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현전- 설립배경,집현전의 기능(고제의 조사, 연구,경연과 서연,편찬 사업,),홍문관의 조직 및 운영,집현전과 홍문관의 성격과 영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집현전- 설립배경,집현전의 기능(고제의 조사, 연구,경연과 서연,편찬 사업,),홍문관의 조직 및 운영,집현전과 홍문관의 성격과 영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집현전의 설립배경
1) 집현전의 연원
2) 세종의 집현전

2. 집현전의 조직(직제) 및 운영

3. 집현전의 기능
1) 문한(文翰)적 기능
2) 고제의 조사, 연구
3) 경연과 서연
4) 편찬 사업
5) 장경(藏經)적 기능

4. 집현전의 혁파와 홍문관의 설립
1) 집현전의 성향 변화
2) 세조의 집현전혁파
3) 집현전을 이어받은 홍문관의 설립

5. 홍문관의 조직 및 운영

6. 홍문관의 기능
1) 왕에 대한 고문 활동(顧問活動)
(1) 경연(經筵)
(2) 상소(上疏)
(3) 청대(請對) 및 복합(伏閤)
2) 대간과의 관계
3) 문한적(文翰的)기능

7. 영 · 정조대 홍문관 제도의 정비

8. 집현전과 홍문관의 성격과 영향

본문내용

기에 언론활동을 전담하였던 대간들은 같은 일에 대하여 그것이 수용 될 때까지 반복해서 언론을 했고 또한 사소한 일이라도 언론을 하지 않으면 책임을 면할 수 없기 때문에 언론을 위한 언론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따라서 언론은 남발되고 언론의 권위는 점차 떨어 질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대간은 언론을 하다가 피죄(被罪 - 죄를 입음)되어 좌천 되었고 심지어는 대간이 모두 파직되어 언론이 마비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경우 대간의 언론활동을 대신하여 언로를 넓힐 것을 청할 수 있는 제 3의 언론기관이 필요했던 것이다.
특히 유교에 관한 것, 학문학술에 관한 것, 불교배척에 관한 것과 같은 전문적인 언론분야는 대간의 언론만으로써는 만족할만한 내용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세종대 집현전이 언관화 한 것은 유교학술분야 및 불교배척을 위한 언론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었고, 성종대 홍문관의 언관화도 같은 맥락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즉 홍문관은 집현전의 후신으로써 유자적 관원들이 모인 학술적인 기관이었으므로, 유교의체와 학술에 관한 언론 및 불교배척과 관련된 언론은 대간의 그것보다 전문적이었고 그 결과 권위 있는 언론이 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홍문관이 성종조 이후로 원래의 임무인 군덕을 보도(輔導)하는 일에만 그치지 않고 시정을 논하는데 언관과 같이 그 일역을 담당하여 흔히 양사의 언론을 지지하고 나서는 한편 그 위격이 대간보다도 높아 대간에게 과실이 있는 경우 이를 논박(論駁)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받게 되었다. 특히 홍문관의 논의에 대신은 참여할 수 없었으므로 그 위상은 더 해갔다.
7. 영·정조대 홍문관 제도의 정비
16세기 사림 세력의 본격적인 중앙 진출을 배경으로 기능을 확대해 온 홍문관은 낭관권의 확립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언론 삼사의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학문과 정치가 긴밀하게 연결된 붕당 중심의 정치체제 속에서 공론을 대변하여 군주를 도우미 이끄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런데 17세기 말, 붕당정치가 한계를 드러내면서 영조는 강력한 왕권을 정점으로 붕당 사이의 세력 균형을 이루어 붕당정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라 여러 가지 제도개혁을 추진하게 되었다. 그 중 영조는 삼사의 하나이던 홍문관의 기능을 개혁하고자 하였다. 영조는 우선 홍문관원의 선발이 당색에 따라 이루어진다는 판단 하에 홍문록을 정비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홍문관은 경연을 주관하는 막중한 임무를 지니고 있었으며, 또한 국가의 문한기능을 총괄하는 역할을 맡고 있었다. 그러므로 영조는 임금의 지지지로 관원을 임명하는 중비를 통해 홍문관원의 선발을 통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역대 어느 임금보다 부지런히 경연을 개최하며 세세한 절차까지 정비하는 등 경연 기능을 강화해 나감과 동시에, ≪조례≫ 등의 강독을 통해 왕권 중심의 제도개혁에 대한 이론적 정당성을 얻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붕당정치기 공론의 대변자로서 학술을 주도하던 홍문관의 기능은 크게 제약을 받았다.
이러한 흐름은 정조대에도 계속되어 정조는 즉위 직후, 자신의 반대세력을 제거하여 자신의 권력 기반을 확립하고 문풍을 진작시켜 개혁정치를 학문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강력한 기구로 규장각을 설립하게 된다. 기존의 청요직에 못지않은 권한을 부여하여 강력한 기구로 육성하였다. 홍문관은 정조 즉위 직후 서적 관리의 기능(장경적 기능)을 규장각에 넘겨준 이래, 정조 5년 무렵에 가장 중요한 경연 기능까지 잃게 되면서 결국 유명무실한 기관으로 전락하고 만다. 이에 따라 국가의 문한을 총괄하던 홍문관의 역할은 규장각으로 옮겨지게 되었고, 이러한 변화의 결과 홍문관의 여러 관규(규칙) 역시 달라지게 되었다. 이를 반영하여 정조 8년에 ≪홍문관지≫가 간행되었으니, 홍문관지는 그 기능이 축소되어 유명무실한 기관으로 전락해 가던 홍문관의 위상을 재정립하고 새로운 정치 질서를 명문화하기 위해 편찬된 것이었다. 그러나 홍문관이 가지고 있던 청요직으로서의 상징성은 영정조대를 거쳐 19세기 전반까지도 여전히 존속되고 있었다. 대신 그 영향력은 규장각에 비해 약했기 때문에 예전만큼은 아니었다.
8. 집현전과 홍문관의 의미
집현전은 조선이 표방한 유교정치와 대명사대관계를 원만히 수행하는데 필요한 인재의 양성과 학문의 토대구축을 위한 기관이었다. 수성기를 맞이한 세종의 정치적 필요에 의하여 설치되었으며 유교적 통치질서 확립을 위한 고제와 현실에 맞는 제도연구를 수행했다. 이러한 목적을 지니고 설치된 집현전은 조선 사회의 유교화를 이끌어 나갈 인재의 양성이라는 과업을 충실히 수행하는 동시에 수준 높은 편찬제술 활동을 통해 빛나는 문화 발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또, 성종 9년(1478년)에 등장하여 조선말까지 학문연구 및 시강을 전담한 홍문관제는 집현전의 후신인 만큼, 궁극적으로는 집현전 제도가 연장된 것이었다. 거기에 삼사 중의 하나로 언관의 역할을 하면서 정치적으로도 큰 영향을 끼쳤다. 비록 정조 때, 정조 자신의 정치적 세력 양성 기관이라고 할 수 있는 규장각에 도서관적 기능을 넘겨주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언론의 기능도 약화되어 갔지만, 학문적으로도 정치적으로도 큰 영향을 끼치고, 그것을 후대에 규장각에 넘겨주는 역할을 하였던 것이다. 결국 집현전과 홍문관, 두 기관 모두는 짧은 기간 동안 존속하였지만, 학문적정치적으로서 조선왕조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기관이었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문고판 <세종대왕과 집현전>(손보기, 1984, 세종대왕기념사업회)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들녘, 1996.
박영준, 『홍문관고』, 출판지 미상.
오동근, 정필모. 『도서관문화사』, 구미무역주식회사 출판부, 1996.
우경섭, 『영 , 정조대 홍문관 기능의 변화』, 한국사론, 1998.
네이버 지식백과, 위키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28373
홈페이지 http://ahistoric.egloos.com/5274854 - 내일은 더 아름다운 날
홈페이지 http://dk7117.egloos.com - 역사와 함께하는 이야기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4.06.18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42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