 일체인 깊은 뜻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2. 항마촉지인
왼손은 손바닥을 펴거나 엄지와 중지를 맞닿게 하여 결가부좌한 오른쪽 발위와 배꼽 앞부분에 놓고 오른손은 땅으로 드리우면서 손바닥을 안으로 향하여 다섯 손가락을 펴는 결인이다. 이 수인은 부처님이 보리수 아래서 성도하실 때 마군을 항복시키고 지신(地神)으로 하여금 증명하게 한데서 유래한다.
3. 여원인과 시무외인
여원인은 일체 중생의 소원을 만족시키는 것을 상징하는 수인으로, 한쪽 손의 다섯 손가락을 펴서 밖으로 향하여 아래쪽으로 드리우는 형상이다. 만일 손을 안쪽으로 향하여 드리우면 촉지인이 된다. 다른 한 손의 시무외인은 부처님이 중생들의 두려움을 없애는 수인으로 팔을 들고 다섯 손가락을 펴서 손바닥을 밖으로 향하는 모습이다.
4. 전법륜인(길상인)
설법인의 하나로서 부처님이 손을 들어서 녹야원에서 설법하던 때의 결인으로 두 손의 형상이다.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을 맞대고 왼손 새끼손가락 밑을 바른손의 손가락 맞댄 곳에 가져다 댄 모습이다.
5. 법계정인(선정인)
두 손을 포개어 무릎 위에 얹어 놓되, 두 엄지손가락을 서로 맞대고 오른손을 왼손 위에 올려놓는 인상을 말한다. 부처님께서 선정에 들거나 제자들이 수행 정진할 때 취하는 모습이다.
6. 설법인
설법인은 여러 가지 형태로 표현된다. 그 가운데 하나로 두 손의 등을 맞대어 새끼손가락과 약손가락은 서로 얽고, 왼손의 엄지손가락을 돌려 오른손의 손바닥에 오른손 엄지손가락과 맞댄 인상이다. 만일 손바닥과 손가락이 굳어서 이렇게 할 수 없으면 오른손 새끼손가락과 약손가락을 왼손 새끼손가락과 약손가락에 얹고, 긴 손가락과 집게손가락도 역시 서로 교차하는 것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
7. 합장인
손바닥을 합하여 마음이 한결같음을 나타내는 인도인의 인사법과 유사한데, 보통은 두 손바닥과 열 손가락을 합하는 모양이다.
8. 연화합장인
연화합장인이란 두 손의 열 손가락을 세워서 손가락과 손바닥을 함께 합하는 합장으로, 그 모양이 연꽃의 봉오리를 닮았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마음을 연꽃과 같이 번뇌에 물들지 않게 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법식을 행할 때 처음에는 이러한 결인을 한다.
9. 금강합장인
금강장, 귀명합장이라고도 한다. 12합장의 하나로 열 손가락을 합하여 그 첫마디를 교차하여 세운 것이다. 이것은 행자가 본존에 대하여 공경 공양하며 견고한 신심을 나타내는 결인이다.
10. 금강권인
엄지손가락을 손바닥에 넣고 다른 네 손가락으로 싸쥐는 것으로 금강계 대일여래의 오른손 수인이다. 양부 중에는 금강계에 속하고, 이지 중에는 지를 표하여 금강같이 견고함을 가리킨 것으로 이렇게 이름하였다.
11. 아미타정인(九品印)
미타정인은 아미타불의 수인인데, 좌선자세에서 양손의 검지를 꼬부려 손가락 끝을 붙이되 검지의 등이 서로 맞닿도록 하는 상품상생인을 비롯하여 아홉 가지의 모양이 있다. 이것은 구품인이라 하여 극락정토에 왕생하는 아홉 가지의 차별을 의미하는데, 상품, 중품, 하품을 각각 상, 중, 하 로 세분한 아홉 가지이다.
참고문헌
문명대(1974), 한국불교미술의 특수성과 보편성, 불상조각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백승길(1978), 불상 , 불교미술 의 세계, 공간사
신대현(2010), 불교문화재 설명문, 문제있다 : 불상 1, 대한불교진흥원
이용애(2009), 불상과 불교의식에 나타나는 수인의 비교연구, 동국대학교
이상임(1995), 우리나라 불상의 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최선일(2009), 조선 후기 조각승과 불상양식의 변천, 한국미술사학회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7.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29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