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자, 분자염증반응, 분자진화론, 분자생물학, 분자유전자지도]분자와 분자염증반응, 분자와 분자진화론, 분자와 분자생물학, 분자와 분자유전자지도, 분자와 분자빔법(분자빔 에픽터시), 분자와 분자궤도함수론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분자, 분자염증반응, 분자진화론, 분자생물학, 분자유전자지도]분자와 분자염증반응, 분자와 분자진화론, 분자와 분자생물학, 분자와 분자유전자지도, 분자와 분자빔법(분자빔 에픽터시), 분자와 분자궤도함수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분자와 분자염증반응
1. 노화의 분자염증 가설
2. 혈관노화에서 분자염증 반응
3. Alzheimer disease에서 분자염증반응

Ⅱ. 분자와 분자진화론
1. 생명 기원의 문제
2. 생명기원의 사상
1) 생기설
2) 특별창조설
3) 자연 발생설
4) 포자 범재설
5) 기계론
6) 유물론
3. 유물론을 뒷받침 하는 주장
1) 뵐러(독일의 유기 화학자)
2) 오파린(러시아의 생화학자)
3) 할데인(영국)
4) 밀러

Ⅲ. 분자와 분자생물학
1. 돌연변이체
1) 야생형(wild type)
2) 돌연변이형(mutant type)
3) 완전결손 돌연변이체(absolute defective mutant)
4) 조건 돌연변이체(conditional mutant)
5) 온도감수성 돌연변이체(temperature sensitive (Ts) mutant)
6) suppressor 감수성 돌연변이체(suppressor sensitive mutant)
7) 돌연변이 유발(mutagenesis)
8) 자연돌연변이 유발(spontaneous mutagenesis)
2. 돌연변이체에 있어서 돌연변이의 수
1) 점 돌연변이체(point mutant)
2) 이중 돌연변이체(double mutant)
3) 결실(deletion)
3. 복귀돌연변이체와 복귀
1) 복귀(reversion)
2) 복귀 돌연변이체(revertant)
3) 복귀빈도(reversion frequency)
4. 돌연변이체의 이용

Ⅳ. 분자와 분자유전자지도

Ⅴ. 분자와 분자빔법(분자빔 에픽터시)
1. MBE란
2. 요약
3. MBE의 특징
4. MBE 장치의 작동원리
1) Knudsen의 증발 방법
2) Cosine 법칙

Ⅵ. 분자와 분자궤도함수론
1. 결합과 반궤도 함수
1) 결합 궤도 함수(bonding orbital)
2) 반결합(antibonding orbital)
2. 결합 차수

참고문헌

본문내용

θ+dθ의 각 방향으로 들어갈 확률 P.
이 확률은 이 각방향의 마주보는 면적 dS에 대한 입체각에 비례한다. 입체각은 dw = dS/r2 = 2πsinθdθ로 정의된다. 구멍으로부터 나오는 분자의 총 입체각은 2π이다. 그래서 이 확률은 P = dw/2π = sinθdθ이다.
그래서 각분출률 dΓθ은
이다. 여기서 Co는 비례상수인데, 이는 0≤θ≤π/2이고, 총분출률은 식 (4-a-4)에서 Γe로 주어졌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즉, Co=2 이다.
이다. 이식을 \'분출(effusion)의 Cosine 법칙\' 이라 한다. Knudsen 분출식 과 이 코사인 법칙을 이용하여 충돌률(impingement rate)을 계산할 수 있다.
점 A 주위의 단위 기판 면적 dS=dwr2A에 대한 충돌률은
이다. 여기서 p의 단위는 Torr이고, 다른 양은 cgs단위이다.
점 A에 대한 충돌률은
이다.
Ⅵ. 분자와 분자궤도함수론
분자 궤도 함수론(molecular orbital thoery)은 몇몇 원자나 분자 전체에 퍼져 있는 분자 궤도 함수에 의하여 분자의 전자 구조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분자궤도 함수는 원자 궤도 함수의 조합으로 형성되며 원자들이 서로 접근하여 중첩할 때 분자 궤도 함수가 형성된다.
1. 결합과 반궤도 함수
1) 결합 궤도 함수(bonding orbital)
원자 궤도 함수들이 중첩할 때 핵 사이 영역에서 전자 밀도가 높은 분자 궤도 함수를 말하며 σ로 표시한다. 어떤 특정 분자나 이온에서 분자궤도함수가 어 떤 모양을 가진다는 것을 아주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대 체적으로 올바른 보양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은 분자를 구성하는 핵에 속한 분자궤도 함수들을 배합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이러한 것을 아래 그림에 나타내었다. 두 파동함수를 더했을 때 생긴 분자궤도함수는 두 핵 사이의 전자밀도가 집중된 모양을 갖는 데에 유의하여라. 이와 같은 분자궤도함수에 놓인 전자들은 양쪽 핵을 함께 결합시키려 하는 경향을 가지며, 따라서 안정한 분자가 생기도록 하는 경향이 있다.
2) 반결합(antibonding orbital)
두 핵 사이보다 반대 영역에서 전자 밀도가 큰 분자 궤도 함수를 말하며 σ*로 표시한다. 또한 위의 그림에서 볼 수 있는 두 번째 분자궤도함수는 한 원자 궤도함수를 다른 원자의 궤도함수로부터 빼내줌으로써 얻은 것이다. 이 경우에는 두 핵 사이의 영역의 바깥쪽에 극대 전자밀도가 있는 분자궤도함수가 생성된다. 어떤 분자의 전자들이 이러한 분자궤도함수에 들어가면 이들 전자는 핵을 서고 결속시키는 제 도움을 주지 못하며, 사실 이와 같이 가려 막히지 않는 핵들은 서로 반발한다. 그 결과 이러한 분자궤도함수에 놓인 전자는 분자를 불안정하게 만든다.
아래의 그림에 나타난바와 같이 어떤 분자에서 결합분자궤도함수 및 반결합궤도함수가 생기도록 서로 작용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마주 가리키고 있는 p궤도함수가 pz 궤도함수에 해당하도록 임의로 핵 사이의 축을 좌표계의 z 축으로 택하였다. 이 경우에도 궤도함수의 한 가지 배합은 두 핵 사이에 전자가 집중된 결합분자궤도함수를 형성하고 나머지 한 배합은 핵 사이에 바깥쪽 영역에 대부분의 영역에 대부분의 전자가 위치하도록 한다. s 궤도함수와 마찬가지로 p 궤도함수도 σ형 분자궤도함수를 형성하며, 따라서 2pz 궤도함수에 대해서는 및 분자궤도함수가 생기게 된다. 핵 간의 축으로 z 축을 택하였으므로 분자의 두 핵에 속한 px 및 py 궤도함수들은 π및 π* 분자궤도함수가 형성되도록 각각 옆으로 겹쳐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분자 축을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보았을 때 및 궤도함수들은 서로 90도로 위치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및 궤도함수들과 각각 똑같음을 유의하라.
이제까지 원자궤도함수들이 겹쳐져서 이루어진다고 생각할 수 있는 분자궤도함수의 보양을 2원자분자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러나 2원자분자의 전자구조를 논하기 위해서는 이들 궤도함수의 상대적 에너지를 알아야만 한다. 일단 이것이 확정되면 앞에서 말한 규약에 따라 각 궤도함수에 전자를 채워나갈 수 있다. 우선 및 궤도함수를 살펴보자. 결합궤도함수에 들어간 전자는 안정한 결합이 형성되게 하며. 또 따라서는 이것은 분리된 2개의 원자에서보다 에너지가 낮게 된다. 그 반면 반결합궤도함수에 들어간 전자는 분자를 불안정하게 만들며, 아울러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에서보다 에너지가 높은 상태로 된다. 이것을 아래 그림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 분리된 원자의 원자궤도함수의 에너지는 에너지 준위도표의 양쪽에 표시되고 그 중앙에 분자궤도함수의 에너지표시가 되어있다. 이 간단한 조표를 사용하여 H2의 분자에서의 결합을 검토할 수 있다. H2에는 2개의 전자가 있으며 이들은 가장 낮은 에너지 준위인 분자궤도함수 에 들어간다. 따라서 H2에서의 전자분포는 궤도함수의 모양으로 묘사된다. 이것은 H2에 대한 원자가-결합이론의 견지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는 데에 유의하여라. 이들 두 이론은 동일 분자종을 묘사하려는 것이므로 그 결과가 같다는 사실이 그다지 놀랄 만한 것은 못된다.
2. 결합 차수
결합 차수(bond order)는 결합하는 두 원자 사이의 결합수를 말한다.
(a, b는 반드시 정수만은 아니다.)
③ 궤도 함수 상호 작용을 결정하는 요인
㉠ 상호 작용하는 궤도 함수들의 에너지 차이
㉡ 궤도 함수 상호 중첩의 크기
(이 상호작용이 강해지기 위해서 두 궤도 함수의 에너지는 대략 같아야 하고, 중첩은 커야 한다.)
참고문헌
- 강대복 외 1명(1986), 표면화학에 분자궤도함수론의 응용, 대한화학회
- 박용근(2001), 미생물 유전 및 분자생물학, 대한민국학술원
- 성보경 외 1명(2005), 노화과정에서 분자염증 반응과 에너지 대사의 중요성, 대한암예방학회
- 중원영신 외 2명(1992), 진화론이 변하고 있다 : 다윈에 도전하는 분자생물학, 전파과학사
- 조용구(2000), 분자유전자지도 작성과 육종적 이용, 한국작물학회
- LODISH, BERK 외 3명 저, 이한웅 역(2011), 분자 세포 생물학, 월드사이언스
  • 가격9,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3.07.2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42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