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축의 역사 4장 고대 규범을 벗어나는 신라말, 고려초기건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건축의 역사 4장 고대 규범을 벗어나는 신라말, 고려초기건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불교 사찰건축의 고대 규범 탈피
Ⅱ. 9세기의 석탑과 부도
Ⅲ. 지역성의 대두
Ⅳ. 풍수지리설의 유행

본문내용

은 10세기
여주 지역의 수준 높은 조형예술의 경지를 보여준다.
* 청주: 흥덕사지
- 세계최초 금속활자본 『불조직지심체요절』을 만들고 개간한 곳으로 유명하다.
- 소규모의 일탑식 가람배치를 이루었다고 추측되며, 발굴이 절터 일부만 되어
일탑식 가람으로 추정하는데 다소 많은 무리가 따르고 있다.
* 그 외
- 경남 합천: 영암사지는 지방 산골짜기에 수준 높은 건축물들이 확산 되어 있다.
- 황해산: 영암사는 경사진 지형에 맞추어 여러 단의 축대를 조성하고 몇 개의 예불 공간을
구성하였던 듯하다.
* 지역 특성은 10세기 외에도 11세기로 이어지며 꾸준히 지속되었다고 할 수 있다.
- 충북 중원: 미륵리사지는 고려초기에 세운 석굴사원의 흔적이 있으며
인공적으로 방형의 석실을 축조하였다.
- 충청남도: 석조 오층탑은 부여 정림사를 모델로 해서 만들어졌으나 전체 조형은 정림사와
다른 독특한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으며, 기단이 축소되어 일부러 불안정한
분위기를 만들고, 제2층부터 갑자기 크게 작아져 허약한 모습을 나타낸다.
- 부여: 장하리 석탑은 한층더 불안정한 느낌이 강하며, 특징으로 아침 햇살을 받을 때의
모습과, 한낮의 자태, 저녁 나절의 느낌이 다르다는 것이다.
* 석재 표면에 반사되는 표면질감이나, 처마의 그림자, 배경을 이루는 숲은
다양한 그림을 만들어준다.
3. 건축 인력의 분산 : 지역적 차이로 인한 고대 건축규범을 벗어난 것은 10세기 건축의 중요한 특징이다.
* 『동국여지승람』 개성부조에 의하면, 고려의 반도 통일 전 연안성을 축조하게 되었는데,
개경 주변과 강화, 교동에서 한정해서 인력을 동원하였다고 전하고 있다.
* 건축 생산인력의 지방 분산은, 지방 건축의 수준 향상을 가져 왔으며, 우수한 기술인력은
항상 중앙으로 차출되어 한동안 지방의 기술 공백을 초래하였었다.
- 지방의 독자적 지배력 강화로 인하여, 지방은 우수한 기술 인력을 확보하였고,
경주의 기술력을 익힌 인력들은 지방에 남아 기술을 보습하고, 건축조영에 종사하면서
우수한 건축물을 만들어내는데 그 한몫을 하였다.
* 이와 같은 경우로 『삼국사기』에서는 927년 경주를 일시 함락시킨 후백제 견훤은 전주로
철수하면서 기술이 뛰어난 자들을 데려갔다고 전하고 있다.
Ⅳ. 풍수지리설의 유행
1. 풍수지리설 : 건축이 지방에 확산되며 산천이 갖는 지리적인 이점을 살리고자 하는 생각은 곧이어
‘풍수지리설’이라는 사상체계로 이론화되고 쳬계화 되기에 이르렀다.
* 풍수설 : 산과 물의 관계를 중요시 하는 설
- 음양과 오행이 서로 작용하여 땅에 좋은 기(氣)를 탄생시키고, 좋은 기가 모인곳을
명당으로 파악하여 집이나 마을, 무덤을 조성할 것을 주장한 설이다.
- 중국 동진에서 기원전 200년경에 시작 되었으며, 산의 형세나 토질, 물의 흐름, 방위를
요체로 하여 여러 가지 이론이 만들어졌다.
* 풍수설의 개념은 삼국시대부터 조금씩 퍼져나갔으며, 10세기경 삶과 건축에 큰영향을 미쳤다.
- 승려 도선(道銑)은 풍수지리설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한 대표적 인물로 꼽힌다.
* 도선의 비보사탑설(裨褓寺塔設)
- 지세가 약하고 쓸모없는 땅에 절이나 탑을 세워 땅을 이로운 곳으로 바꾼다는 설
- 경주를 벗어난 지방 각지의 사찰 건립을 뒷받침해 주는 사상적 배경으로 작용하였으며,
한반도 중심부에서 새로운 세력이 형성되어야 할 것을 암시하는 정치적 의도가 엿보인다.
* 풍수의 주요점
- 간룡: 산을 용에 견주어 산맥의 흐름이나 형세를 보는 것
- 장풍, 득수: 산이 둘러싸이고 주변에 물리 흐르는 형세를 보아 바람을 막고 물을 얻는다
- 정혈, 좌향: 좌청룡, 우백호, 전주작, 후현무로 산이 둘러싸는 형세를 이상으로 치고
그 안에 생기가 집중되는 자리를 혈(穴), 혈의 위치에서 방위를 봄으로서
좌향을 결정한다.
- 형국: 종합적인 판단으로, 금계포란형, 연화부수형등의 유형을 분류하는 것
* 고려의 10개 사찰 및 대흥사, 개태사등의 지방 사찰들은 이런 풍수설을 바탕으로 위치가
선정되었다고 한다.
* 풍수설은 군사적인 전술에서부터 일상사에 광범위하게 수용되었으며, 비보설의 경우 산을 양으로
보아 집을 높게 지어 양과 양이 서로 출동하는 것을 꺼리고, 집을 낮게 지어 양과 음이 조화를
이루는 것을 중시하였다.
* 풍수지리설은 고려시대 전 기간을 거치며 지배계층 사이에 널리 신봉되었으며, 10세기를 지나
고려 왕실의 전국적 지배를 해 나가는 과정에 풍수 도참사상에 입각한 건축 활동은 하나의 큰
줄기를 이루면서 전개되어 나갔다.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9.23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07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