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의 재해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향가의 재해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서동요>에 대한 문제 제기
3. <서동요>의 일연의 채록이유
4.. <서동요>창작 당시의 시대와 <서동요>의 의미
5. <서동요>의 신(新) 해석
6. 그 외의 『삼국유사』의 향가 해석
7. 맺음말

본문내용

러난다. <혜성가>의 내용은 혜성의 변괴를 없애고 왜병의 침략을 막은 것이다. 민심을 안정시킨다는 의미의 노래다. 선덕여왕 대의 향가, <풍요>는 영묘사(靈廟寺)의 불상을 만들 때 진흙공양을 하며 부른 공덕가로 영묘사의 불상 제작이 수월하게하기 위하여 이 노래를 지어 사람들로 하여금 불상 제작일을 도우며 이 노래를 부르게 했다. 신라의 민심을 다독이는 수준을 넘어 백성들을 노동에 이용하는 보다 세련된 수법이다. <도솔가>와 <안민가>의 경우에는 경덕왕이 승려, 월명사와 충담사에게 직접 짓도록 명령한 향가들로 각각 변괴를 물리치고 왕과 신하와 백성이 서로 지켜야 할 본분을 밝히는 내용으로 민심 안정을 도모하는 노래이다. 원성왕 대에는 <우적가>가 제작되어졌으며 향가를 반란 잔당군의 회유책으로 쓰인 듯 보인다. 791년에 일어난 제공(悌恭)의 반란을 생각해본다면, <우적가>는 반란 실패 후 남은 잔당들이 도적이 되었는데, 이들을 교화하려는 목적으로 만들었다는 결론에 이른다. 마지막으로 헌강왕 대의 <처용가>의 경우에는 재난에 대한 민심 수습용으로 사용되었다. 역신이 보통 치사율 강한 전염병 두창 황병익, 역신(疫神)의 정체와 신라 〈처용가〉의 의미 고찰, 한국학중앙연구원, 2011.
을 의미했다고 본다면 헌강왕 때에는 두창이 번졌었고 이에 따른 흉흉해진 민심을 막기 위하여 <처용가>를 지은 듯 보인다.
이렇게 14수의 신라 향가 중 절반이 되는 7개 노래는 중대한 국가적 위기가 있을 때마다 위기를 수습할 수 있거나 국가가 원하는 일을 할 수 있는 두 가지의 목적을 지니고 만들어졌다는 걸 알 수 있다.
7. 맺음말
미륵사지석탑 복원해체 과정 중 발굴한 ‘금제봉인 사리기’의 내용과『삼국유사』기이편에 <서동요>를 채록한 일연의 이유와 서동요 당시의 시대배경은 향가가 민역가였다는 새로운 해석이 가능하게 해주었다.
그러나 <혜성가>, <풍요>, <도솔가>, <안민가>, <우적가>, <처용가>의 경우에는 이의 주장의 근거가 미흡했으며, 나머지 7수의 노래는 본지의 주장과는 다른 내용이 담겨 있었다. 향가를 향유하게 되면서 본래의 의미와는 다른 성격의 향가가 나오게 된 것인데 이에 대한 근거는 후대의 연구가 필요하다. 비록 부족한 소논문이었지만 향가가 단순히 노래가 아닌, 민역가였다는 새로운 해석은 고전시가의 이해에 신선한 바람을 일으키리라 생각된다.
참고문헌
정진원, 익산 미륵사지 서탑 <金製舍利奉安記> 해독과 쟁점들, 한국어문학 연구, 2012
황병익, 역신(疫神)의 정체와 신라 〈처용가〉의 의미 고찰, 한국중앙연구원, 2011
서철원, 향가의 역사와 문화사, 지식과 교양, 2011
신재홍, 향가의 미학, 집문당, 2006
나경수,『향가의 해부』, 민속원, 2004.
나경수, 향가의 해부, 민속원, 2004
민찬, 서동요 해석 및 해독의 관점, 서울대학교한국문학연구소, 2004
김종규,『향가문학연구』, 경인문화사, 2003.
임동권,『한국민요연구』, 선명문화사, 2002.
황패강,『향가문학의 이론과 해석』, 일지사, 2001.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12.23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89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