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디자인사 - 미술공예 운동] 20세기디자인사에 관해 - 아르누보양식에서 부터 기계미학 까지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세기 디자인사 - 미술공예 운동] 20세기디자인사에 관해 - 아르누보양식에서 부터 기계미학 까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20세기 디자인사>
미술 공예운동(1850~1900)
<미술공예운동과 의의>
<고딕양식과 Inspiration>

< 20세기 디자인사>
미술 공예운동(1850~1900)
<미술공예운동과 의의>
<고딕양식과 Inspiration>

< 이론가들 >
아르누보 (1850~1905)
기계미학(1900~1930)
아르 데코(1925~1939)

본문내용

< 20세기 디자인사>
미술 공예운동(1850~1900)
<미술공예운동과 의의>

‘미술공예운동’은 19세기의 산업화의 영향력에 대한 이념적 반작용으로서 윌리엄모리스를 중심으로 영국에서부터 시작하여 일어났던 공예개량운동이다. 18세기 말에 시작된 산업혁명은 빅토리아시대에 와서는 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인간의 생활을 완전히 변화시킬 만큼 발전하였고, 공업생산과 기계생산에 의한 제품들이 대량 생산되었다.그로 인해, 자본만을 위한 디자인이 행해지면서 산업화가 제작자로부터 자신의 기능에 자부심을 갖게 하던 힘을 빼앗았고, 따라서 제조된 제품의 질과 디자인에 있어 퇴보를 가져오게 하였다고 믿어져 왔다.
사회개혁론자이자 디자이너인 윌리엄모리스는 이러한 기계만능주의가 결국은 생활 속의 미를 파괴할 것이라는 우려에서 가구 •집기 •옷감 디자인 •제본 •인쇄 등 응용미술의 여러 분야에서 ‘수공업’이 지니는 아름다움을 회복시키려고 중세적 직인제도(職人制度)의 원리에 따른 공예개혁을 기도하였다. 모리스의 이러한 혁신운동은 1860년대부터 시작하여 존 러스킨, 필립 웹 등의 사상가, 건축가, 공예가, 그리고 미술가 등 에게 큰 호응을 받았으며, 1880년대에는 직인기술의 향상을 위한 몇 개의 조직도 결성되었는데, 1882년의 ‘센추리 길드’, 1884년의 ‘아트위키즈 길드’와 ‘아츠앤드크렙츠 전람협회’ 등이 그것이다. 그들은 이렇게 개별적이고 집단적인 노력을 통해 유사한 사회적 목표와 예술을 염원을 폭넓게 실현해갔다. 이들 직인적 공예운동은 기계능력의 가능성을 무시하였다는 점에서 시대를 역행한 듯하나, 예리한 문제점 제기와 세련된 미의식은 그 후의 공예발전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미술 공예운동’은 이 같은 활동으로 예술활동에서의 중요한 부분과 19세기 후반의 사회주의적 의식을 주도해갔으며 유럽과 미국에서의 장식미술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출발점이 되기도 하였다.이 운동의 특징은 수공예품의 활성화뿐만 아니라 수공예품의 대중화를 주장하였다는 사실인데, 중세시대에 직인과 범인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고 개인이 사용할 물품을 개인이 만들어 쓰는, 가내수공의 형식을 이상적으로 보고 모든 사람이 곧 공예가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이 주목할 만 하다.
이 운동에 의해 산출된 양식의 기본적인 원리는, 대상이란 그것이 제작 되어진 목적에 적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해결점을 찾던 중, 많은 예술과 지식의 형태로부터 양식상의 영감을 얻어냈고, 그 유형은 훌륭하게 탐구된 고딕 미술의 역사주의 양해성에까지 골고루 분배되어 나타났다.
형식과 모양은 대체로 단순하고 소박하며 선적인, 혹은 유기적인 형식에서 파생되었는데 특히 윌리엄버제스(William Burges) 와 리차드 노만 쇼(Richard Norman Shaw), 그리고 초기의 모리스 상사(Morris & Co)의 몇몇 작품에서 구체화되었다. 또 한 부분적으로 지방 특유의, 심지어는 시골 풍의 단순성에서 파생된 것이다.
이중 건축에서는 다양한 양식의 절충인 조지아 양식을 부정하고 중세 고딕으로의 회귀를 주장하였는데, 고딕양식의 단순한 모방이 아닌 근대적인 해석을 덧붙이며 그 의의를 갖게 되었다. 고딕의 양식을 따르되 기능적인 부분에 충실하여 장식을 최대한 배제한 것이 그것인데, 필립 웹이 설계하고 후에 미술 공예운동의 중심지가 된 모리스 상회의 거점인 Red House와 Blackwell House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건축의 벽화와 실내장식에 있어서도 수공예적인 아름다움을 적용하였는데, Watt’s Mortuary Chapel 내부의 실내 장식이나 윌리엄 모리스의 Jesus College Chaple 천장의 벽화는 수공예로써의 아름다움이 절정을 이룬 것으로 보인다. 또는 건축물 외부에 모자이크로 장식을 더하거나 스테인드글라스에 수공예적인 요소를 더하는 등의 건축적인 활동도 돋보인다. 일부 건축물들의 내부장식에서는 한국전통건축의 요소들과 닮은 부분들도 볼 수 있다. 누구도 주목한 적은 없으나 Watt’s Mortuary Chapel의 내부장식은 사용된 색과 문양 등이 한국 전통건축의 단청과 닮았고, 윌리엄 모리스가 그린 Jesus College Chaple의 천장벽화는 역시 한국 전통건축의 우물천장 마감에서 보이는 단청의 문양과 색감이 비슷하다. 물론 19세기 말 한국 전통건축의 단청이 그들의 모티브가 되지는 않았을 뿐더러 지나친 해석은 오리엔탈리즘에 함몰될 수도 있으나, 흥미로운 것은 사실이다.
산업혁명에 의한 기계문명을 부정하고 대량생산체제를 거부하며 수공예에 아름답고 획일적이지 않은 상품들의 대중화를 선언했다는 이념적인 측면에서는 이 운동을 성공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모리스.,.,
  • 가격1,000
  • 페이지수56페이지
  • 등록일2015.04.27
  • 저작시기2015.4
  • 파일형식기타(docx)
  • 자료번호#9653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