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복지론] 자살 청소년에 대한 평가와 대처 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복지론] 자살 청소년에 대한 평가와 대처 방안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서론

2. 역학
1) 나이
2) 성별
3) Sexual orientation

3. 자살에 대한 임상적 이해
1) 취약성(Vulnerability)
2) 발달적 요소
3) 가족의 취약성
4) 사회 문화적인 요소
5) 스트레스
6) 문제해결 능력
7) 치명적인 수단에의 접근성

4. 원인론적 모델

5. 평가와 개입

6. 치료

7. 자살 후의 개입

8. 예방

9. 임상의들을 위한 조언

본문내용

가치가 있는데 여러 위험 요소들을 명시적으로 확실히 하는 효과가 있고 중요인물들을 포함해서 향후 치료 계획에 그들의 도움을 구할 수 있다. 자해에 쓰일 위험한 도구에 대해 평가해 아동의 안전에 대한 가족들의 관심을 평가 할 수가 있다. 또한 24시간 내내 의사나 기타 안전장치가 있다는 것을 확신 시켜줄 수가 있다. 이로써 환자나 가족들에게 상황의 심각성을 인지하게 하고 의사가 환자의 안전에 관심을 두고 있다고 알려 준다. 하지만 이 자살방지 협약은 적절한 동맹관계에 기초해야 한다.
치료는 우선 자살을 시도하는 갈등을 파악하고 기저의 정신병리를 적극적으로 파악해 치료하고 가족치료와 교육을 통해 여러 요소를 파악하게 돕는다. 그래서 가족들이 압도되지 않고 위기요소를 파악해서 이를 다룰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한다. 가족과 환자에게 인지적인 치료개입을 통해 문제해결 능력과 기능을 향상시킨다. 아이들을 다시 학교, 교회, 운동 등에 다시 참여하게 해 고립을 줄여 준다.
7. 자살 후의 개입
부모와 생존한 아이들에게도 그 상황을 검토하고 그들이 가지고 있는 후회나 오해, 생존자의 죄책감 등을 다루어 줘야 한다. 가족들은 그 상황을 반복해서 이야기할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생존자들에게는 주요우울증(25%), PTSD( 40%), 자살생각(31%), 이혼, 자살시도 등의 후유증이 있을 수가 있다. 만약 생존자들을 적절히 도와주지 않으면 위험은 높아진다. 학교에서는 선생님이나 다른 학생에 대한 자문을 하는 것도 필요한데 자살이 전염되는 효과를 막기 위한 것이다.
8. 예 방
비록 자살의 원인이 몹시 다양하므로 적절히 예방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대안이 자살방지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첫째, 부모, 교사들은 아이들의 자살에 대한 교육을 받고, 특히 중요한 대상관계의 상실, 아동학대, 우울증, 약물남용, 지역사회 내 자살률 등이 아이들의 자살율을 높인다는 사실을 인지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둘째, 평소 자해를 하거나 자해에 대한 생각이 많은 학생들을 초기에 치료적 개입을 하도록 홍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학생들에게 무력감, 절망감, 사회적 고립 등과 같은 자살에 대한 경고 증상과 이런 증상이 있을 때 적극적으로 주변에 도움을 청하도록 교육시킨다.
셋째, 지역사회 내 자살방지 프로그램을 만들어 우울 증세를 호소하지만 실제 우울증의 진단기준에는 맞지 않는 subclinical group들을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돕는다. 부모가 우울증이 있는 경우 가족에게 이를 이해시키는 것만으로도 아이들이 우울증에 빠질 가능성이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도가 높은 가족들이나 청소년들이 쉽게 찾을 수 있는 지역사회 내 프로그램이 자살예방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9. 임상의들을 위한 조언
1) 학동기 아동의 자살은 매우 드물지만 시도는 그렇게 드물지 않다. 이들에게 취약성, 지지자원, 스트레스 모델은 유용하나 개인마다 매우 개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
2) 자살행동은 최종적인 증상이지 질병이 아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Multifactoral etiologic model이 유용하다.
3) 치료개입은 risk to resource balance를 평가한 것에 근거해야하고 동시에 자살행동의 개인적인 의미를 파악해야 한다.
4) 아동, 가족들과 치료적인 동맹을 맺는 것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집안에 위험한 물건을 치우라는 치료자의 요구에 대한 가족의 반응으로 종종 협력정도를 가늠해 볼 수가 있다.
5) 자살의 위험도가 명확하지 않을 경우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여 보호하는 것을 가장 중요시하여 치료한다.

추천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9.10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83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