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상조각, 불상조각 종류, 불상조각 특징, 불상조각 자세, 불상조각과 삼국시대, 불상조각과 석굴암, 삼국시대]불상조각의 종류, 불상조각의 특징, 불상조각의 자세, 불상조각과 삼국시대, 불상조각과 석굴암 분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불상조각, 불상조각 종류, 불상조각 특징, 불상조각 자세, 불상조각과 삼국시대, 불상조각과 석굴암, 삼국시대]불상조각의 종류, 불상조각의 특징, 불상조각의 자세, 불상조각과 삼국시대, 불상조각과 석굴암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불상조각의 종류
1. 철불
2. 미륵불
3. 보살상
4. 금동불
5. 마애불

Ⅲ. 불상조각의 특징
1. 비례(比例)
2. 형태(形態)
1) 본존불의 형태는 당당하고 위엄에 찬 모습이어서 장엄함을 과시하고 있다
2) 간결·명쾌한 조형성을 꼽을 수 있다
3) 늘씬하고 세련된 형태미를 보여주고 있는 점이다
4) 이국적인 형태를 적절하게 나타낸 점이다
5) 특히 십일면관음보살상에서 보이다시피 복잡하고 화려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 점이다
3. 양감(量感-부피감)
1) 탄력감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2) 우아하고 세련된 질감이다
4. 선(線)
1) 유려한 선묘의 특징이다
2) 생동감나는 필선인데 이 특징은 유려한 선묘와 비슷한 면도 있지만 보다 생명력이 넘치는 느낌을 주는 것이다
3) 세차고 역동감나는 특징이다
4) 간명한 선의 특징이다
5. 무늬

Ⅳ. 불상조각의 자세
1. 결가부좌(結跏趺坐)
2. 반가부좌(半跏趺坐)
3. 유희좌(遊戱坐)
4. 윤왕좌(輪王坐)
5. 의좌(倚坐)
6. 교각좌(交脚坐)
7. 열반상(涅槃像)

Ⅴ. 불상조각과 삼국시대

Ⅵ. 불상조각과 석굴암
1. 상호(相好)
2. 자세(姿勢)
3. 인계(印契-印相)
4. 불의(佛衣)
5. 장엄구(莊嚴具)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는데 범래(梵來) 또는 범협(梵)등으로 불리는 것으로 학문에 정진할 것을 상징하는 인상이다. 대개 문수보살이 들고 있는 경우도 많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보현보살이 들고 있는 경우도 상당수 된다. 현재 이 경권은 상당히 길면서 손의 굴곡에 따라 휘어지고 있어서 꽤 유연한 편이다.
십일면관음보살은 왼손을 가슴에 들어 병을 잡고 있는데 한 송이 꽃가지가 꽂혀 있다. 이 병은 군지(軍持-Kundika) 또는 가라사(迦羅奢-Kalasa)라고 하는데 흔히 쌍구(雙口)가 있는 것을 군지라 하고 주둥이가 하나 뿐인 병은 카라사라 하지만 서로 혼용해서 쓰기도 한다. 이 관음보살의 병은 주둥이가 하나 뿐인 단구병으로 흔히 관음보살의 지물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십대제자는 앞에서 말했다시피 수인과 계인이 반반인데 제 1, 3, 4, 6, 9상이 계인상인데 각각 독특한 지물을 들고 있다. 제 1상은 특이한 자루가 달린 잔을 왼손으로 잡고 있는데 병향로인 것으로 추측된다. 제3상은 오른손을 내려 병을 비스듬히 잡고 있는데, 이 병은 단구병이지만 고리까지 달린 독특한 것이다. 제4상은 물()같은 것을 잡고 있는데 독특한 지물이다. 제6상은 왼손으로 길다란 손잡이가 달린 향로를 잡고 있으며, 오른손으로는 향을 집어넣고 있는 모습을 묘사한 것으로 독특한 인상이다. 향로는 주등이가 넓고 배가 불룩하며 목이 가는 대를 달았고 자루가 길면서 휘어진 독특한 모양이다. 제9상은 발(鉢)을 왼팔로 껴안고 있는데 오늘손은 엄지와 중지를 모아 펴서 발속에 집어 넣으려는 모습으로 이른바 공양을 들고 있는 모습을 상징하고 있는 인상이다.
4. 불의(佛衣)
석굴암 제 상들의 불의는 본존불상의 불의와 보살의 등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본존불은 우견편단(右肩偏袒)로 착의하고 있다. 옷은 대의(大衣)인데 무척 얇아서 신체의 굴곡이 그대로 표현되고 있으며, 옷주름은 간략하면서도 凸형을 이루었는데 긴장되고 팽팽하게 묘사되었다. 무릎 밑으로 나온 옷자락은 부채살 주름을 이루었지만 숭각기나 군의의 표현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우견편단의 착의법은 당시 항마촉지인을 짓고 있는 불상에 많이 쓰이던 방식인데 갈항사석불상(葛項寺石佛像), 남산칠불암본존불상(南山七佛庵本尊佛像), 삼릉계석불상(三陵溪石佛像), 용장계석불상(茸長溪石佛像)등 매우 많은 예들이 남아있지만 석굴암 본존불상은 그 대표적인 예라 하겠다.
십대제자는 모두 위에는 승각기를 입고 아래는 상의를 입었으며 이 위에 가사를 걸치고 있다. 가사 착의법은 제3상 같은 상은 예외지만 대개 오른팔까지 감싸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가사는 대의(大衣-九條衣)가 아닌 상의(上衣-七條衣)를 걸친 경우도 있는 것 같다.
석굴암의 십일면관음보살상등 벽면의 보살상은 모두 아래는 치마를 입고 어깨, 등허리, 팔 등에 걸쳐 길다란 천의(天衣)를 두르고 있는 것이 원칙이다.
5. 장엄구(莊嚴具)
보살상에는 특히 여러 가지 장엄구를 갖고 있다. 귀걸이, 목걸이, 팔지 기타 각종의 몸치레 등 갖가지 장신구들이 화려하게 치레되어 있는 것이다. 이환(耳環) 또는 이식(耳飾)이라고 부르는 귀걸이는 그 종류가 다양한데 특히 석굴암 상에서 보여지는 귀걸이는 단순하면서도 세련된 모양으로 의식용으로 생각되는 고신라의 고분출토 귀걸이와는 다른 통일신라 사람들이 실제로 사용하던 실용 귀걸이로 생각되므로 신라의 귀걸이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해주고 있다.
십일면관음보살상의 귀걸이는 귀에 닿는 주환부가 가는 고리인 세환식 귀걸이이며, 벽면의 보현보살의 귀걸이는 작고 굵은 주환부에 세 잎의 심엽수하포식(心葉垂下飾)으로 구성된 것이다.
석굴암상의 목걸이는 크게 세 형식으로 나눌 수 있다. 구슬목걸이와 띠목걸이, 그리고 구슬(영락-瓔珞)과 띠의 2중 목걸이이다. 고신라 때는 구슬(유리, 비취, 수정, 호박, 금, 은) 목걸이가 주류를 이루었지만 통일신라 때는 대개 2중 목걸이가 주류를 이루었다. 문수보살상의 목걸이는 금속제인지 천인지 불확실하지만 8개의 잎모양(八葉形) 장식이 매달려 있으며, 구슬 목걸이와 띠모걸이의 두 종류를 모두 걸고 있는 것으로는 십일면관음보살상과 보현보살 등이 모두 이 형식이어서 통일신라 때에 2중 목걸이가 주류를 이루는 것과 부합된다. 목걸이와는 다른 장식으로 전신에 걸쳐 화려하고, 복잡한 영락제식(瓔珞製飾)을 두르고 있는 ‘전신영락제식’이 있는데, 가장 복잡한 형태로는 십일면관음보살상의 전신식이다. 목에 한 줄, 가슴에 한 줄씩 두르고 목 좌우에는 다시 내린 구슬띠가 오른손에 걸치면서 발목으로 둘렀으며, 가슴에서는 허벅지와 무릎에 한줄 씩의 구슬띠를 각각 내리고 있다. 여기에 각 구슬띠마다 귀걸이형 수식과 통(筒)과 띠매듭 등으로 장식했으며, 가슴띠의 한 중심에 큼직한 대형 법륜을 달아 영락장식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보살상의 것은 십일면관음보살상보다 약간 덜 복잡하지만 허벅지와 발목에 구슬띠가 없고, 수식들이 단순한 것이 다른 점이다. 문수보살상의 것은 중심의 커다란 동심원 장식을 중심으로 X자 모양에 가까운 구슬띠를 두르고 있는데 약간의 변형이 있고, 구슬이 작고 세련된 것이 다를 뿐 삼국시대 X자 영락장식과 비슷한 것이어서 옛 전통을 다소간 이어 받은 형식이라 하겠다.
팔지는 팔가락지(비천-臂釧)과 팔목가락지(완천-腕釧)로 나눌 수 있으며, 대부분의 팔찌는 구슬장식 팔지와 띠가락지 등 2중 고리로 구성되어 있다. 벽면 보현보살의 팔목가락지는 한 줄로 된 구슬장식이 있는 것이며, 십일면관음보살상은 두 겹의 고리인데 구슬띠가 있는 것으로 가장 세련된 팔목가락지이다. 문수보살상은 두 겹의 고리인데 구슬장식이 없는 팔목가락지이다.
참고문헌
김혜숙, 불상조각의 문화 교육적 이해,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08
김대욱, 한국 불상조각에 대한 연구 : 한국불상조각의 내재적 및 가시적 변용성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2008
김영희, 석굴암 불상조각연구, 한남대학교, 2004
문명대, 한국의 불상 조각, 동국대학교 석림회, 1999
문명대, 법륭사 불상조각과 삼국시대 불상조각과의 관계, 한국미술사연구소, 2001
오경환, 한국불상 조각의 조형성, 강원대학교, 1987
  • 가격9,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3.07.19
  • 저작시기2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29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