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박씨전(朴氏傳) 작품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문학] 박씨전(朴氏傳) 작품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에 황금사 문갑(黃金紗紋甲)을 입고, 허리에 진홍 보호대(眞紅保護帶)를 두르고, 손에 삼백근 금강도(金剛刀)를 들었거늘, 서로 싸화 사십여 합에 승부를 모르더니, 계화의 칼이 번듯하며, 용홀대의 머리 검광을 좇아 마하(馬下)에 나려지니, 계화 그 머리를 칼 끝에 끼여 들고 좌우충돌하야 사방으로 달리니, 모든 장졸이 혼비백산하야 일시에 항복하니, 계화 용홀대의 머리를 박 부인께 드리니 부인이,
“그 놈의 머리를 높은 에 달아 두라. 용골대 제 아우의 머리를 보면 낙담상혼(落膽喪魂)하리라.”
하니, 계화 영을 듣고, 후원 전에 높이 달아 두니라.
그 후 여러 날만에 용골대 인마를 거느리고 호기(豪氣) 있게 승전고를 울리며, 왕십리를 지나 동대문을 들어오다가, 제 아우 용홀대가 박씨의 시비 계화에게 죽음을 듣고 분기대발(忿氣大發)하야, 즉시 박씨 있는 곳을 찾아가, 소래를 벽력(霹靂)같이 질러 가로되,
“박씨는 어떠한 여자완대 감히 대장을 죽이고, 또 그 머리를 저 에 달았으니, 어찌 당돌하지 아니리오. 바삐 나와 내 칼을 받으라.”
하고 달라드니, 박씨 분기를 참지 못하야 계화를 불러 가로되,
“네 가서 죽이지 말고, 이리이리 하야 간담을 서늘하게 하라.”
계화 응낙하고 나올새, 일월국화관(日月菊花冠)을 쓰고 몸에 홍금사 나의(紅錦紗羅衣)를 입고 손에 삼 척 비수를 들고, 문 밖에 내다라 용골대의 거동을 보니, 얼굴은 무른 대추빛 같고 눈은 번개 같아, 보기에 흉악한지라, 계화 목청을 가다듬으며 꾸짖어 가로되,
“용골대야, 네 대장으로 조선에 와 날 같은 조고마한 여자에게 욕을 보고 돌아가려 하니, 어찌 애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12.26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94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