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손가락과 달’ 그리고 이론의 실천성
2. 화자론의 문제 의식과 그 한계
3. 이중 청자의 기반과 존재 방식
4. 이중 청자를 통한 감상
참고 자료
2. 화자론의 문제 의식과 그 한계
3. 이중 청자의 기반과 존재 방식
4. 이중 청자를 통한 감상
참고 자료
본문내용
가능했던 ㉡의 방식에서와는 달리 엿듣기가 필요하게 될 것이므로 감상의 위치는 불가불 옮겨질 도리밖에는 없다. 어째서 엿듣기가 필요한가에 대해서는 앞서 밝힌 바 있다.
따라서 이중 청자의 참여 방식을 개괄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 호명된 청자가 되어 참여하는 방식
㉠ 망각을 통한 동일시 : 독자=호명된 청자=호명되지 않은 청자
㉡ 개인화를 통한 투사 : 독자=호명된 청자≠호명되지 않은 청자
- 호명되지 않은 청자가 되어 참여하는 방식
㉢역전이를 통한 감정 이입 : 독자=호명되지 않은 청자∽호명된 청자
㉣자기 검열을 통한 대상화 : 독자=호명되지 않은 청자≠호명된 청자
이것들은 모두 청자에 대한 상상된 체험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각의 경우 직접 듣기와 엿듣기가 가능할 것이다. 이를 필자는 ‘역할 설정’과 ‘내면화’라는 공감적 조정의 전략을 통해 설명한 바 있다(최지현, 1998).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이중 청자의 두 위치를 동시에 가질 수는 없기 때문에, ㉠이나 ㉡만이 이루어지거나 혹은 ㉠과 ㉡의 연속적 과정이 이루어지거나 할 수밖에 없다. 이 중 후자의 체험에는 필수적으로 교사의 ‘개입’이 요구될 것이다.
이를 토대로 살펴볼 때, 감상 활동에 참여할 수 있기 위해서는 독자가 자신을 직접적으로 화자에 일치시키거나 혹은 거리를 두고 화자의 진술을 살피는 대신, 시인이 호명하거나 혹은 호명하지는 않았더라도 감지되었음이 분명한 청자의 입장에 스스로를 세우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참고 문헌
Bakhtin, M. M.(1986), Speech Genres and Other Late Essays, Trans. by Vern W. McGee, ed. by Caryl Emerson and Michael Holquist,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Beaugrande, R. de & W. Dressler(1991), 김태옥,이현호 공역, 담화, 텍스트언어학 입문, 양영각.
Brooks, C. & R. P. Warren(1976), ‘Poetry as a Way of Saying’, Understanding Poetry, Holt: Rinehart and Winston.
Chatman, S.(1990), 김경수 옮김,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민음사.
Foucault, M.(1994), 이정우 역, 담론의 질서, 샛길.
Holquist, M.(1981), ‘Politics of Representation’, in Allegory and Representation, ed. Stephen J. Greenblatt, Baltimore: Johns Hoplins Univerity Press.
Jakobson, R.(1979), Linguistics and Poetics, 김태옥 역, 언어과학이란 무엇인가, 문학과지성사.
Kayser, W.(1982), 김윤섭 역, 언어예술작품론, 대방출판사.
Kristeva, J.(1984), Revolution in Poetic Language, trans. by Margaret Waller, Columbia U.P.
Lacan. J.(1981), ‘The Empty Word and the Full Word’, in Speech and Language in Psychoanalysis, ed. and trans. Anthony Wilden,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Richards, I. A.(1987), 김영수 역, 문예비평의 원리, 현암사.
Steiger, E.(1978), 이유영오현일 공역, 시학의 근본개념, 삼중당.
Wright, G. T.(1974), The Poet in the Poem, Gordian Press.
Zima, P.(1992), 허창운 역, 사회미학, 문예출판사.
강남주(1989), 시적 화자와 독자의 반응, 한국문학논총 제10집, 한국문학회.
고영근(1993), 텍스트 구조의 이해, 텍스트 언어학 Ⅰ, 서광학술자료사.
김대행(1994), 손가락과 달: 時調 形式을 통해 본 文學敎育의 指標論, 선청어문 제23집,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김봉군(1996), 시교육과 낭송, 김은전 외, 현대시교육론, 시와시학사.
김욱동(1987), 대화적 상상력, 문학과지성사.
김준오(1987), 가면의 해석학, 이우출판사.
김창원(1993), 시쓰기의 화법과 투사적 시읽기-<님의 沈>을 텍스트로-, 선청어문 제21집.
김창원(1994), 시텍스트 해석 모형의 구조와 작용에 관한 연구-20~30년대 시의 해석 모형과 시교육-, 서울대 대학원 국어교육과 박사학위논문.
박동규김준오(1986), 현대시론,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박명진(1986),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역사성의 문제에 관하여, 신문연구소학보 23, 서울대 신문연구소.
유영희(1994), 시 텍스트의 담화적 해석 연구, 서울대 대학원 국어교육과 석사학위논문.
유영희(1996), 시의 화자를 어떻게 지도할 것인가, 김은전 외, 현대시교육론, 시와시학사.
윤석산(1989), 소월시 연구-화자를 중심으로, 한양대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이숭원(1995), 시교육에 도입된 이론적 지식의 몇 가지 오류, 국어교육연구 제2집,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정재완(1976), 한국의 현대시와 어조(Tone)-가상적인 화자와 청자의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제14집. 한국언어문학회.
조래희(1986), 한국시의 화자 유형, 미원우인섭선생 화갑기념논문집, 집문당.
최미숙(1997), 문학텍스트의 수사학적 읽기 연구--내적 대화를 중심으로, 논문집 제62집,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최지현(1994), 한국현대시교육의 담론분석--1940년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과 석사학위논문.
최지현(1997), 문학과 미술, 문학과문학교육연구소 편, 문학의 이해, 삼지원.
최지현(1997), 한국 근대시 정서체험의 텍스트조건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과 박사학위논문.
최지현(1998), 문학감상교육의 교수학습모형 탐구, 선청어문 제26집,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따라서 이중 청자의 참여 방식을 개괄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 호명된 청자가 되어 참여하는 방식
㉠ 망각을 통한 동일시 : 독자=호명된 청자=호명되지 않은 청자
㉡ 개인화를 통한 투사 : 독자=호명된 청자≠호명되지 않은 청자
- 호명되지 않은 청자가 되어 참여하는 방식
㉢역전이를 통한 감정 이입 : 독자=호명되지 않은 청자∽호명된 청자
㉣자기 검열을 통한 대상화 : 독자=호명되지 않은 청자≠호명된 청자
이것들은 모두 청자에 대한 상상된 체험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각의 경우 직접 듣기와 엿듣기가 가능할 것이다. 이를 필자는 ‘역할 설정’과 ‘내면화’라는 공감적 조정의 전략을 통해 설명한 바 있다(최지현, 1998).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이중 청자의 두 위치를 동시에 가질 수는 없기 때문에, ㉠이나 ㉡만이 이루어지거나 혹은 ㉠과 ㉡의 연속적 과정이 이루어지거나 할 수밖에 없다. 이 중 후자의 체험에는 필수적으로 교사의 ‘개입’이 요구될 것이다.
이를 토대로 살펴볼 때, 감상 활동에 참여할 수 있기 위해서는 독자가 자신을 직접적으로 화자에 일치시키거나 혹은 거리를 두고 화자의 진술을 살피는 대신, 시인이 호명하거나 혹은 호명하지는 않았더라도 감지되었음이 분명한 청자의 입장에 스스로를 세우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참고 문헌
Bakhtin, M. M.(1986), Speech Genres and Other Late Essays, Trans. by Vern W. McGee, ed. by Caryl Emerson and Michael Holquist,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Beaugrande, R. de & W. Dressler(1991), 김태옥,이현호 공역, 담화, 텍스트언어학 입문, 양영각.
Brooks, C. & R. P. Warren(1976), ‘Poetry as a Way of Saying’, Understanding Poetry, Holt: Rinehart and Winston.
Chatman, S.(1990), 김경수 옮김,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민음사.
Foucault, M.(1994), 이정우 역, 담론의 질서, 샛길.
Holquist, M.(1981), ‘Politics of Representation’, in Allegory and Representation, ed. Stephen J. Greenblatt, Baltimore: Johns Hoplins Univerity Press.
Jakobson, R.(1979), Linguistics and Poetics, 김태옥 역, 언어과학이란 무엇인가, 문학과지성사.
Kayser, W.(1982), 김윤섭 역, 언어예술작품론, 대방출판사.
Kristeva, J.(1984), Revolution in Poetic Language, trans. by Margaret Waller, Columbia U.P.
Lacan. J.(1981), ‘The Empty Word and the Full Word’, in Speech and Language in Psychoanalysis, ed. and trans. Anthony Wilden,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Richards, I. A.(1987), 김영수 역, 문예비평의 원리, 현암사.
Steiger, E.(1978), 이유영오현일 공역, 시학의 근본개념, 삼중당.
Wright, G. T.(1974), The Poet in the Poem, Gordian Press.
Zima, P.(1992), 허창운 역, 사회미학, 문예출판사.
강남주(1989), 시적 화자와 독자의 반응, 한국문학논총 제10집, 한국문학회.
고영근(1993), 텍스트 구조의 이해, 텍스트 언어학 Ⅰ, 서광학술자료사.
김대행(1994), 손가락과 달: 時調 形式을 통해 본 文學敎育의 指標論, 선청어문 제23집,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김봉군(1996), 시교육과 낭송, 김은전 외, 현대시교육론, 시와시학사.
김욱동(1987), 대화적 상상력, 문학과지성사.
김준오(1987), 가면의 해석학, 이우출판사.
김창원(1993), 시쓰기의 화법과 투사적 시읽기-<님의 沈>을 텍스트로-, 선청어문 제21집.
김창원(1994), 시텍스트 해석 모형의 구조와 작용에 관한 연구-20~30년대 시의 해석 모형과 시교육-, 서울대 대학원 국어교육과 박사학위논문.
박동규김준오(1986), 현대시론,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박명진(1986),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역사성의 문제에 관하여, 신문연구소학보 23, 서울대 신문연구소.
유영희(1994), 시 텍스트의 담화적 해석 연구, 서울대 대학원 국어교육과 석사학위논문.
유영희(1996), 시의 화자를 어떻게 지도할 것인가, 김은전 외, 현대시교육론, 시와시학사.
윤석산(1989), 소월시 연구-화자를 중심으로, 한양대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이숭원(1995), 시교육에 도입된 이론적 지식의 몇 가지 오류, 국어교육연구 제2집,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정재완(1976), 한국의 현대시와 어조(Tone)-가상적인 화자와 청자의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제14집. 한국언어문학회.
조래희(1986), 한국시의 화자 유형, 미원우인섭선생 화갑기념논문집, 집문당.
최미숙(1997), 문학텍스트의 수사학적 읽기 연구--내적 대화를 중심으로, 논문집 제62집,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최지현(1994), 한국현대시교육의 담론분석--1940년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과 석사학위논문.
최지현(1997), 문학과 미술, 문학과문학교육연구소 편, 문학의 이해, 삼지원.
최지현(1997), 한국 근대시 정서체험의 텍스트조건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과 박사학위논문.
최지현(1998), 문학감상교육의 교수학습모형 탐구, 선청어문 제26집,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키워드
추천자료
[인문&사회]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감상문
영화 애니홀(annie hall)감상문
[교육심리학]교육적 영화 마리코사 감상문
[우수 평가 자료]먹히는 말 독후감상문- 개인적인 생각과 교훈을 중심으로.
심리학의 오해(K.E. 스타노비치) - 감상문/독후감
오페라 '코지 판 뚜테' 감상문
영화 하녀(김기영 감독) 감상문
미래시장을 잡는 독점의 기술 읽고 요약정리 및 감상문
(A+자료) 일본적 자아 줄거리 요약과 감상문 및 느낀점과 나의소감 분석
언어와 사회를 읽고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느낀점, 독후감, 나의 견해, 나의 소감, 시사점,...
김애란의 \'침이 고인다\' 감상 후기를 작가론적, 작품론적, 효용론적, 시대상을 투영한 관...
내가 몰랐던 일본인들의 모든 것 [감상문, 독후감]
[서평] 대중문화의 겉과 속 3권을 감상하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