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민족주의 전개와 발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 민족주의 전개와 발전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체제
 1. 민족과 민족주의 개념
 2. 사회주의 체제 내 민족주의

Ⅲ. 북한민족주의의 전개와 발전
 1. 광복이후~1950년대; 소비에트화 시기의 민족주의 
 2. 1960년대; 중․소 분쟁 이후 의 민족주의 
 3. 1970년대~냉전의 종식; 주체사상 확립 이후의 민족주의 
 4. 1990년대; 냉전 이후에서부터 현재까지의 민족주의
 5. 2000년대; 민족주의의 확대. 

Ⅴ.결론

본문내용

사회주의를 전면으로 내세우면서 전통적인 사회주의이론으로부터 벗어나고 마침내는 1991년 김일성은 자기 민족을 위하여 유익한 일을 하는 사람이 ‘참다운 민족주의자’이며, 진정한 민족주의는 애국주의에 있다고 단언하면서 민족주의를 적극적으로 거명하기에 이르렀다. 김일성. “우리민족의 대단결을 이룩하자(1991년 8월 1일)” 「김일성저작집43」(평양:조선로동당출판사. 1996) pp.431~432
이와 같이 우리민족제일주의 논리나 해석방법을 종합해 볼 때 북한식 민족주의는 조선민족을 김일성 김정일식 민족정체성으로 개조하려는 의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북한식 민족주의는 동구 소련의 대변혁이라는 국제적 환경 변화에 의해서 민족주의적 외관을 갖추었지만 김일성 체제의 생존이라는 절대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하나의 변용된 이념적 무기가 되었다.
<북한의 민족주의 전개>
민족 개념
민족주의 개념
슬로건의 변화
1950년대
스탈린식 정의 그대로 차용
민족주의 자체를 부르조아 민족주의로 폄하
사회주의적 애국주의
1960년대
스탈린식 정의 +혈통,언어 강조
1970~1989
북한식 민족 개념 정식화
사회주의와 민족주의를 등치
자주성주체성민족성
1990이후
계급에 대해 민족문제 우선원칙
‘참다운 민족주의’
우리민족제일주의
우리 식대로 살자
5. 2000년대; 민족주의의 확대.
1990년대부터 북한 정권은 민족주의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시작했다. 이는 사회주의권의 붕괴와 닿아 있었고 위기의 대응담론으로 체제유지의 방편이었다. 2000년 615 공동선언 이후에는 외연 확대와 공세적 대응으로서의 민족주의를 이용하고 있다. 즉, 민족을 기존에는 북한 지역으로 한정시켰지만 조선민족제일주의의 ‘조선민족’을 한반도 전체로 확대했다. 이런 민족공조를 바탕으로 ‘조신민족 vs 미국을 위시한 제국주의’의 대립구도를 설정하여 민족대단결론을 펼쳤다. 기존의 사회주의 혁명을 통한 남한과의 통일을 얘기하던 민족통일전선론은 남한정부를 파트너로 인식하는 민족대단결론으로 전환했다.
또한 세계화로 인한 남한에서의 미풍양속이 파괴되고 민족성이 유린말살 되고 있으며,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모든 사회생활이 미국화, 일본화, 서양화 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김정일.(2000) pp.329~333
한반도가 김정일의 ‘민족자주이념’을 지도적 지침으로 삼을 때 진정한 민족주의를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한다.
Ⅴ.결론
북정권의 초기에는 스탈린의 민족의 개념을 빌려와 그대로 북한 지역에 적용시켰다. 그러나 북한의 민족개념은 70년대 이후 탈스탈린 경향을 서서히 드러내며 변화하기 시작했고, 80년대에 들어 그들의 민족개념을 “령토와 핏줄, 언어와 문화의 공통성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사람들의 공고한 집단”이라 정의하여 비로소 북한은 민족개념에 있어서 스탈린적 테두리를 벗어나 자체의 고유개념을 정립해 가고 이 고유개념의 지향점을 계급이나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를 벗어나 민족단위를 중시하는 쪽으로 설정하였으며, 이 방향성에 자주성을 추구한다는 주체사상의 영향을 강력하게 적용시키고 있다.
1989년 베를린 장벽의 붕괴와 독일의 통일, 동구사회주의국가들의 몰락과 소련연방의 해체로 상징되는 이러한 역사적 흐름은 마르크스가 내건 사회주의의 실험이 실패로 끝났고, 북한의 기존까지의 사회주의와 민족주의에 대한 이념의 이데올로기 위기를 가져왔다.
이러한 위기에 대항하여 민족주의를 전면에 내세워 수세에 몰린 체제의 돌파구로 사용하고 민족주의를 그들의 통치에 적극 활용하여 계급을 민족의 하위 개념으로 인식하여 민족의 이익을 계급의 이익에 선행시켰다.
지금까지 북한의 민족주의에 대하여 살펴봤다. 북한의 민족주의는 대내외적 정치상황에 따라 변용되고 끊임없이 이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북한의 대내외적 정치 상황은 복잡하지만 요약하자면 ‘김일성김정일 정권의 주체성 찾아가는 과정’ 이라고 볼 수 있다. 보편적 민족주의 민족의 이익을 대표하는 것이라면 북한은 김일성김정일 정권을 확립, 유지, 강화, 후계로 이어지는 과정을 재생산했다.
우리의 연구는 북한의 민족주의에 대한 전개와 발전 과정을 살펴보았다. 더욱 보충할 점은 북한 민족주의가 북한 사람들에게 어떻게 교육되고 있는지와 통일 한반도에 맞춰 어떻게 변용될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남한의 민족주의와 비교하여 한반도 민족주의의 특성을 발견하고 세계화 시대 흐름에 대처하는 방안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중국일본과의 동북아 지역 안보에도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하여 연구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전상인.「북한 민족주의 연구」통일연구원(구 민족통일연구원)| 1994.12.01 |
78p |
박재규.「새로운 북한읽기를 위하여」 이퍼블릭(법문사)| 2004.03.12 | 448p |
김갑식.「김정일 정권의 권력구조」한국학술정보| 2005.02.02 | 366p
윤민재.「세계화시대 남북한 통합의 방향과 과제: 민족주의의 관점에서」 서울: 집문당 2003.
진덕규.「북한 통치이념에 있어 민족주의 원용에 대한 분석」 서울 : 통일원정 보분석실, 1991
송기호. 「북한 민족주의의 기원과 지향에 관한 연구 '사회주의적 애국주의'와 ' 김일성민족'론을 중심으로」 마산 : 경남대 북한대학원 2004.01
조정아. 「남북한 민족주의에 관한 비판적 고찰과 통일시대이념의 방향성 모 색」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2002.02
남내원. 「북한 사회주의체제 유지를 위한 민족주의의 기능에 관한 연구」 서울 대학교 대학원 2000.02
김지은. 「북한체제에서 민족주의의 개념과 기능」 嶺南大 大學院 1998.02
김갑식. 「북한 민족주의의 전개와 발전 :민족공조론을 중심으로」(統一問題硏 究.제18권 제1호 통권45호 (2006년 상반기) pp.149-177 2006.5.30
참고 인터넷 싸이트
대한민국 통일부 http://www.unikorea.go.kr/index.jsp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http://ifes.kyungnam.ac.kr/
고려대학교 http://arc.re.kr/Front/Main/index.asp
국회전자도서관 http://www.nanet.go.kr/dl/SearchIndex.php
  • 가격1,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10.30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92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