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조선인(재일유학생, 재일한국인, 재일한인)의 현황, 도일사, 재일조선인(재일유학생, 재일한국인, 재일한인)의 국적정책, 생활상태, 재일조선인(재일유학생, 재일한국인, 재일한인)의 사상단체, 민족운동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일조선인(재일유학생, 재일한국인, 재일한인)의 현황, 도일사, 재일조선인(재일유학생, 재일한국인, 재일한인)의 국적정책, 생활상태, 재일조선인(재일유학생, 재일한국인, 재일한인)의 사상단체, 민족운동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재일조선인(재일유학생, 재일한국인, 재일한인)의 현황

Ⅲ. 재일조선인(재일유학생, 재일한국인, 재일한인)의 도일사

Ⅳ. 재일조선인(재일유학생, 재일한국인, 재일한인)의 국적정책

Ⅴ. 재일조선인(재일유학생, 재일한국인, 재일한인)의 생활상태
1. 토오쿄의 조선인
2. 오오사카의 조선인
3. 큐우슈우의 조선인

Ⅵ. 재일조선인(재일유학생, 재일한국인, 재일한인)의 사상단체

Ⅶ. 재일조선인(재일유학생, 재일한국인, 재일한인)의 민족운동
1. 1919 - 1921년 시기
2. 1922 - 1929년 시기

Ⅷ.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일본 사회운동세력의 지원이나 협조속에서 이루어졌다. 재일조선인은 일본사회운동세력과의 연대를 통해 민족해방에 기여함과 동시에 일본사회운동에 일익을 담당하는 이중적 효과를 낳았다.
1930년에 국제공산당의 결정에 따라 여러 재일조선인단체가 해산하게 되자 재일조선인의 민족운동은 전 시기와 같은 성과를 낼 수 없었다. 재일조선인만의 독자적인 단체에 소속되어 있던 조선인들은 일본단체에 가입하여 활동하게 되었는데, 많은 조선인이 가입을 포기함에 따라 민족운동은 개인적으로, 분산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또한 파쇼체제로 들어선 일본내에서 조선인의 민족운동을 조직적으로 한다는 것은 불가능했다. 일본권력에 협력하는 동화단체가 아니면 단체를 유지하는 것조차 금지되어 있었다. 따라서 민족운동의 형태는 테러에 의지하거나 비밀써클을 조직해서 독립의식을 고취하는 정도에 머물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탄압적인 분위기와 열악한 상황속에서도 재일조선인의 민족운동은 해방을 맞기 직전까지 각급 학교와 사업장에서 계속되었다.
Ⅷ. 결론 및 시사점
한민족은 선사 시대부터 일본 열도로 건너갔다. 이러한 이주는 역사 시대에 접어들어서도 끊이지 않고 이어졌다. 이렇게 도일(渡日)한 한반도의 사람들은 일본 국가의 성립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그뿐만이 아니었다. 그들이 현금까지 전해지고 있는 일본의 기층문화(基層文化)를 형성하는 데도 상당한 역할을 하였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그것은 보다 나은 삶의 터전을 찾아서 행해진 자율적인 것이었다.
그러나 한일합방(韓日合邦)은 한국 근대사의 비극이었다. 이와 더불어 비롯된 한국인들의 일본 이주는 그 전의 것과는 성질을 달리한다. 왜냐 하면 이 때의 도일은 타율적인 것이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일본 제국주의자들은 교묘한 식민지 지배 정책을 펼쳤다. 그것이 한민족을 나라 밖으로 내몰았다는 것이다. 그래서 한국 사람들은 대규모로 이 땅을 떠나야만 했다. 그런데 이것은 그 정책적 특성상 아래와 같은 네 개의 시기로 구분된다.
먼저 한국이 일본에 합병된 1910년대는 토지 조사 사업에 기인된 유이민(流移民)의 발생기였다. 일제가 이 사업을 시행한 명목상의 목적은 이러했다. 즉 당시 한국의 토지 소유 제도가 낙후되어 있어 재산권의 안정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었다. 그렇지만 실제의 목적은 다른 데에 있었다. 그들은 경제 질서의 재편을 통한 친일 세력(親日勢力)의 부식을 꾀했다. 또 토지의 강탈도 아울러 기도하였다.
이것은 이 사업이 끝난 1918년 토지 소유 실태를 보면 너무나도 명백해진다. 그 때에는 지주 계층이 전 농가의 3.1%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한 그들이 총 경작 면적의 50.4%를 차지하였다. 그 결과로 77.3%에 달하는 농가가 소작농(小作農) 내지는 자작 겸 소작농으로 전락되고 말았다. 또 이 기간 중(1910~1915)에는 일본인 지주들의 한국 진출 또한 두드러졌다. 합병될 당초에 2,254명이었던 일본인 지주가 6,966명으로 늘어났다. 그와 함께 그들의 토지 소유 면적도 6,900 정보(町步)에서 171,000정보로 불어났다.
이와 같은 현상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즉 극소수의 지주 계층은 일제의 앞잡이가 되었다. 반면에 그렇지 못한 대다수의 농민들은 소작농으로 몰락되었고, 그들 중의 일부는 조상 대대로 살아온 고향을 등지고 유랑의 길에 나서지 않으면 안 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일제의 토지 수탈 정책은 1920년대에 들어서면서 한층 더 강화되었다. 그 때문에 1920년대 말에는 한국 전 경지 면적의 8할에 가까운 땅이 일본 자본의 지배에 들어갔다. 그리하여 한국 농업에 대한 일본 자본의 지배권이 심화되었고, 한국의 농업은 일본에 종속되지 않을 수 없었다.
게다가 그들은 ‘산미 증산 계획(産米增産計劃)’이란 정책을 내걸었다. 하지만 이것은 한국의 농민들을 착취하기 위한 술책에 불과한 것이었다. 따라서 이 무렵에는 한국의 많은 농민들이 경제적 터전을 잃었다. 그들은 자기 자신의 노동력을 파는 일 이외에는 생활 수단을 갖지 않는 임금 노동자로 영락(零落)되었다. 이런 의미에서 1920년대는 유이민이 대량화되기 시작한 때였다고 할 수 있다.
1930년대에는 경제 공황, 특히 농업 공황이 일본 열도를 휩쓸었다. 그러면서 그 여파가 한국 농촌의 구석구석까지 파급되었다. 그로 인해 1920년대의 ‘산미 증산 계획’은 수정되었고, 그 대신에 ‘북양 남면(北羊南綿)’의 정책이 시행되었다. 이것은 그들의 방적 산업(紡績産業)을 육성하기 위한 또 다른 형태의 경제 수탈 정책이었다. 이처럼 일본 본토인들의 이해(利害) 여하에 따른, 그들의 식민지 지배 정책은 한국의 농민들을 이 땅에서 몰아냈다. 그러므로 이 때는 유이민이 증폭된 시기라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한편 1939년에 발발한 제2차 세계 대전은 한국 이민사에서 특별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일본은 전쟁 수행에 소요되는 군수 산업(軍需産業)의 호황기에 들어갔다. 그러자 절대적인 노동력의 부족 사태가 초래되었다. 그렇게 되면서 일제는 ‘황국 신민화(皇國臣民化)’니 ‘근로 보국대(勤勞報國隊)’니 하는 캠페인을 시작했다. 이것이 한국 사람들의 노동력을 강압적으로 동원하기 위한 방책이라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말하자면 본인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마구잡이식으로 잡아가는 강제 이주의 절정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1939년부터 1945년까지 강제로 끌려간 인원이 150만 명을 넘었다. 이와 같은 사실은 그들의 한국인 사냥이 얼마나 무차별적인 것이었는가를 여실하게 증명해 준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 김진환(2012), 재일조선인 정체성 연구 현황과 과제, 한민족문화학회
○ 김인덕(1996), 1920년대 후반 재일조선인의 생활상태 연구, 한국근현대사학회
○ 김명섭(2001), 1920년대 초기 재일 조선인의 사상단체, 한일민족문제학회
○ 서경식(1996), 재일조선인의 위기와 기로에 놓인 민족관, 한국역사연구회
○ 조관자(2011), 민족주체를 호출하는 재일조선인,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 정희선(2006), 재일조선인의 민족교육 운동(1945년-1955년) 연구, 강원대학교
  • 가격6,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7.2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43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