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임시정부의 역사,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의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이념,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선전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 군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 임시사료편찬회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역사,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의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이념,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선전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 군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 임시사료편찬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역사

Ⅲ.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의의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이념

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선전위원회

Ⅵ.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무위원회

Ⅶ.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군사위원회

Ⅷ.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임시사료편찬회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錫弘朴舜欽朴炙玉朴址朋禹昇圭申均敞車均賢車貞信鄭明翼李起榮李康夏姜賢錫金恒信鄭惠善趙淑景李메리李奉順
이로써 보면 임시사료편찬회는 총재, 주임, 간사, 위원, 조역 등의 직임을 두었으며, 임시정부의 주요인사가 참여한 가운데 총 33인이나 되는 범임시정부적인 규모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國際聯盟會提出案件作成特別委員會’특별위원 5인 가운데에서는 金秉祚가 위원으로 참여하였다. 그런데 실질적으로『한일관계사료집』의 편찬은 金枓奉과, 31운동 때 기독교측 민족대표의 1인으로 서명하고 미리 상해로 건너와 국민대표로서 임시정부에 참여하였던 金秉祚 및 李元益 목사가 담당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기타 조역들은 자료의 수집과 정리를 보조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임시사료편찬회는 1919년 7월 초순부터 활동을 개시하여 8월 하순에『한일관계사료집』의 정리를 일단 마무리하였다. 그러나 시간의 부족으로 활판 인쇄를 하지 못하고 십수인을 초빙하여 필경 작업을 한 끝에 9월 23일 1백질을 등사 완료하였다. 곧『한일관계사료집』은 집필부터 등사까지 불과 84일만에 완성된 셈이다. 임시사료편찬회의 활동과 관련한《獨立新聞》의 기사는 다음과 같다.
임의 月餘를 두고 諸氏의 苦心編纂한 史料는 近日에 거진 完了되야 時間의 問題로 活版印刷에 附치 못하고 十數筆家 諸氏를 聘하야 複寫를 行하는데 略今月末에 終結云.
安昌浩氏를 總裁로 하고 李光洙씨를 主任으로 한 臨時史料編纂會는 八名의 委員 二 十三名의 助役의 連日 活動으로 本年 七月 二日에 始하여 九月 二十三日에 韓日關係史料集의 編纂及 印刷를 終了하다. 該史料集은 國際聯盟의 提出할 案件에 對한 參考의 目的으로 編纂됨인데 此를 四冊에 分하여 合一百帙을 完成하다.
임시사료편찬회는『한일관계사료집』의 완성과 함께 해산되었다. 그러나 임시정부의 사료조사와 편찬사업은 계속되었다. 1919년 9월 2일 개최된 임시국무회의에서는 국무원에 조사과를 설치하여 사료와 선전자료를 조사 편찬하도록 결의하였다. 따라서 임시사료편찬회의 업무는 국무원으로 이관되었는데, 임시사료편찬회 위원이던 김병조와 이원익은 國務院 史料立査事務 촉탁으로 계속 시무하였다. 임시사료편찬회의 주임이던 李光洙 또한 ‘韓日關係史와 韓土와 韓族에 관한 調査事’등은 계속될 것임을 밝힌 바 있다.
한편《獨立新聞》은『한일관계사료집』의 편찬이 일단락된 8월 26일부터 韓國獨立運動史와 獨立運動日誌를 연재한 바, 임시정부의 사료조사와 편찬사업, 특히 31운동사에 대한 관심과 정리는 계속되었음을 알 수 있다.『한일관계사료집』의 완성 직후에 31운동사를 중심한 박은식의『韓國獨立運動之血史』가 즉시 편찬에 착수되었고, 본서의 편찬에 중심적 역할을 하였던 김병조의『韓國獨立運動史略』이 연이어 편찬되었던 것은 이러한 배경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Ⅸ. 결론
31운동 직후 출현했던 여러 개의 임시정부가 상해로 통합되어 일원화된 조직으로 나아가게 되자, 일제는 임시정부의 움직임에 커다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일제는 표면적으로는 토지와 인민을 갖지 못한 정부라는 것은 웃음거리에 불과하다고 하면서 임시정부를 독립운동 단체 가운데 하나로 치부하였다. 그러나 독립운동 자금이 답지하고 연통제와 교통국의 조직 등을 통해 한국 내에 영향력을 확대해 가면서 한국인들이 임시정부에 대해 커다란 기대를 보이게 되자 내심 긴장감을 감추지 못하였고 구체적인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였다.
일제는 특히 임시정부를 구성하고 있었던 다양한 성향의 인물들이 보이고 있었던 갈등 양상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면 임시정부의 기초를 붕괴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이들의 회유 이간 책동을 강구하였다. 또한 임시정부의 시정활동 가운데 핵심을 이루고 있었던 내정의 통일집중대적교통 부분, 외교의 세계에 대한 선전 부문에 대한 대책이 임시정부에 대한 정책의 주요한 내용을 이루고 있었다.
임시정부가 상해의 프랑스 조계지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임시정부에 대한 단속은 일본 외무성과 상해 주재 일본 총영사관이 주도하고 있었고 프랑스와의 관계도 매우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였다. 특히 프랑스 측이 임시정부 요인들을 정치범으로 간주하고자 하는 입장 보이면서 아울러 일본에 망명하고 있었던 안남 출신 독립운동자들의 처리 문제를 구실로 일제에게 상호주의 원칙을 요구하자 일제는 프랑스의 태도에 불만을 감추지 않고 있었다.
임시정부에 대한 일제의 궁극적인 대책이라는 것은 조직을 해산시켜 근원적으로 파괴하는 것이었다. 그러면서도 강압책으로만 일관할 경우의 부작용을 우려하여 회유 이간을 통한 붕괴 공작도 함께 병행하고 있었다. 우선 강압책으로는 국내와의 연락기구였던 교통국과 지방행정기구였던 연통제에 대한 파괴 작업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임시정부와《독립신문》에 대한 직접적인 폐쇄를 통해 임시정부를 무력화시키고 한국인들의 민심 동요를 유도하였다. 특히 1932년 윤봉길 의거 직후에 취해진 폐쇄 조치는 임시정부가 상해로부터 근거지를 옮겨 이동기로 들어가게 하는 결정적인 타격이 되었다.
임시정부에 대한 이간 회유 책동은 거의 모든 임시정부 요인들을 대상으로 했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일본의 실정을 이해시킨다는 명목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던 회유 공작은 결국 이들을 ‘귀환’시킴으로써 한국인들의 여론을 호도하고 민심을 교란시키는 민족분열 책동의 하나였고, 임시정부를 붕괴시키는 작업이었다. 이 밖에도 친일신문의 발간 유도, 독립운동 자금의 차단, 밀정의 운용 등을 통해 임시정부 요인들의 일거수 일투족을 일제의 정보망 속에서 파악하고 이를 교란하는 책동을 계속하였던 것이다.
참고문헌
○ 김영수(1995), 대한민국 임시정부헌법과 그 정통성, 한국헌법학회
○ 김지암(2007),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군사투쟁, 대한민국순국선열유족회
○ 김희곤(2009), 중경시기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지도체제, 문화체육관광부
○ 김우전(2010),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일선전포고에 관한 역사 재조명, 대한민국순국선열유족회
○ 박주리(2010),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와 대안교과서의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관한 서술체제 및 인식 비교 분석, 동국대학교
○ 정주환(2006), 임시정부의 법령체계, 단국대학교부설법학연구소
  • 가격9,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3.08.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23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